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여성의 한복은 삼국시대 부터 치마 저고리 바지라는 기본 복식이 조선후기 까지 이어져왔다

 

조선시대에 와서 특히 저고리는 시대에 따라 길이와  형태가 변했고 종류도 다양해졌다

 

 

이것은  삼회장 저고리

 

저고리의 기본 명칭

1.고대 2.동정 3.깃 4.곁마기 5.끝동 6.소매부리 7.배래 8.섶 9.도련 10.고름

 

1.저고리

 

 

김홍건 (1580년~1637년)의 묘를 移葬하던 중에 발견하였다

겉의 옷감은 녹색이 남아있는 넝쿨 무늬의 비단이고 안쪽은 명주로 만든 겹 저고리이다

 

2. 마고자

 

 

 

이것은 깨끼 마고자

 

섶 고름 동정이 없는 깨끼 마고자로  여름에  입는다

소재는 모시 항라 노방 생고사 등 있다

깨끼라는 것은 속이 비치는 얇은 2겹의 옷감을 곱솔로 바느질한 옷을 만드는 일이다

 

깨끼 저고리의 일부

 

깨끼옷은 바느질 선을 박아서 꺾은 다음 시접을 가늘게 박아서 시접을 모두 자르고 다시 꺾어

박는다 바느질 자국이 남지 않는 섬세하고 정교한 바느질 법이다

 

 

신윤복의 그림  서생과 아가씨

 

18세기가 되면 저고리 길이는 짧아지고 치마 길이는 길어진다

치마가 땅에 끌리도록 길게  치마를 입은 아가씨가 글 읽는 남자를 몰래 훔쳐 보고 있다

 

 

 

 

 

2. 치마

 

의례용 긴 치마

남양 홍씨 묘에서 출토 16세기 ~18세기

 

 

스란 치마 (유물)

 

1550년대 청주韓氏 묘에서 출토

 

 

3. 장옷

덕온공주 (德溫公主 1822년~1844년)의 장옷

형태는 두루마기와 거의 같은데 두루마기와 다른 것은 소매 끝에 하얀 끝동을 넓게 대었고 옷깃

옷 고름 겨드랑이에 대는 삼각형의 무 (mu)를 옷과 같은 색이나 다른 색으로 달기도 하는 것이다

 

장옷의 색은 기록에 의하면 분홍 보라 초록 남색 흑색 등 사용되었지만 조선 후기가 되면 보통

여인들이 머리에 쓰는 장옷으로 초록색 옷에 소매 끝 부분에 하얀 끝동을 달았다

 

옷감의 소재는 면포나 명주였다

 

그런데 장옷은 원래 조선 前期까지 남성의 옷이었다고 한다 15세기 중엽 부터 서민의 부녀자들이

입기 시작하였는데 世祖때에 이 장옷을 여성들이 입는 것을 금지해야 한다는 상소가

있었다고 한다

 

세조 2년 3월 梁誠之의 상소에

의복은 원래 남녀 귀천의 구별이 있는 법이어서 하민들이 마음대로 할 수 없는 것이다

지금  여인들은 남자와 같이 장옷을 입기를 좋아하고 혹 의상 사이에 입어 3층을 이루어

이런 풍습이 거국적으로 퍼지는 것은 史文에서 말하는 服妖이니 금지해야 한다 라고 썼다고 한다

 

남성의 장옷은 1884년 갑신 의제 개혁 당시 착용 금지가 되었지만 여성들의 외출용 쓰개로

남았다고 여겨진다

 

 

4. 당의 (唐衣)

대원군의 큰 자부의 유품이다

 

唐衣는 삼국시대에 중국 당나라에서 유입된 것이 아닌가 생각되지만 확실한 유래는 알 수 없고

조선시대에 와서 입었다

 

당의는 궁중에서 평상복으로 입었고  사대부 양반 부인들은 소례복으로 입었다

 

사례편람 (四禮便覽)의 관례조 (冠禮條)의 기록에 의하면

衫子는 속칭 당의라고 하며 길이는 무릎까지 닿고 소매는 좁다 여자의 常服이다 라고 하였다

 

