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금은 변하지 않은 불변성 때문에 목걸이 반지 등 장신구나 생활 도구로 많이 사용되었는데 

의복에 금을 사용한 것은 기록으로 

 신라 眞德女王 5년에 金總布에 대한 기록이 있고  

통일 신라시대  興德王 때에  服式   金題에  五頭品   六頭品의  여자  의복에 금니  은니를 금지한다는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 때는 鎖金紅梅花羅  라는   직물 명칭의 기록이 있다 

고려시대 때는 금박이나 付金이라는 명칭 대신에 鎖金이라는 명칭으로 불렀다고 한다 


직물에 金絲를 넣어  문양을 짜는  기술을 織金이라고 하는데 


고려시대  유물로는 1302년 아미타불 복장 유물 중에 주황색 羅에 모란 무늬가  織金된 옷감이 있는데 

현존하는 최초의   유물이다 

 또  1346년 문수사 소장품이 있는데 




보물 제1572호 서산 문수사 금동 아미타 불상(1346년)의 복장   織金된   직물 복원 

藍色鴛鴦紋織金綾이 있다 


■  1.  인금(印金)


복식에 금으로 장식하는 기법에는 


인금(印金) 직금(織金)  金絲刺繡 등 여러 유형이 있다 


印金은 금가루를 사용하는  방법과 금박을 사용하는 방법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金가루를 사용하는 방법에는 니금법(泥金法) 살금법(撒金法)이 있고 

금박을  사용하는 방법에는  첩금법(貼金法)이 있다  


니금법은  고운 금가루나 은가루를  접착제와 함께 반죽하여 이것을 도안에 따라 조각하여 놓은 

목각판에   솔로 칠해서  직물에 찍어 무늬나 윤곽을 만들고  

무늬 안에 색칠을 하는 방법이다 

니금법(泥金法)은 삼국시대  고려시대에  많이 사용한 기법이다 




고려불화 

아미타여래의 옷 문양 


고려불화에서 당시의 직물의 직조 기술을 알 수 있고  직물에  다량의  金泥가 사용된 것을 알 수 있다


金絲는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 까지 사용된 전통 섬유 공예이다

특히 고려시대에는 직금(織金)공예가 발달하였다 

 



살금법(撒金法)은 型紙나  목각판을 사용하여 접착제를 직물에  塗布한 후에 금가루를 뿌리면 

접착제가 塗布된 부분에 금가루가 붙게 되는데 직물에 금가루가 잘 붙도록 눌러 고정시키는 방법이다 


고려시대 직물  유물 중에 금가루가 떨어져 나간 자리에 하얀 접착제만 남아 있는 경우가 있는데  

고려시대는  살금법을   잘 사용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려시대 官營工匠 중에 장야서(掌冶署)에 금박장과  은박장이 있었다는 기록이 있다 


첨급법(貼金法)은 주로  朝鮮시대에 사용한 기법이다 

첩금법은  朝鮮 후기 기록 林圓經濟志에 소개되어 있고 현재까지 전승되고 있다 


중요무형 문화재 金景用의  금박 제작 과정을 간단히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1. 금박 장식을 위해서 먼저 나무판에 문양을 새긴다 

