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

 

 

我が民族の歴史が始まった以来幾多の外的の侵犯があったがその時ごとにうちの先祖たちは熱い救国(救国)の意志とすごい闘志で国難(国難)を乗り越えて来た. 国難にあう度に卓越なリーダーシップを発揮して民族的気象を高くふるった救国の英雄はいちいち数え切れないだけ多いが, 李舜臣こそその多い英雄, 豪傑, 忠臣, 烈士の中にもきっての偉人という事実にはその誰も異意を申し立てることができないだろう.

李舜臣(李舜臣)は韓国歴史上最高の戦争英雄で壬辰の乱(壬辰倭乱), 丁酉災乱(丁酉再乱)という未曽有の災いにあって国と同胞の滅亡が目の前に至った時朝鮮水軍を総指揮していろいろの不利な与件の中でも必勝の信念とすごい戦略で勝ちっ放し(連戦連勝)をあげた不世出の名将だった. 彼は貧しい士の息子に生まれて 54年の長くない一生を送る間あらゆる苦難の中でもひたすら忠孝(忠孝), 仁義(仁義)と愛国愛族精神(愛国愛族精神)に一貫した民族の大きい師匠だった.

イギリス海軍兵学校校長を勤めたビルラド(G.A.Billard) 所長(少将)は ¥”朝鮮の李舜臣という海軍提督がネルソン(Horatio Nelson)に劣らないすぐれた指揮官という事実をイギリス人たちは認めにくいが李舜臣が東洋最高の海軍提督という点は否定することができない事実だ.¥”と李舜臣を評価した. 中国係アメリカ人歴史学者でアメリカワシントン州立大学校教授であるレイ硫黄(Ray Hwang) 博士は東洋史 3台戦争英雄で朝鮮の李舜臣(李舜臣), ベトナム多異美瑛王朝のチェンフンダオ[千訓道], 中国明のワンスングファン(袁崇煥)を持ちながらその中でも李舜臣が一番偉い手柄を残した英雄だとほめたたえた.

今日国内外の情勢, 特に再び抜けた政治的, 経済的危機に照らして見る時李舜臣は今まで知られて来た節税の名将, 救国の英雄という面貌に加えてすごいリーダーシップを取り揃えた最高経営者だったという事実を今更節減するようになる. 21世紀という新しい激変の時代, 激動の時代を迎えて強大国たちとの無限競争で生き残るためにしても私たちは東西古今(東西古今)のどんな偉人よりも偉かった聖雄(聖雄) 李舜臣のリーダーシップを通じて国難克服の知恵を捜さなければならないでしょう.

◆ 李舜臣の緻密な備え

壬辰の乱(壬辰倭乱) 勃発 14ヶ月の前に全裸左水使(全羅左水使)で赴任した李舜臣(李舜臣)は将来まさしく戦争が起こることを予測して防備を徹底的にしていた.

彼は疲弊された軍船と武器を整備して, 火薬を作って備蓄する一方, 烽燧台を積んで大きい石を運んで来て救命をくぐって鎖を朴沖合に横切っておいたし, 不撤昼夜で軍事たちを訓練させるなど臨戦態勢整備に渾身の努力を傾けた. そうして自分の旗下水軍を前になかった精鋭軍で変貌させた.

あの時朝鮮の軍事力は建国初期の丈夫だった国防体系がほとんど崩れて有名無実した都合だった.

本来朝鮮王朝は軍事を中央君と地方君で分けたが, 中央君では五衛都総部(五衛都〓府) 傘下に中尉, 前衛, 後衛, ズァウィ, 優位を置いた. 中尉はソウル中部と京畿道, 江原道, 忠清道, 黄海道, 前衛はソウル南部と全羅道, 後衛はソウル北部と咸境道, ズァウィはソウル東部と慶尚道, 優位はソウル西部と平安道の地方君を指揮した. しかしこの五衛都総部体制は壬辰の乱が裂ける前の中宗(中宗) 時に設置された備辺司(備辺司) 体制に変わった.

