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형/RC Relationship




입력 : 2016.01.31 12:00

 

나로호 발사 3주년...독자 기술 완성하고 한국형발사체(로켓) 내년 12월 시험 발사



“비바람이 무척 심합니다. 강풍을 피해 나로호 발사대 지하시설로 안내하겠습니다. 언론에 발사대 지하를 공개하는 것은 처음입니다.”

지난 28일 오후 전남 고흥 외나로도에는 비바람이 거세게 몰아쳤다. 이곳에는 정확히 3년 전인 2013년 1월 30일 한국 첫 우주 발사체(로켓) ‘나로호(KSLV-1)’가 2번의 실패 끝에 발사에 성공한 ‘나로우주센터’가 있다. 강선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발사대팀장은 나로호가 화염과 굉음을 뿜으며 하늘로 솟구쳤던 발사대 지하를 공개했다.

철조물로 만들어진 계단을 따라 내려가니 미로 같은 통로가 나타났다. 몇 차례를 꺾어 들어선 방에는 데이터센터의 대형 서버(중대형 컴퓨터)처럼 생긴 철제 캐비닛이 늘어서 있었다. 하지만 캐비닛 속은 모두 비어있었다.

“나로호 발사 당시 러시아 엔지니어들이 쓰던 제어장비들입니다. 발사 운용에 필요한 전자장비들이지요. 그러나 발사 직후 러시아가 모두 다시 가져갔습니다.” 강 팀장의 설명이 이어졌다.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여기에 있었던 발사대온도제어계, 연료공급계 등 각종 전자장비들을 이미 자체 기술로 모두 개발했기 때문입니다.”

강팀장의 목소리에는 자신감이 넘쳤다. 나로우주센터 현장 연구자들은 나로호 발사로 얻은 경험과 노하우를 발판으로 ‘한국형 발사체(KSLV-2)’ 개발에 모든 것을 쏟아붓고 있었다.


75톤급,7톤급 액체엔진_01.jpg

 2번의 실패 끝에 2013년 1월 30일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2번의 실패 끝에 2013년 1월 30일 발사에 성공한 나로호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 한국형 발사체(로켓) 2017년 12월 시험대 오른다


 내년 12월에 발사하는 시험발사체 예상도.
 내년 12월에 발사하는 시험발사체 예상도.

이날 나로우주센터 중앙관제실에서 한국형발사체 사업을 소개한 고정환 항우연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본부장은 “현재 개발 중인 한국형발사체 시험 발사를 내년 12월 진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항우연은 2019년 12월, 2020년 6월 두차례에 걸쳐 한국형 발사체(로켓)를 발사할 계획을 갖고 있다. 이들 발사는 원래 설계대로 3단의 한국형 발사체를 완성해 발사하는 것인데, 이에 앞서 75톤급 1기와 7톤급 1기로 구성해 독자 개발한 엔진의 비행 성능을 시험 발사하는 것이다. 

고 본부장은 “현재 개발중인 추진력 75톤(t)급 액체엔진 1기와 7톤(t)급 액체엔진 1기로 구성된 시험발사체를 쏘는 것”이라며 “자체 기술력으로 개발한 엔진이 지상 연소 실험이 아닌 실제로 비행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게 목적”이라고 말했다. 항우연이 한국형 발사체 ‘시험’ 발사 일정과 구체적인 스펙을 공개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형 발사체(로켓) 개발 사업은 1.5톤급의 실용위성을 지구저궤도(고도 600~800km)에 쏘아올릴 수 있는 3단형 발사체를 자체 기술로 개발하는 게 골자다. 75톤급 액체엔진 4기를 묶어서 1단 엔진(총 추진력 300톤)으로 만들고, 그 위에 75톤급 엔진 1기로 구성된 2단 엔진과 7톤급 엔진 1기로 구성된 3단 엔진으로 얹는다. 75톤급 엔진의 추진력은 약 1.1톤의 경차 70대를 쏘아올릴 수 있는 힘과 같다.

◆ 불안정 연소 잡고, 최적의 ‘시퀀스’ 확보가 관건

28일 방문한 나로우주센터는 75톤급 액체엔진과 7톤급 액체엔진을 개발하기 위한 설비를 대부분 갖췄다. 엔진지상 시험설비 제어계측동과 연소설비, 고공연소설비, 3단엔진(7톤급) 연소설비 등이 눈에 들어왔다. 나로호 발사대 옆에서 한국형 발사체(로켓) 발사대 공사가 진행되고 있었다. 


                                             건설중인     kslv-2 전용 발사대

             

가장 먼저 둘러본 엔진지상 시험설비 제어계측동(이하 제어계측동)은 모든 설비를 제어할 수 있는 곳이다. 화재 등 비상시 밸브 차단, 정전 대비 무정전 전원장치(UPS) 가동, CCTV 및 열화상카메라 제어, 3단계 소화 설비 가동 등 연소 실험 및 안전과 관련된 모든 통제를 이곳에서 할 수 있다.