2.문양을 새긴 나무판에 큰 붓으로 접착제(민어 부레)를 바른다 

3. 床 위에 비단을 펼쳐 놓는다 

4. 펴 놓은 비단 위에 금박을   엎어 놓고 흔들리지 않게 주의하며 손에 힘을 주어 무늬가 일정하게 박히도록 

누르며 손바닥으로 내려친다 

5. 비단이 붙어 있는 금박 판을 들고 손바닥으로 살살 문질러 접착제가 비단에 잘 묻도록 한다 

6. 다시 床위에 금박판을 놓고 한 손으로 비단을 누르고 다른 한 손으로 금박 판을 한쪽 끝 부터 떼어낸다 

7. 접착제로 무늬가 박힌 비단 위에 금박지를 한장씩  옮겨 덮는다 

8.금박지가 덮히지 않은 작은 부분에는 손 끝에 금박지를 묻혀서 빈틈없이 메운다 

9. 습기가 없는 마른 손을  가볍게 쥐고 금박지를 올린 위를 골고루 살짝 두드린다 

10.금박지가 잘 마른 다음 부드러운 헝겊으로 가볍게 문지르면  무늬 외에  금박의  여분이 떨어진다 

11.가느다란 칼 끝으로 긁어내며 마무리 한다 




금박장(金箔匠)은 직물위에 얇은 금박으로  글씨나 문양을 찍어내는 기술을 가진 사람을 말한다 


위에 열거한 금박제작 과정은 林圓經濟志에 소개된 금박 제작  방법과 그  기법이 비슷하다고 한다 


 김경용(金景用)에 이어 4대째 가업을 이어 온 금박장은 그의 아들 김덕환 (金德煥)이다 


기록에 의하면 조선 철종(哲宗 재위 1849년~1863년)때 부터 가업을 이어 왔다고 한다 


김덕환은 1954년 부터 아버지 김경용  문하에 입문한 후  평생을 금박 기능 보존과 전승을 위해 노력하였다 

2006년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제 119호 금박장 보유자로 인정되었고 

2018년에는 병환으로  명예 보유자로 인정되었다 

2019년 별세하였다 





금박장  김덕환 (金德煥)

나무 판에 문양을 새기고 있다 




문양 판에 접착제를 발라   비단 위에 찍은 다음 금박을 올리고 다듬고 있다 



朝鮮시대 기록  經國大典에 의하면 

朝鮮왕실이나 중앙 관청에서 필요로 하는  물품을 제작하던 

京工匠에  상의원(尙衣院)소속의 금박장이 4명이 있었고 본조 소속 금박장이 2명 있었다고한다 


금박 장식의 대례복(大禮服)은 평소에는 입지 않고 혼례식이나 국가의 중요 행사가 있을 때 입었고 

행사가 끝나면 부드러운 한지에 싸서 보관하였다가 그 사용자가 사망하면 壽衣(염습할 때 시신에 입히는 옷)으로 

사용하였다고 한다 

이러한 이유로 금박 장식의 의복은  유물로 전하는 것은 많지 않다 



朝鮮시대 직물에 사용하는  금 장식 기법에는


문양판에 접착제를 바르고  직물 표면에  찍어 금박이나  금가루를 사용해 문양을 나타내는 印金法

금사로  직물에 문양을 짜 넣는 織金法

직물 위에 금사로 刺繡하여  문양을 나타내는 金絲刺繡 등 있는데 


복식의 금 장식 기법의 유형 시기별 출현율을 보면 

織金法이 35.58%로 제일 높고 金絲刺繡가  34.97%  .印金法이 29.45% 순서이다 


15~16세기에 출토된  금 장식의  복식 유물 중에 織金法이 사용된 것은 95%로 월등히 높았지만 

이후  점점 줄어든 반면  金絲刺繡 기법이나 印金法  기법의 복식은   朝鮮 후기로 갈수록 높아졌다 


15세기 16세기 유물은  대부분  촐토된 유물인데 비해 19세기 이후는  대부분 所藏자료이다 


 朝鮮시대  전체로 보면  금 장식 기법을 사용한 복식 유물 중에 

출토 유물은 29.27%  所藏자료 유물은 68.29%로  所藏자료 유물이 훨씬 많다 


이것은 출토 유물은  금 장식이 훼손되어 보존이 어렵고 

특히 17세기 18세기의 금 장식 유물의 數가 현저히 떨어지는데 이것은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전란을 겪은  때문으로 보인다 

16세기 이전 朝鮮前起의 출토 유물은 양반 가문의 유물이 대부분이고 19세기 이후 所藏자료는 朝鮮왕실의 

자료가 대부분이다 



금사를  사용한  의복 유물로는  恩津 宋氏  唐저고리 하단에 찍은   蓮花紋織金緞이  있다 

금박 장식의  유물로는 대부분 왕실의 복식인데 

純祖의 세째 딸 德溫公主(1822년~1844년)가 입었던 원삼 등  있다 





김덕환(金德煥)