地方君は津寛制(鎭管制)だと言って全国 8度の監営や戦略的要衝地1-2ケ所に主震(主鎭), 都内主要邑城に巨津(巨鎭), 郡県には梯陣(諸鎭)を設置したが, これは戦争が起こればそれぞれ自分の陣営は自分の力で守るようにした一種の地域防御戦略概念だった. これによって京畿道には漢城に主震, 光州, 水原など 6個邑城に巨津, 利川, 安城など 38個郡県に梯陣があったし, 慶尚道には常住, 蔚山なども所に主震, 安東, 晋州など 7個邑城に巨津, 梁山など 81個郡県に梯陣があった. また全羅道には全州, 強震も所に主震, 羅州, スンチョンなど 7個邑城に巨津, 金堤, 光州など 66個郡県に梯陣があった. この外に他の地方も似ていたし, これら陣営は周辺に城郭と酸性を積んで非常時に備えた.

このような主震には兵馬節度使を置いて群舞(軍務)をチォルグァルするようにしたが 1人は必ず文官であるその道義観さつ使が兼職して, 残り 1, 2個病魔社だけ無関が引き受けるようにした. また病魔社下には粗放場を置いて補佐するようにした. 一方巨津には節制社とチォムゾルゼサ, 梯陣にはドングチォムゾルゼサと節制都尉など無関の補職があったがこの頃責任者である万戸を除き皆文官であるその村行政責任者である富潤, 副詞, 牧師, 軍需, 県令, 県監などが兼職した. そうするうちに戦争が起これば調整では陸軍, 海軍総司令官柄である桃源数を任命したが, これも文官の中で元老を任命したし, 王命を受けて現地を巡視して群舞を統べる都巡弁士や巡辺使なども皆文官出身を任命した.

はじめから儒教を統治理念で立てた朝鮮はこのように徹底的な文官優位の国だった. 官職を連れ(文官)と西班(無関) など両班で分けたがあくまでも連れすなわち文官中心に国家を運営した. 国王以来最高の議決機構である議政府(議政府)では文官だけ入って行ったし, はなはだしくは国防を担当する兵曹版にも他人が(南怡)の場合のように一二名の例外を抜いてからは代代に文官が占めた.

またすべての軍事問題を扱う備辺司にも最高責任者である徒弟組(都提調)には文官である私は, 現職領議政, ジェウィゾング, 右議政が引き受けたし, その下の製造たちも皆文官である朝鮮王朝, 好調, 礼曹判書, 兵曹判書と強化流水など 5人が兼職した. ただ壬辰の乱が起きた直後には先祖は備辺司副題組に無関を任命した.

◆ 陸軍よりは比較的強かった朝鮮水軍

しかし朝鮮水軍は早くから強軍で発展したからこれはひたすら古代の三国時代から過激に侵犯して来た 倭寇 のためだった. 水軍は陸軍の津寛制と同じく角度に水軍節度使を置いて, その下のチォムゾルゼサとドングチォムゾルゼサを置いたし, 潟この頃には水軍万戸を配置した.

しかしこのような津寛制は軍事たちが各陣営ごとに分散配置されたわけに随時に侵犯して来た 倭寇に效果的に対処することができない弱みが現われた. 津寛制の弱みが露出すると調整は昔の世宗(世宗) 時に搖り返し族を征伐して六猿を開拓したキム・ジョンソ(金宗瑞)が主唱して二日(李鎰)がハムギョン都兵馬使(咸鏡道兵馬使)である時に発展させたゼスングバングリャック(制勝方略)を採択した.

