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69년 ~1870년 조선국 交際始末內探書
조선 부속으로 되어 있는 시말을 내탐하여 오라 라고 지시한 문서
이 문서는 일본이 독도를 울릉도의 부속섬으로 인식하고 있었고 동시에 울릉도와 독도를
조선 영토로 확인하였다는 증거가 된다
그런데 일본의 수로지 (水路誌)를 봅시다
1872년 일본은 해군성에 수로료 (水路寮)를 설치한다
1883년 수로료는 각국의 수로지 번역을 끝내고 세계 水路誌인 환영 水路誌를 편찬했는데
조선국 일반 정세 리앙쿠르 列岩의 발견 경위 등 내용을 상세하게 수록하였다
1886년 수로료를 水路部로 개편하고 12월에 환영 수로지를 제2권 제 2판을
발행하였다 수로지 (水路誌)를 국가 영역별로 구분하여 발행하기 시작했고 제4편에
조선 東岸편에 리앙쿠르島 列岩으로 수록하였다
1894년 11월 조선 水路誌를 최초 발행하여 제 4편 조선 東岸편에 리앙쿠르島 列岩으로
수록하였다 여기서 울릉도는 松島라고 명시되었다
—————
당시 일본은 독도를 리앙쿠르 라고 부르면서 이 리앙쿠르가 조선의 영토라는 것을
밝히고 있다
이 무렵 1900년
일본의 어부들이 울릉도 독도에 들어와 벌목을 하거나 고기를 잡는 등 불법 조업을 하고 있었는데
이런 일본인들의 행패에 대해 대한제국과 일본이 공식적으로 공동 조사를 한다
韓日공동 조사 후 대한제국은 같은 해 1900년 10월 25일
于山島를 石島라고 개칭하고 칙령 제 41호로 울릉도의 부속 섬으로 竹島 독섬 (石島)를
대한제국 영토로 반포한다
대한전도
1899년 대한제국 학부가 제작한 지도 (地圖)
독도가 于山島로 표기되고 있다
1802년 일본의 古地圖
竹島 松島 조선의 것이다 라고 쓰고 있다
1900년 한일 공동 조사 후
1902년 5월에 부산 주재 일본 영사관 보고서에 의하면
본도 울릉도 정동 50해리에 작은 섬 3개가 있다 속칭 리앙쿠르 라고 하는데 본방인은 松島라고
한다 라는 문구가 있다
1905년 이전 일본 정부의 리앙코島에 대한 명칭은 松島였다
그런데 일본 해군 전함 新高號 행동일지(1904년 9월 25일)에
독도라는 명칭이 나온다
일본 해군이 독도에 망루를 설치하기 위해 事前준비로 新高號를 독도에 파견했는데
먼저 울릉도에 들러서 주민들로 부터 청취 조사를 하도록 하였다
일본 해군 전함 新高號 행동일지 1904년 9월 25일
줄친 부분
松島에서 리앙쿠르岩 관찰자로 부터 청취한 정보에 의하면 韓人은 독도라고 쓰고
본방인은 리앙코島라고 한다
독도 명칭은 울릉도 주민들의 언어와 관련된다
1938년 조선어 사전
독 dok 은 돌의 사투리 한자로 石
행정지명으로 독도는 于山島 石島 독도 순서로 표기되었다
대한제국 당시 행정지명으로 독도라는 명칭은 1906년 鬱陵 郡守 沈興澤의 보고서에 나온다
심흥택 (沈興澤)이 울릉도에 갔다가 울릉도를 방문한 시마네현 관리들로 부터
독도가 시마네현에 편입되었다는 이야기를 듣고 이 사실을 중앙정부에 보고한다
보고서에 本郡 소속 독도 라는 문구가 나온다
돌 발음이 사투리로 dok로 되고 한자로 훈독하여 獨
섬이라는 뜻의 한자 島가 합해져
독도가 되었다
1869年 ‾1870年造船国 交際始末内探書
朝鮮部属になっている始末を内偵して来なさいと指示した文書
が文書は日本が独島を鬱陵島の部属島で認識していたし同時に鬱陵島と独島を
朝鮮領土で確認したという証拠になる
ところで日本の水路だ (水路誌)を見ましょう
1872年日本は海軍省に水路料 (水路寮)を設置する
1883年水路料は各国の水路だ翻訳を終わらせて世界 水路誌である 歓迎 水路誌を編纂したが
造船国一般情勢リアングクル 列岩の発見経緯など内容を詳細に収録した
1886年水路料を 水路部で改編して 12月に歓迎水路誌を第2冊第 2枚を
発行した水路だ (水路誌)を国家領域別で区分して発行し始めたし第4編に
朝鮮 東岸便にリアングクル島 列岩で収録した
1894年 11月朝鮮 水路誌を最初発行して第 4編朝鮮 東岸便にリアングクル島 列岩で
収録したここで鬱陵島は 松島と明示された
----------
当時日本は独島をリアングクルと呼びながらこのリアングクルが朝鮮の領土というのを
明らかにしている
が頃 1900年
日本の漁夫たちが鬱陵島独島に入って来て伐木をするとか魚を捕るなど不法操業をしていたが
こんな日本人たちの行悖に対して大韓帝国と日本が公式的に共同調査をする
韓日共同の調査後大韓帝国は同じ年 1900年 10月 25日
于山島を 石島と改称して勅令第 41号で鬱陵島の部属島で 竹島 ドックソム (石島)を
大韓帝国領土で頒布する
大韓前も
1899年大韓帝国学部が製作したのも (地図)
独島が 于山島で表記している
1802年日本の 古地図
竹島 松島 朝鮮の物だと書いている
1900年韓日共同の調査後
1902年 5月に釜山駐在日本領事館報告書によると
本島鬱陵島正東 50海里に小さな島 3個があって俗称リアングクルと言うのに本邦人は 松島と
するという文具がある
1905年以前日本政府のリアングコ島に対する名称は 松島だった
ところで日本海軍戦艦 新高号 行動だろうか(1904年 9月 25日)に
独島という名称が出る
日本海軍が独島に望桜を設置するために 事前準備で 新高号を独島に派遣したが
先に鬱陵島に立ち寄って住民たちから聞き取り調査をするようにした
日本海軍戦艦 新高号 行動だろうか 1904年 9月 25日
ズルチン部分
松島でリアングクル岩 観察者から聞き取りした情報によれば 韓人は独島と書いて
本邦人はリアングコ島と言う
独島名称は鬱陵島住民たちの言語と係わる
1938年朝鮮語辞書
毒 dok は石のなまり 漢字で 石
行政地名で独島は 于山島 石島 独島手順で表記した
大韓帝国当時行政地名で独島という名称は 1906年 鬱陵 郡守 沈興沢の報告書に出る
シムフングテック (沈興沢)が鬱陵島へ行ってから鬱陵島を訪問した島根県役人たちから
独島が島根県に編入されたという話を聞いてこの事実を中央政府に報告する
報告書に 本郡 所属独島という文具が出る
石発音がなまりで dokになって漢字に訓読して 独
島という意味の漢字 島が合わせられて
独島になっ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