왕비의 紅圓衫을 기초로 복원한  紅圓衫에 금박을 올리고  다듬고 있다



1533년에는  傳敎에 따라 성절사(聖節使 明나라에 보내는 사절단 ) 편에 은박으로 금색 같은 색을 내는

훈금법(燻金法)이나 묘금법을 전수받고 

왔다 라는 기록이 있다 



2..직금 (織金)







英親왕비  

雲鳳紋織金 唐衣




두벌 당의이고 겉 당의에는 백색의 견사로 일곱가지 형태의  꽃  

매화 모란 난초 국화 영지 무화과 석류 무늬와 


불수감 구름 .무늬와 壽 福 글자를 새겨 넣었고 



어깨와 앞 뒤길 하단에는 구름 봉황 무늬를  짜 넣은  연두색 직금단이다  









영친왕비 대란치마 


스란단이 2층으로 부착되어 있고 봉황과 구름 무늬로 금박되어 있다 




스란치마는 왕실에서는 小禮服으로 입는 치마이고 대란치마는 大禮服으로 입는 치마이다 

치마의 하단에 직금이나  금박으로 장식하는 緞을  스란단 이라고 하는데 


스란단을 1층으로  달면 스란치마이고  스란단을 2층으로 달면 대란치마라고 한다 


금박을 찍은 스란단은 따로 만드는데 국가의 중요 행사가 있을 때 붙여서 입었다가 행사가 끝나면 떼어내고 

부드러운 한지에 싸서 보관하였다고 한다 


왕실 의복에 찍은 금박은 순금으로  하는데 .악학궤범  등 기록에 의하면  금 대신에 자황으로 금박을 했다는 기록도  있다 







傳왕비 당의 


국가민속 문화재 103호 

문화재 지정 당시 (1976년 1월 26일)에 왕비가 입었던 옷으로 전해졌다고 해서 

傳왕비 당의라고  명명된 유물이다  


그런데  이 유물을 기증 받은

 세종 대학교  (前 수도 여자 사범 대학)  설립자에 의해  순정효  황후가 착용했던 옷으로 박혀졌다고 한다  




가슴과 등 양쪽 어깨에는 금사로 刺繡된 둥근 모양의  五爪龍補가 부착되어 있다 


직금은 순금을 이용한  편금사(扁金絲 :얇은 금박을 종이 위에 붙여 길게 오려 내는 것)이다 


오조룡보(五爪龍補)의 刺繡 문양에는 연금사( 撚金絲)와  撚銀絲가 사용되었다 


의복에 새기는 금박 문양은 사용자의 신분에 따라 구분되었다 


왕의 곤룡포 ( 袞龍袍)에는 용 문양이 사용되고   .왕비의 의복에는 봉황 무늬가 사용된다  

公主와  옹주의 의복에는 모란 매화 국화 등 꽃 무늬가 사용되었다 



복식에 사용한 문양은 長壽 부귀 공명 권력 자손번창 등 현세의 기원을 담아 문양을 도안하였다 


용 봉황 →권력 

문자 무늬 →壽 福 卍 

과실 → 복숭아 석류 뷸수감은 三多를 상징하는데 각각  多壽 多男 多福을 의미한다 

새 곤충 → 벌 나비 박쥐  학 거북 등은 사랑  長壽 복을 부르는 것을 상징한다 

화문→연화 매화 모란은  군자 순결 부귀를 상징한다 

금원문 →둥근 원 안에 주된 문양을 넣어  단위 문양으로 시문한다 

테두리→테두리를 두르는 문양인데 금박 공예에서는 난간문 이라고 한다 


3  금사자수 (金絲刺繡)