ゼスングバングリャックは有事時各陣営に配置された軍事たちを戦略的要衝地1ヶ所に集まるようにして, 中央から下った長寿の指揮を受けて敵軍を退けるという戦略概念だった. ところでこのゼスングバングリャックも実際に戦争が起こると1ヶ所に集結させた部隊が潰滅されれば周辺すべての陣営が無防備状態になってしまう虚点を余地もなく現わした. また成宗(成宗) 時編纂された朝鮮王朝の憲法である経国大典(経国大典)によれば常駐軍が 20余万人はイッオはするが壬辰の乱開戦初期まで朝鮮陸軍と水軍は皆合わせまだ 10万名にならなかったことに推定される.  

徴兵対象は 16才以上 60歳までになっていたがこれも政治の紊乱によって有名無実した. そんなわけに利率曲(李栗谷)が死ぬことの前に ¥”十万佯病説(十万良兵説)¥”を建議したのだ.

一方, そういう国防相の多くの問題にもかかわらず当時李舜臣が育成した朝鮮水軍は当代最強の海軍だと言うに値した.

当時日本水軍が陸軍を戦場で積んで運ぶ輸送船団役目で大きく脱す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し, 明水軍も独自の編制と作戦能力が非常に不実だったこととは違い朝鮮水軍は遠洋海軍ではなかっただけ, 独自の編制と作戦能力を取り揃えた力強い艦隊だったことだ.

世宗実録地理志(世宗実録地理志)によれば朝鮮水軍の編制上軍船は総 829尺が全国のスイミング(水営)に配置されたことで出る. 軍船はそれぞれ大統領選挙, 重大船, 中線, クェソンなどとしてこのなかに慶尚道が 285尺で一番多かったし, 水軍総兵力は 50177人だったことで出る. ところで成宗の時には大統領選挙, 中線などのこの編制がメングソンに変わって定員 80人の大猛船が 80尺, 定員 60人のズングメングソンが 192尺, 定員 30人の小猛船が 216尺など皆 488尺に普段軍事が配置されない大根だね予備船で大猛船 1尺, ズングメングでは 3尺, 小猛船 245尺など皆 737尺が配置するようになっているし水軍総兵力は 48800人で出る.

しかし朝鮮水軍は日本の内戦によって 倭寇の侵犯が遠のく平和の時に迎えるによってその機能が戦闘艦だと言うよりは単純な細美運搬船に弱化されてしまったのだ.

一方伝えることの姿も変化した. 倭寇のお腹が平面で甲板の上にふたが付いた玉では(屋船)に変わって高さも高くなると朝鮮でもここに対立するためにお腹の上に一層をもっとあげて甲板を作ってその中にパンオックを作って指揮官が指揮するようにする一方, 2個の帆柱は戦闘が始まれば寝かすことができる板屋船を開発した.

これによって広い甲板は配意屋根役目もして, 高い甲板の上に大砲を設置して上から下で見下ろして砲撃もする数イッオの前よりずっと力強い威力を発揮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なった.

も乗務補助員数も増えて板屋船の定員は 164人になったし, 後で水軍総司令官である統制使が乗る旗艦であるパンオックデソンはこれよりもっと多い 194名も乗ることができた.

板屋船の定員 164人の中 100人余りは櫓を漕ぐ軍事であるギョックグン(格軍)で, 24人は砲手(砲手), 10人は火砲場(火砲匠), そして 18人は弓うつ軍事である士夫(射夫)だった.

朝鮮水軍のズリョックハムである板屋船は木質が丈夫な松丸太骨組に普通木船の 2倍にのぼる厚さ 13cmもなる板材を使ったので日本の伝えるに比べて越等に堅固だった. そんなわけに海戦で日本の伝えることは朝鮮水軍の伝えることと向い合ってぶつかれば余地もなくこわれてしまった.

日本の伝えることは前から盗みをしてから不利ならば素早く逃げなければならないので軽くてすらっとするようにしたからとても弱かった. しかしこれとは違い朝鮮水軍の伝えることは沿岸から侵犯して来る 倭寇の伝えることを受けて攻撃すれば良かったので相対的に遅い代わりに越等に丈夫だったのだ.