김준근 (金俊根)의 그림 신부연석이다

 

그림에서 3명의 젊은 부인이 저고리 위에 입은 것이 배자 (背子)가 아닐까 생각된다

 

5. 배자 (背子)

 

 

 

이것은 침선장 임성례 선생님의 작품

 

 

1903년 구한말 결혼식 사진

 

 

6. 활옷

 

조선 순조  복온공주(1818년 ~1832년) 활옷

 

활옷은 고려시대의 왕비복이었는데 조선시대에 와서 공주 옹주의 예복이 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평민들의 혼례복으로 입게 되었다

 

7. 두루마기  (경운 박물관 소장)

 

아이들이 입는 두루마기는 까치 두루마기 또는 색동 두루마기라고 하였다

전통의 五方色의 의미를 담아 만들었다

옛날 어머니들은 옷을 만들고 남은 옷감을 모아 두었다가 바느질로 이어 붙이기도 하였다

옷으로 만들때는 五方色에서 흑색을 빼고 대신에 분홍색이나 초록색을 넣었다

 

 

8. 굴레

사진에서 여자 아이가 머리에 쓴 것이 이 (굴레)일까 확실히 모름

어린 여자 아이들이 머리에 쓰던 쓰개로 색동을 모아서 머리 형태를 만들고 목에서 끈으로

묶게 되어 있다

 

 

 


韓服の種類 1 (女性の方)

女性の韓服は三国時代からチマチョゴリズボンという基本複式が朝鮮後期までつながって来た

 

朝鮮時代に来て特にチョゴリは時代によって道と  形態が変わったし種類も多様になった

 

 

これは  三回装チョゴリ

 

チョゴリの基本名称

1.古代 2.同情 3.カラー 4.ギョトマギ 5.袖先の足し付け 6.袖くちばし 7.滲むと言う 8.ソブ 9.チョゴリのすそ回し 10.うみ

 

1.チョゴリ

 

 

ギムホングゴン (1580年‾1637年)の畝を 移葬した中に見つけた

表の布は緑が残っているノングクル柄の絹で内側は明紬で作った重チョゴリだ

 

2. マゴザ

 

 

 

これはケキマゴザ

 

ソブうみ同情がないケキマゴザで夏に着る

素材は麻亢羅路傍生庫紗などある

ケキというのは中が映る薄ら 2重の布をふくろ縫いで裁縫した服を作る事だ

 

ケキチョゴリの一部

 

ケキオッはお針線ができて折った後縫代に行き打ちこんで縫代を皆切ってまた折って

打ちこんでお針跡が残らない纎細で精巧なお針法だ

 

 

申潤福の絵  書生とお嬢さん

 

18世紀になるとチョゴリ長くは短くなってスカート長くは長くなる

スカートが地にひかれるように長く  スカートをはいたお嬢さんが文読む男を密かに盗み見している

 

 

 

 

 

2. スカート

 

儀礼用長いスカート

南洋洪氏畝で出土 16世紀 ‾18世紀

 

 

スと言う(のは)スカート (遺物)

 

1550年代清州韓氏 畝で出土

 

 

3. ザングオッ

ドックオンゴングズ (徳温公主 1822年‾1844年)のザングオッ

形態はツルマキとほとんど同じなのにツルマキと違うことは袖あげく白い袖先の足し付けを広くつけたし襟

服うみわきにつける三角形の大根 (mu)を服のような色や他の色でつけたりすることだ

 

ザングオッの色は記録によればピンク紫みどり藍色黒色など使われたが朝鮮後期になれば普通

女人たちが頭に使うザングオッで緑色服に袖終り部分に白い袖先の足し付けをつけた

 

布の素材は綿布や明紬だった

 

ところでザングオッは元々朝鮮 前期まで男性の服だったと言う 15世紀中葉から庶民の婦女子たちが

着始めたが 世祖の時にこのザングオッを女性たちが着ることを禁止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上訴が

あったと言う

 

世祖 2年 3月 梁誠之の上訴に

衣服は元々男女貴賎の区別があるものなので下民たちが勝手にすることができないことだ

今  女人たちは男と一緒にザングオッを着るのが好きでもしか衣装の間に着て 3階を成して

こんな風習が挙国的に広がることは 史文で言う服妖だから禁止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書いたと言う

