정말 반가운 글들입니다.
케제클럽 본연의 모습으로의 힘찬 출발을 보는것 같네요
화 이이이이티잉 대전 게에시파안
>maverick Wrote…
>이번 문화재는 신라시대 금관입니다
>신라의 금관...
>화려하기로 유명하죠..
>지금은 경주국립박물관 소장이고여
>저도 2년전에 그곳을 가보았지만 아쉽게도
>해외 순외전시 관계로 실제로 보지는 못했습니다
>
>
>금관 설명...
>신라 금관은 둥그런 테의 정면 위에 출자형 입식(出字形立飾)을 세우고, 그 좌우로 녹각형 입식(鹿角形立飾)을 장식하는 것을 기본 형태로 삼는다. 보통 출자형은 3단으로 되어 있고, 입식은 영락(瓔珞)이나 곱은 옥(曲玉)으로 장식한다. 그런 후에 테두리 밑으로 긴 드리개(垂飾)를 매다는 것이 통례이다. 그런데 금령총에서 출토된 이 금관은 출자형이 3단으로 되어 있지 않고, 4단으로 이루어진 점이 이례적이다. 또 각 입식에는 금으로 된 영락만이 장식되어 있을 뿐, 곡옥은 달지 않아 장식 처리가 다른 금관에 비해 특이하다. 관 안의 피장자의 머리 부분에서 수습되었다. 출자형 입식을 세 개 장식하였고, 녹각형 입식을 두 개 붙였다. 녹각형 입식의 분지(分支)를 따로 만들어 못으로 연결한 것이 특징적이다. 테두리의 위아래 가장자리에는 각 입식의 가장자리와 같이 점열문(點列文)을 타출(打出)하였다. 테두리 좌우의 수식은 출토 당시 원래 금관에 붙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주변에 떨어져 있던 것을 같이 수습한 것이다 형태가 작고 곱은 옥이 생략되어 있어서 다른 금관보다 단순한 느낌을 준다.
>
>
>
>유물명칭 금관 (金冠)
>지정구분 보물 (寶物) 제 338 호
>국적/시대/년대 한국 (韓國) /신라 (新羅)
>재질 금속 (金屬) /금제 (金製)
>크기 높이 : 24.0 cm /지름 : 15.0 cm /너비 : 2.8 cm
>문양/장식 기하문 (幾何文) /점열문 (點列文)
>용도/기능 의 (衣) /관모 (冠帽) /관 (冠) /금관 (金冠)
>출토지 경상북도 (慶尙北道) 경주시 (慶州市) 路東洞 金鈴塚(西古墳)
>참고자료 * 한국의미22 고분미술, 한병삼 외 편, 중앙일보, 1985, 도75
>
정말 반가운 글들입니다.
케제클럽 본연의 모습으로의 힘찬 출발을 보는것 같네요
화 이이이이티잉 대전 게에시파안
>maverick Wrote...
>이번 문화재는 신라시대 금관입니다
>신라의 금관...
>화려하기로 유명하죠..
>지금은 경주국립박물관 소장이고여
>저도 2년전에 그곳을 가보았지만 아쉽게도
>해외 순외전시 관계로 실제로 보지는 못했습니다
>
>
>금관 설명...
>신라 금관은 둥그런 테의 정면 위에 출자형 입식(出字形立飾)을 세우고, 그 좌우로 녹각형 입식(鹿角形立飾)을 장식하는 것을 기본 형태로 삼는다. 보통 출자형은 3단으로 되어 있고, 입식은 영락(瓔珞)이나 곱은 옥(曲玉)으로 장식한다. 그런 후에 테두리 밑으로 긴 드리개(垂飾)를 매다는 것이 통례이다. 그런데 금령총에서 출토된 이 금관은 출자형이 3단으로 되어 있지 않고, 4단으로 이루어진 점이 이례적이다. 또 각 입식에는 금으로 된 영락만이 장식되어 있을 뿐, 곡옥은 달지 않아 장식 처리가 다른 금관에 비해 특이하다. 관 안의 피장자의 머리 부분에서 수습되었다. 출자형 입식을 세 개 장식하였고, 녹각형 입식을 두 개 붙였다. 녹각형 입식의 분지(分支)를 따로 만들어 못으로 연결한 것이 특징적이다. 테두리의 위아래 가장자리에는 각 입식의 가장자리와 같이 점열문(點列文)을 타출(打出)하였다. 테두리 좌우의 수식은 출토 당시 원래 금관에 붙어 있었던 것이 아니라, 주변에 떨어져 있던 것을 같이 수습한 것이다 형태가 작고 곱은 옥이 생략되어 있어서 다른 금관보다 단순한 느낌을 준다.
>
>
>
>유물명칭 금관 (金冠)
>지정구분 보물 (寶物) 제 338 호
>국적/시대/년대 한국 (韓國) /신라 (新羅)
>재질 금속 (金屬) /금제 (金製)
>크기 높이 : 24.0 cm /지름 : 15.0 cm /너비 : 2.8 cm
>문양/장식 기하문 (幾何文) /점열문 (點列文)
>용도/기능 의 (衣) /관모 (冠帽) /관 (冠) /금관 (金冠)
>출토지 경상북도 (慶尙北道) 경주시 (慶州市) 路東洞 金鈴塚(西古墳)
>참고자료 * 한국의미22 고분미술, 한병삼 외 편, 중앙일보, 1985, 도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