壬辰の乱の時の日本伝えることは最大のことがアダケフだね[安宅船], 主力伝えることが関部だね[関船], そして輸送と連絡に主に使われるゴバなの[小早] などがあった.

参照書籍; ファングワンガブ(黄源甲) 著述 ¥”復活する李舜臣¥” エコービーズニス(EcoBusiness) 2004, キム・ジョンデ(金宗代) 著述 ¥”神さま(臣)にはまだヨルドチォックの軍船があります.¥” ブックポス(BookFors) 2001, ツェドソック(崔頭錫) 著述 ¥”壬辰の乱(壬辰倭乱)と李舜臣(李舜臣)¥” 一刻 1999, 金蛍光(金炯光) 著述 ¥”人物に見る朝鮮社(朝鮮史)¥” シアツルパンサ 2003.

{引き続き}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3.히데요시의 야욕 (2)

 

 

우리 민족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수많은 외적의 침범이 있었으나 그때마다 우리 선조들은 뜨거운 구국(救國)의 의지와 비상한 투지로 국난(國難)을 극복해왔다. 국난을 당할 때마다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민족적 기상을 높이 떨친 구국의 영웅은 일일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지만, 이순신이야말로 그 숱한 영웅, 호걸, 충신, 열사 가운데서도 으뜸가는 위인이라는 사실에는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것이다.

이순신(李舜臣)은 한국 역사상 최고의 전쟁 영웅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정유재란(丁酉再亂)이라는 미증유의 재앙을 당해 나라와 겨레의 멸망이 눈앞에 이르렀을 때 조선 수군을 총지휘하여 갖가지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필승의 신념과 비상한 전략으로 연전연승(連戰連勝)을 올린 불세출의 명장이었다. 그는 가난한 선비의 아들로 태어나 54년의 길지 않은 일생을 보내는 동안 온갖 고난 속에서도 오로지 충효(忠孝), 인의(仁義)와 애국애족정신(愛國愛族精神)으로 일관한 민족의 큰 스승이었다.

영국 해군사관학교 교장을 지냈던 빌라드(G.A.Billard) 소장(少將)은 "조선의 이순신이라는 해군 제독이 넬슨(Horatio Nelson)에 버금가는 뛰어난 지휘관이라는 사실을 영국인들은 인정하기 힘들겠지만 이순신이 동양 최고의 해군 제독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라고 이순신을 평가하였다. 중국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 교수인 레이 황(Ray Hwang) 박사는 동양사 3대 전쟁 영웅으로 조선의 이순신(李舜臣), 베트남 다이비에이 왕조의 첸 훈다오[千訓道], 중국 명나라의 원숭환(袁崇煥)을 들면서 그 중에서도 이순신이 가장 위대한 공훈을 남긴 영웅이라고 칭송하였다.

오늘날 나라 안팎의 정세, 특히 또다시 빠진 정치적, 경제적 위기에 비추어볼 때 이순신은 지금까지 알려져 왔던 절세의 명장, 구국의 영웅이라는 면모에 더해 비상한 리더십을 갖춘 최고 경영자였다는 사실을 새삼 절감하게 된다. 21세기라는 새로운 격변의 시대, 격동의 시대를 맞이하여 강대국들과의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도 우리는 동서고금(東西古今)의 그 어떤 위인보다도 위대했던 성웅(聖雄) 이순신의 리더십을 통해 국난극복의 지혜를 찾아야 할 것이다.

◆ 이순신의 치밀한 대비

임진왜란(壬辰倭亂) 발발 14개월 전에 전라좌수사(全羅左水使)로 부임한 이순신(李舜臣)은 장차 틀림없이 전쟁이 일어날 것을 예측하고 방비를 철저히 하고 있었다.