 

男性のザングオッは 1884年甲申議題改革当時着用禁止になったが女性たちの外出用スゲで

残ったと思われる

 

 

4. 唐依 (唐衣)

大院君の大きい自負の遺品だ

 

唐衣は三国時代に中国唐で流入されたのではないか思われるが確かな来由はわからなくて

朝鮮時代に来て着た

 

唐依は宮の中で常衣で着たし士大夫両班奥さんたちは小礼服で着た

 

事例便覧 (四礼便覧)の慣例組 (冠礼條)の記録によれば

衫子は俗称唐依と言って長さは膝まで触れて袖は狭い女の 常服だと言った

 

ギムズングン (金俊根)の絵花嫁縁石だ

 

絵で 3人の若い奥さんがチョゴリの上に口はのがそでなしの短衣 (背子)ではないか思われる

 

5. そでなしの短衣 (背子)

 

 

 

これは針線場林成礼先生の作品

 

 

1903年旧韓国末結婚式写真

 

 

6. ホアルオッ

 

朝鮮順調  ボックオンゴングズ(1818年 ‾1832年) ホアルオッ

 

ホアルオッは高麗時代のワングビボックだったが朝鮮時代に来て公州翁主の礼服になったし

朝鮮後期には平民たちの婚儀の時着る礼服で着るようになった

 

7. ツルマキ  (耕暦博物館所長)

 

子供達の着るツルマキは鵲ツルマキまたは色どりツルマキと言った

伝統の 五方色の意味を盛って作った

昔のお母さんたちは服を作り終わることは布を集めておいてからお針で引き続き付けたりした

服で作る時は 五方色で黒色を抜いて代りに桃色や緑色を入れた

 

 

8. くびき

写真で女の子が頭に使ったことがこれ (くびき)だろう確かに分からなさ

幼い女の子達が頭に使ったスゲで色どりを集めて頭形態を作って首から紐に

縛るようになっている

 

 

 



TOTAL: 900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5141
No Image
사친왕가의 하나저적 栄養市民 2014-11-05 3753 0
5140
No Image
이번에는 제대로 에도와 한양의 번화....... gesekideska00 2014-10-27 5295 0
5139
No Image
100년전의 사진이 영국에서 경매 masamasa123 2014-10-26 5493 0
5138
No Image
漢城의 번화가와 에도의 번화가를 비....... gesekideska00 2014-10-26 4510 0
5137
No Image
현역의 전통 문화 들보 dkool 2014-10-24 3046 0
5136
No Image
조선의 농업 발전은 일본의 덕분이었....... ほたる 2014-10-23 4181 0
5135
No Image
한국의 「한」이란, 한민족의 나라였....... studman 2014-10-23 4541 0
5134
No Image
박·산미의 발언은 한국 현대사에 기....... jitou6000 2014-10-22 3859 0
5133
No Image
日帝의 산미증식계획과 농민운동 namgaya33 2014-10-21 3703 0
5132
No Image
자국의 역사와 문화에 관해서 열등감....... jitou6000 2014-10-19 4076 0
5131
No Image
이런 일을 식민지에 베푼 나라는 있었....... dkool 2014-10-13 4172 0
5130
No Image
ha 魂鬼 2014-10-04 2755 0
5129
No Image
푸젠성과 대불양식 건축, 계속되어 栄養市民 2014-10-02 3392 0
5128
No Image
밥 그릇 이야기 namgaya33 2014-10-02 4577 0
5127
No Image
일제가 파괴한 경희궁 복원 qwaqswq 2014-09-29 3179 0
5126
No Image
washoku dkool 2014-09-25 3369 0
5125
No Image
re:한복의 종류 2 (남성의 분)  sumatera 2014-09-20 3541 0
5124
No Image
한복의 종류 1 (여성편) namgaya33 2014-09-19 5004 0
5123
No Image
한복의 종류 2 (남성편) namgaya33 2014-09-19 9096 0
5122
No Image
푸젠성과 대불양식 건축 栄養市民 2014-09-13 338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