제어계측동은 한 눈에 연소실험 현황을 보는 것 말고도 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바로 불안정 연소 현상을 파악하고 연소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시퀀스)을 면밀하게 분석하는 것이다.

지난해 12월 100초 연소 실험에 성공한 7톤급 액체엔진 연소 장면을 헬리캠이 촬영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지난해 12월 100초 연소 실험에 성공한 7톤급 액체엔진 연소 장면을 헬리캠이 촬영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김성룡 책임연구원은 “엔진 실험 설비 내부에 저주파·고주파 장비를 설치, 불안정 연소현상과 엔진 진동을 파악하고 있다”며 “가장 중요한 것은 산화제와 연료를 연소기 내에 공급하는 타이밍을 잡는 최적의 ‘시퀀스’를 확보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형 발사체의 엔진은 크게 연소기와 가스 발생기, 터보펌프로 구성된다. 먼저 가스발생기가 고압가스 연소를 통해 터보펌프의 터빈을 작동시키면 터보펌프는 연소실에 약 100바(1바는 약 1기압)의 압력으로 초당 170kg의 산화제(액체산소)와 80kg의 연료(항공등유)를 연소기에 공급한다. 연소기에서는 약 60바의 압력으로 연료가 연소되고 이 때 나오는 고온, 고압 가스를 노즐을 통해 분출해 추진력을 얻는다.

엔진의 이런 작동 과정은 계산에 의해 나오는 것이 아니다. 다수의 실험으로 노하우를 확보해야 한다는 것이다. 고정환 본부장은 “여러 개의 밸브가 적절한 시간에 맞춰 정확하게 작동돼야 불안정 연소를 최소화하고 정상적인 엔진 연소 반응이 나올 수 있다”며 “이미 지난해 12월 7톤급 엔진을 100초 동안 연소시키는 데 성공했고 조만간 75톤급 엔진 연소 실험도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고공 연소 실험까지 마쳐야...지금부터가 중요

지난해 12월 100초 연소 실험에 성공한 7톤급 3단엔진이 있었던 곳에서는 약간의 그을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엔진 아래쪽 약 20m 깊이로 만들어진 화염 및 고온고압 가스 배출 통로에서는 냉각장치를 가동한 흔적도 남아있다. 연소실 내부 온도는 약 3300도, 화염 온도 1800도에 달하기 때문에 실험에서 냉각장치는 필수적이다.



75톤급,7톤급 액체엔진_03.jpg

▲ 한국형발사체 1단에 적용되는 75톤급 액체 로켓엔진의 핵심 구성품인 연소기를 나로우주센터 연소기 연소시험설비에서 시험 하고 있는 장면.ⓒ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우연 나로우주센터 연구원들이 7톤급 액체엔진 연소 실험을 위해 엔진을 점검하고 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항우연 나로우주센터 연구원들이 7톤급 액체엔진 연소 실험을 위해 엔진을 점검하고 있다.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

바로 옆에는 직경 3m, 높이 5m에 이르는 진공 챔버가 있고 챔버 내부엔 7톤급 엔진 목업이 있었다. 목업은 실제 장비를 제작하기 앞서 각 부품 배치 등을 실제와 똑같이 만든 실물 크기의 모형이다.

김종규 책임연구원은 “7톤급인 3단엔진은 고도 170km에서 엔진이 점화해야 하기 때문에 진공과 거의 다름 없는 0.05기압 환경에서도 연소 실험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마찬가지로 75톤급 엔진인 2단 엔진도 고도 70km 이상에서 작동해야 하기 때문에 1단 엔진과는 설계가 달라야 한다”며 “진공챔버에서 고공 연소 실험도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항우연은 올해 7톤급 액체엔진의 임무 시간인 약 500초까지 연소 시간을 늘리기로 했다. 75톤급 엔진(1단) 연소실험은 2월부터 진행하고 3단 엔진 고공 연소실험은 6월쯤, 2단 엔진 고공 연소 실험은 올해 말쯤 진행한다.

조광래 항우연 원장은 “엔진 개발시 가장 어려웠던 불안정 연소 등을 거의 해결했기 때문에 앞으로 남은 일정대로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31/2016013100455.html



                                         kslv2 75톤조립체                        7톤 엔진 목업



235235




入力 : 2016.01.31 12:00

ナロホ打ち上げ 3周年...読者技術完成して韓国型発死体(ロケット) 来年 12月試験打ち上げ



“雨風がすごくひどいです. 強風を避けてナロホ発射台地下施設で案内します. 言論に発射台地下を公開することは初めてです.”