그는 피폐해진 군선과 무기를 정비하고, 화약을 만들어 비축하는 한편, 봉수대를 쌓고 큰 돌을 날라다가 구명을 뚫고 쇠사슬을 박 아 앞바다에 가로질러 놓았으며, 불철주야로 군사들을 훈련시키는 등 임전태세 정비에 혼신의 노력을 기울였다. 그렇게 하여 자신의 휘하 수군을 전에 없던 정예군으로 변모시켰다.

그때 조선의 군사력은 건국 초기의 튼튼했던 국방체계가 거의 무너져 유명무실한 형편이었다.

본래 조선왕조는 군사를 중앙군과 지방군으로 나누었는데, 중앙군으로는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산하에 중위, 전위, 후위, 좌위, 우위를 두었다. 중위는 서울 중부와 경기도, 강원도, 충청도, 황해도, 전위는 서울 남부와 전라도, 후위는 서울 북부와 함경도, 좌위는 서울 동부와 경상도, 우위는 서울 서부와 평안도의 지방군을 지휘했다. 그러나 이 오위도총부 체제는 임진왜란이 터지기 전인 중종(中宗) 때에 설치된 비변사(備邊司) 체제로 바뀌었다.

지방군은 진관제(鎭管制)라 하여 전국 8도의 감영이나 전략적 요충지 한두곳에 주진(主鎭), 도내 주요 읍성에 거진(巨鎭), 군현에는 제진(諸鎭)을 설치했는데, 이는 전쟁이 일어나면 각각 자기 진영은 자기 힘으로 지키도록 한 일종의 지역방어 전략 개념이었다. 이에 따라 경기도에는 한성에 주진, 광주, 수원 등 6개 읍성에 거진, 이천, 안성 등 38개 군현에 제진이 있었고, 경상도에는 상주, 울산 등 두 곳에 주진, 안동, 진주 등 7개 읍성에 거진, 양산 등 81개 군현에 제진이 있었다. 또 전라도에는 전주, 강진 두 곳에 주진, 나주, 순천 등 7개 읍성에 거진, 김제, 광주 등 66개 군현에 제진이 있었다. 이 밖에 다른 지방도 비슷했으며, 이들 진영은 주변에 성곽과 산성을 쌓아 비상시에 대비했다.

이러한 주진에는 병마절도사를 두어 군무(軍務)를 촐괄토록 했는데 1명은 반드시 문관인 그 도의 관찰사가 겸직하고, 나머지 1, 2개 병마사만 무관이 맡게 했다. 또 병마사 밑에는 조방장을 두어 보좌토록 했다. 한편 거진에는 절제사와 첨절제사, 제진에는 동첨절제사와 절제도위 등 무관의 보직이 있었으나 요새 책임자인 만호를 제외하고는 모두 문관인 그 고을 행정 책임자인 부윤, 부사, 목사, 군수, 현령, 현감 등이 겸직했다. 그러다가 전쟁이 나면 조정에서는 육군, 해군 총사령관 격인 도원수를 임명했는데, 이 또한 문관 가운데서 원로를 임명했으며, 왕명을 받아 현지를 순시하고 군무를 총괄하는 도순변사나 순변사 등도 모두 문관 출신을 임명했다.

처음부터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내세운 조선은 이처럼 철저한 문관 우위의 나라였다. 관직을 동반(문관)과 서반(무관) 등 양반으로 나누었으나 어디까지나 동반 즉 문관 중심으로 국가를 운영했다. 국왕 이래 최고의 의결기구인 의정부(議政府)에서는 문관만 들어갔고, 심지어는 국방을 담당하는 병조판서도 남이(南怡)의 경우처럼 한두명의 예외를 빼고는 대대로 문관이 차지했다.

