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광개토 대왕의 신라 구원전의 남하 루트를 군사전략의 관점에서 새롭게 추정을 해보았다.
임나는 전라도 지역에 존재했던 倭이며, 가라는 경상도 남해안 지역에 존재했던 국가이다. 임나가 출현을 하여 가라를 합병을 하게 되었고, 이것이 신라가 포위를 당한 것으로 해석이 되어지면 바람직하다. 신라 내물왕이 이때 고구려로부터 구원을 요청을 한 것이며,
광개토 대왕이 이 요청을 받고 남하하여 신라를 구원하고 임나의 본거지인 종발성까지 추격을 해서 倭를 궤멸을 시켰다고 보면 가장 바람직하다.
광개토 대왕은 두개의 병력으로 쪼개어 서북방 방면으로 남하한 것으로 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1군이 경남 남해안 루트를 따라 남하, 2군은 서해안 방면으로 남하하여 양군이 전라도에서 함께 집결을 하여 임나를 쳤던 것으로 본다.
이때의 침공으로 인하여 임나의 대형옹관묘 세력이 그 자취를 감춘다.
이후 한성백제의 등장시기에 신라가 임나의 땅을 倭에게 동맹의 조건으로 할당을 해주어 倭가 다시 들어올 수 있게 되는데, 이 때 출현한 세력이 전방후원형이다.
전라도 지역의 전방후원형 세력은 AD470년 이후부터 출현하며, 멸망한 시기는 AD 540~550년경으로 보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신라가 관산성전투에서 전라도의 임나를 쳐서 멸망을 시켰기 때문이며, 이 이후로 한반도에서 倭는 영원히 그 자취를 감추게 된다.
전방후원형 이후로 전라도 지역에서는 신라와 백제, 어느 쪽의 유물도 출현하지 않게 되는데, 이로 미루어 볼 때, 당시 신라가 전라도의 임나 지역을 친 배경에는 영토 획득이 목적이 아닌 살인이 목적이었던 것으로 추정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高句麗グァンゲト大王の新羅救援前の南下ルートを軍事戦略の観点で新しく推定をして見た.
任那は全羅道地域に存在した 倭であり, 行きなさいという慶尚道南海岸地域に存在した国家だ. 任那が出現をしてがラを合併をするようになったし, これが新羅が包囲にあったので解釈になられれば望ましい. 新羅 ネムル王がこの時高句麗から救援を要請をしたことであり,
グァンゲト大王がこの要請を受けて南下して新羅を救援して任那の本拠である終発性まで追い討ちをして 倭を潰滅をさせたと思えば一番望ましい.
グァンゲト大王は二つの兵力で割って西北部屋方面に南下したことで見ることが一番望ましくて, 1群が慶南南海岸ルートに付いて南下, 2群は西海岸方面に南下して両軍が全羅道で一緒に集結をして任那を打ったことで見る.
この時の侵攻によって任那の大型甕棺墓勢力がその影をひそめる.
以後漢城百済の登場時期に新羅が任那の地を 倭に同盟の条件で割り当てをしてくれて 倭がまた入って来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るのに, この時出現した勢力が前方後援型だ.
全羅道地域の前方後援型勢力は AD470年以後から出現して, 滅亡した時期は AD 540‾550年頃で見ることが一番望ましい.
新羅が管山城戦闘で全羅道の任那を張って滅亡をさせたからであり, この以後で韓半島で 倭は永遠にその影をひそめるようになる.
前方後援型以後で全羅道地域では新羅と百済, どっちの遺物も出現しなくなるのに, これに推し量る時, 当時新羅が全羅道の任那地域を打った背景には領土獲得が目的ではない殺人が目的だったので推定をすることが望まし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