去る 28日午後全南コフンウェナロ島には雨風が荒々しく急きまくった. こちらには正確に 3年前の 2013年 1月 30日韓国初宇宙足死体(ロケット) ‘ナロホ(KSLV-1)’が 2番(回)の失敗あげく打ち上げに成功した ‘ナロウズセント’がある. 鋼船である韓国航空宇宙研究員(以下ハングウヨン) 発射台チーム長はナロホが火炎と轟音をふいて空でほとばした発射台地下を公開した.

鉄條物で作られた階段に沿って下がったら迷路みたいな通路が現われた. 何回を折って立ち入った部屋にはデータセンターの大型サーバー(中大型コンピューター)のように見える鉄製キャビネットが竝んでいた. しかしキャビネットの中は皆空いていた.

“ナロホ打ち上げ当時ロシアエンジニアたちが使った制御装備たちです. 打ち上げ運用に必要な電子装備たちですね. しかし打ち上げ直後ロシアが皆また持って行きました.” 川チーム長の説明がつながった. “心配する必要はないです. ここにあった発射台温度制御係, 燃料供給係など各種電子装備たちをもう自体技術で皆開発したからです.”

強いチーム場の声には自信感が過ぎた. ナロウズセント現場研究者たちはナロホ打ち上げで得た経験とノーハウを足場で ‘韓国型足死体(KSLV-2)’ 開発にすべてのものを降り注いでいた.


75トン級,7トン級液体エンジン_01.jpg

2番(回)の失敗あげく
 2番(回)の失敗あげく 2013年 1月 30日打ち上げに成功したナロホ / 韓国航空宇宙研究員提供


◆ 韓国型足死体(ロケット) 2017年 12月試験台上がる


来年
 来年 12月に発射する試験発死体予想も.

この日ナロウズセント中央官制室で韓国型発死体事業を紹介したゴゾングファンハングウヨンハングックヒョングバルサチェゲバルサアップボンブザングは “現在開発中の韓国型発死体試験打ち上げを来年 12月進行する予定”と明らかにした. ハングウヨンは 2019年 12月, 2020年 6月二度にかけて韓国型足死体(ロケット)を発射する計画を持っている. これら打ち上げは元々設計どおり 3段の韓国型足死体を完成して発射することだが, これに先たち 75トン級 1瓦 7トン級 1期で構成して読者開発したエンジンの飛行性能を試験発射するのだ. 

と本部長は “現在開発中の推進力 75トン(t)級液体エンジン 1瓦 7トン(t)級液体エンジン 1期で構成された試験発死体をうつこと”と言いながら “自体技術力で開発したエンジンが地上燃焼実験ではない実際に飛行することができるかどうかを確認するのが目的”と言った. 項羽軟餌韓国型足死体 ‘試験’ 打ち上げ日程と具体的なスペックを公開したことは今度が初めてだ.

韓国型足死体(ロケット) 開発事業は 1.5トン級の実用衛星をジグゾグェも(高度 600‾800km)に打ち上げることができる 3ダンヒョング足死体を自体技術で開発するのが骨子だ. 75トン級液体エンジン 4育てる縛って 1段エンジン(すべて推進力 300トン)で作って, さらに 75トン級エンジン 1期で構成された 2段エンジンと 7トン級エンジン 1期で構成された 3段エンジンで上げる. 75トン級エンジンの推進力は約 1.1トンの軽自動車 70代を打ち上げることができる力のようだ.

◆ 不安定燃焼取って, 最適の ‘シーケンス’ 確保がカギ

28日訪問したナロウズセントは 75トン級液体エンジンと 7トン級液体エンジンを開発するための設備を大部分取り揃えた. エンジン地上試験設備制御計測洞と燃焼設備, 高空燃焼設備, 3ダンエンジン(7トン級) 燃焼設備などが目に入って来た. ナロホ発射台横で韓国型足死体(ロケット) 発射台工事が進行されていた. 


                                             建設中の     kslv-2 専用発射台

             

一番先に見回したエンジン地上試験設備制御計測洞(以下制御計測洞)はすべての設備を制御することができる所だ. 火事など非常時バルブ遮断, 停電備え無停電電源装置(UPS) 稼動, CCTV 及び烈火上カメラ制御, 3段階消化設備稼動など燃焼実験及び安全と係わるすべての統制をこちらでできる.

制御計測洞は一目に燃焼実験現況を見ることではなくてもっと重要な役目をする. すぐ不安定燃焼現象を把握して燃焼に至るまでの過程(シーケンス)を綿密に分析するのだ.