또 모든 군사문제를 다루는 비변사에도 최고 책임자인 도제조(都提調)에는 문관인 전, 현직 영의정, 죄의정, 우의정이 도맡았고, 그 아래 제조들도 모두 문관인 이조, 호조, 예조, 병조판서와 강화유수 등 5명이 겸직했다. 다만 임진왜란이 일어난 직후에야 선조는 비변사 부제조에 무관을 임명했다.

◆ 육군보다는 비교적 강했던 조선 수군

그러나 조선 수군은 일찍부터 강군으로 발전했으니 이는 오로지 고대의 삼국시대부터 극성스럽게 침범해온 倭寇 때문이었다. 수군은 육군의 진관제와 마찬가지로 각도에 수군절도사를 두고, 그 아래 첨절제사와 동첨절제사를 두었으며, 포구 요새에는 수군만호를 배치했다.

그러나 이러한 진관제는 군사들이 각 진영마다 분산 배치된 까닭에 수시로 침범해온 倭寇에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없는 취약점이 나타났다. 진관제의 취약점이 노출되자 조정은 옛날 세종(世宗) 때에 여진족을 정벌하고 육진을 개척한 김종서(金宗瑞)가 주창하고 이일(李鎰)이 함경도병마사(咸鏡道兵馬使)로 있을 때에 발전시킨 제승방략(制勝方略)을 채택했다.

제승방략은 유사시 각 진영에 배치되었던 군사들을 전략적 요충지 한 곳에 모이도록 하고, 중앙에서 내려온 장수의 지휘를 받아 적군을 물리친다는 전략개념이었다. 그런데 이 제승방략 또한 실제로 전쟁이 터지자 한 곳에 집결시킨 부대가 궤멸당하면 주변 모든 진영이 무방비 상태가 되어버리는 허점을 여지없이 드러냈다. 또한 성종(成宗) 때 편찬된 조선왕조의 헌법인 경국대전(經國大典)에 따르면 상비군이 20여만명은 잇어야 하지만 임진왜란 개전 초기까지 조선 육군과 수군은 모두 합쳐 채 10만명이 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징병 대상은 16세 이상 60세까지로 되어 있었지만 이 또한 정치의 문란에 따라 유명무실했다. 그런 까닭에 이율곡(李栗谷)이 죽기 전에 "십만양병설(十萬良兵說)"을 건의했던 것이다.

한편, 그러한 국방상의 여러 문제에도 불구하고 당시 이순신이 육성한 조선 수군은 당대 최강의 해군이라고 할만했다.

당시 일본 수군이 육군을 전장으로 실어 나르는 수송선단 역할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고, 명나라 수군도 독자적인 편제와 작전 능력이 매우 부실했던 것과는 달리 조선 수군은 원양 해군이 아니었을 뿐, 독자적인 편제와 작전 능력을 갖춘 강력한 함대였던 것이다.

세종실록 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 따르면 조선 수군의 편제상 군선은 총 829척이 전국의 수영(水營)에 배치된 것으로 나온다. 군선은 각각 대선, 중대선, 중선, 쾌선 등으로서 이 가운데 경상도가 285척으로 가장 많았으며, 수군 총병력은 50177명이었던 것으로 나온다. 그런데 성종 때에는 대선, 중선 등의 이 편제가 맹선으로 바뀌어 정원 80명의 대맹선이 80척, 정원 60명의 중맹선이 192척, 정원 30명의 소맹선이 216척 등 모두 488척에 평상시 군사가 배치되지 않은 무군 예비선으로 대맹선 1척, 중맹선 3척, 소맹선 245척 등 모두 737척이 배치토록 되어 있으며 수군 총병력은 48800명으로 나온다.

하지만 조선 수군은 일본의 내전에 따라 倭寇의 침범이 뜸한 평화시를 맞음에 따라 그 기능이 전투함이라기보다는 단순한 세미 운반선으로 약화되어 버렸던 것이다.

한편 전함의 모습도 변화했다. 倭寇의 배가 평면에서 갑판 위에 뚜껑이 달린 옥선(屋船)으로 바뀌고 높이도 높아지자 조선에서도 이에 맞서기 위해 배 위에 한층을 더 올려 갑판을 만들고 그 가운데에 판옥을 지어 지휘관이 지휘토록 하는 한편, 2개의 돛대는 전투가 시작되면 누일 수 있는 판옥선을 개발했다.

이에 따라 넓은 갑판은 배의 지붕 역할도 하고, 높은 갑판 위에 대포를 설치하여 위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며 포격도 할 수 잇어 전보다 훨씬 강력한 위력을 발휘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승조원 수도 늘어나 판옥선의 정원은 164명이 되었고, 나중에 수군 총사령관인 통제사가 타는 기함인 판옥대선은 이보다 훨씬 많은 194명이나 탈 수 있었다.

판옥선의 정원 164명 가운데 100여명은 노 젓는 군사인 격군(格軍)이고, 24명은 포수(砲手), 10명은 화포장(火砲匠), 그리고 18명은 활 쏘는 군사인 사부(射夫)였다.

조선 수군의 주력함인 판옥선은 목질이 튼튼한 소나무 통나무 골조에 보통 목선의 2배에 이르는 두께 13cm나 되는 판재를 사용했으므로 일본의 전함에 비해 월등하게 견고했다. 그런 까닭에 해전에서 일본의 전함은 조선 수군의 전함과 마주 부딪치면 여지없이 부서지고 말았다.

일본의 전함은 전부터 노략질을 하다가 불리하면 재빨리 도망쳐야 하므로 가볍고 날씬하게 만들었기 때문에 아주 약했다. 하지만 이와는 달리 조선 수군의 전함은 연안에서 침범해오는 倭寇의 전함을 맞받아 공격하면 되었으므로 상대적으로 느린 대신 월등하게 튼튼했던 것이다.

임진왜란 때의 일본 전함은 가장 큰 것이 아다케후네[安宅船], 주력 전함이 세키부네[關船], 그리고 수송과 연락에 주로 쓰이는 고바야[小早] 등이 있었다.

참고서적; 황원갑(黃源甲) 저술 "부활하는 이순신" 에코비즈니스(EcoBusiness) 2004, 김종대(金宗代) 저술 "신(臣)에게는 아직도 열두척의 군선이 있습니다." 북포스(BookFors) 2001, 최두석(崔頭錫) 저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이순신(李舜臣)" 일각 1999, 김형광(金炯光) 저술 "인물로 보는 조선사(朝鮮史)" 시아출판사 2003.

{계속}


TOTAL: 9080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120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8.釜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6 9658 0
119
No Image
今の日本人たちはなさけない.. siraki 2009-02-05 11167 0
118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7.義兵.......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5 9810 0
117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7.義兵.......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5 10020 0
116
No Image
日本人たちの嘘... siraki 2009-02-04 11594 0
115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6.閑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3 9891 0
114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6.閑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3 9759 0
113
No Image
不滅の李舜臣 sissy 2009-02-03 11254 0
112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番外編 (....... ex2004 2009-02-03 10243 0
111
No Image
友好の道が見えない... cutebulleta 2009-02-02 10654 0
110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5.朝鮮.......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2 9880 0
109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5.朝鮮.......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2 10263 0
108
No Image
今の日本人たちは新羅を崇拜しなけ....... siraki 2009-02-01 10980 0
107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4.壬辰.......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1 10823 0
106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4.壬辰.......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1 10447 0
105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4.壬辰.......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1 10702 0
104
No Image
正倉院の宝物−朝鮮半島編 nihonchyan 2009-02-01 22027 1
103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3.秀吉....... 渤海成宗宣皇帝 2009-01-30 11371 0
102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3.秀吉....... 渤海成宗宣皇帝 2009-01-30 10775 0
101
No Image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3.秀吉....... 渤海成宗宣皇帝 2009-01-30 1040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