去年
 去年 12月 100秒燃焼実験に成功した 7トン級液体エンジン燃焼場面をヘルリケムが撮影した. / 韓国航空宇宙研究員提供

金ジャキチャン責任研究員は “エンジン実験設備内部に低周波・高周波装備を設置, 不安定燃焼現象とエンジン震動を把握している”と “一番重要なことは酸化剤と燃料を燃焼機内に供給するタイミングを取る最適の ‘シーケンス’を確保すること”と言った.

韓国型足死体のエンジンは大きく燃焼機とガス発生器, ターボポンプで構成される. 先にガス発生器が高圧ガス燃焼を通じてターボポンプのタービンを作動させればターボポンプは燃焼室に約 100ところ(1バーは約 1気圧)の圧力で秒当たり 170kgの酸化剤(液体酸素)と 80kgの燃料(航空燈油)を燃焼機に供給する. 燃焼機では約 60ところの圧力で燃料が燃焼されてこの時出る高温, 高圧ガスをノズルを通じて噴出して推進力を得る.

エンジンのこんな作動過程は計算によって出るのではない. 多数の実験でノーハウを確保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のだ. ゴゾングファン本部長は “いくつかのバルブが適切な時間に合わせて正確に作動すると不安定燃焼を最小化して正常なエンジン燃焼反応が出ることができる”と “もう去年 12月 7トン級エンジンを 100秒間燃消させるのに成功したし早いうちに 75トン級エンジン燃焼実験も進行する予定”と言った.

◆ 高空燃焼実験まで終えなければ...今からが重要

去年 12月 100秒燃焼実験に成功した 7トン級 3ダンエンジンがあった所では少しの煤煙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た. エンジン下側約 20m 深みで作られた火炎及び高温高圧ガス排出通路ではクーリングシステムを稼動した跡も残っている. 燃焼室内部温度は約 3300度, 火炎温度 1800度に達するから実験でクーリングシステムは必須だ.



75トン級,7トン級液体エンジン_03.jpg

▲ 韓国型発死体 1段に適用される 75トン級液体ロケットエンジンの核心構成品である燃焼機をナロウズセント燃焼機燃焼試験設備で試している場面.c。韓国航空宇宙研究員



ハングウヨンナロウズセント研究員たちが
 ハングウヨンナロウズセント研究員たちが 7トン級液体エンジン燃焼実験のためにエンジンを点検している. / 韓国航空宇宙研究員提供

すぐ側には直径 3m, 高さ 5mに至る真空チャンバがあってチャンバ内部には 7トン級エンジン木業があった. 木業は実際装備を製作するに先立って各部品配置などを実際とまったく同じく作った実物大きさの模型だ.

金宗規責任研究員は “7トン級である 3ダンエンジンは高度 170kmでエンジンが点火しなければならないから真空とあんまり違いない 0.05気圧環境でも燃焼実験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った. 彼はまた “同じく 75トン級エンジンである 2段エンジンも高度 70km 以上で作動しなければならないから 1段エンジンとは設計が違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 “真空チャンバで高空燃焼実験も進行する計画”と明らかにした.

ハングウヨンは今年 7トン級液体エンジンの任務時間の約 500秒まで燃焼時間をふやす事にした. 75トン級エンジン(1段) 燃焼実験は 2月から進行して 3段エンジン高空燃焼実験は 6月頃, 2段エンジン高空燃焼実験は今年の末ほど進行する.

チョ・グヮンレハングウヨン院長は “エンジン開発の時一番難しかった不安定燃焼などをほとんど解決したからこれから残った日程どおり進行することができること”と明らかにした. 

http://biz.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31/2016013100455.html



                                         kslv2 75トンゾリブチェ                        7トンエンジン木業




TOTAL: 1591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871 ddddddddddddddddd carbon 2016-02-06 633 0
870 her webtest01 2016-02-03 578 0
869 235235 komugi1 2016-01-31 3284 0
868 dd 프리스탈 2016-01-28 2528 0
867 tes webtest01 2016-01-28 2794 0
866 dd 프리스탈 2016-01-26 650 0
865 dd 프리스탈 2016-01-26 582 0
864 건담 Mk- nicodass 2016-01-21 718 0
863 d d d carbon 2016-01-16 3028 0
862 d 프리스탈 2016-01-16 656 0
861 Tokyo Olympic stadium carbon 2016-01-13 683 0
860 dd 프리스탈 2016-02-16 2775 0
859 drhfth komugi1 2016-01-10 728 0
858 jgyjhg komugi1 2016-01-10 687 0
857 ghfghf komugi1 2016-01-10 797 0
856 kjljdfgututy komugi1 2016-01-10 945 0
855 ghjjkghk komugi1 2016-01-10 624 0
854 rtyutyuty komugi1 2016-01-10 632 0
853 gdgdfgd komugi1 2016-01-10 796 0
852 한국형 발사체(KSLV- komugi1 2016-01-10 74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