李晉왕자 壽字紋  귀주머니 


앞쪽 아래에 卍字紋을 중심으로 양쪽에 매화가 繡놓아져 있고 

그 위에 파도 바위 삼산 불로초가 繡놓아져 있다 


위에는 壽字紋을  수(繡)놓고 

그 밑에 불로초가 꽂힌 꽃병 박쥐를 繡놓은 후 그 둘레를 금사(金絲)로 전체를 화려하게 繡놓았다

아래부분 양쪽에 삼각형의 귀 처럼 생긴 부분이 있어 귀주머니라고 하였다 



金箔話

金銀変わらない不変性のためネックレス指輪など装身具や生活道具でたくさん使われたが

衣服に金を使ったことは記録で

新羅 真徳女王 5年に 金総布に対する記録があって

統一新羅時代 興徳王 の時に 服式 金題に 五頭品 六頭品の女衣服に金歯銀泥を禁止するという記録がある




高麗時代の時は 鎖金紅梅花羅 という織物名称の記録がある

高麗時代の時は金箔や 付金という名称代りに 鎖金という名称と呼んだと言う


織物に 金糸を入れて文様を組む技術を 織金と言うのに


高麗時代遺物では 1302年阿彌陀仏服装遺物の中にかば色 羅に牡丹柄が 織金になった布があるのに

現存する最初の遺物だ

また 1346年文殊寺所蔵品があるのに


宝物第1572号瑞山文殊寺金銅阿彌陀仏像(1346年)の服装 織金になった織物復元

藍色鴛鴦紋織金綾がある


■ 1. 印金(印金)


複式に金で飾る技法には


印金(印金) 織金(織金) 金糸刺繍 など多くの類型がある


印金は金粉を使う方法と金箔を使う方法で区分することができるのに


金パウダーを使う方法にはニグムボブ(泥金法) サルグムボブ(撒金法)があって

金箔を使う方法にはチォブグムボブ(貼金法)がある


ニグムボブはきれいな金粉や銀パウダーを接着剤とともに練ってこれを図案によって彫刻しておいた

木彫り版にソロ塗って織物に取って柄や輪郭を作って

柄中に色漆をする方法だ

ニグムボブ(泥金法)は三国時代高麗時代にたくさん使った技法だ




高麗仏画

阿彌陀如来の服文様


高麗仏画で当時の織物の織造技術が分かって織物に多量の 金泥が使われたことを分かる


金糸は三国時代高麗時代朝鮮時代まで使われた伝統纎維工芸だ

特に高麗時代には織金(織金)工芸家発達した



サルグムボブ(撒金法)は 型紙や木彫り版を使って接着剤を織物に 塗布した後に金粉を振り掛ければ

接着剤が 塗布になった部分に金粉が付くようになるのに織物に金粉がよく付くように押して固定させる方法だ


高麗時代織物遺物の中に金粉が離れた席に白い接着剤だけ残っている場合があるのに

高麗時代はサルグムボブをよく使ったということが分かる

高麗時代 官営工匠 の中に張野鼠(掌冶署)に金箔場と銀箔場があったという記録がある


チォムグブボブ(貼金法)は主に 朝鮮時代に使った技法だ

チォブグムボブは 朝鮮 後期記録 林円経済志に紹介されていて現在まで伝え受け継がれている


重要無形文化財 金景用の金箔製作過程を簡単に紹介すれば次のようだ



1. 金箔飾りのために先に木版に文様を刻む

2.文様を刻んだ木版に大きい筆で接着剤(にべふえ)を塗る

3. 床 の上に絹を広げておく

4. 敷いておいた仮に上に金箔を伏せておいて搖れないように気を付けて手に力を込めて柄が一定するようにめりこむように

押して手の平で打ち下ろす

5. 絹が付いている金箔版を持って手の平でしくしくと擦って接着剤が絹によく問うようにする

6. また 床の上に金箔版をおいて一手で絹を押して他の一手で金箔版を一方終りから引き離す

7. 接着剤で柄がめりこんだ仮に上に金箔誌を一枚ずつ移して覆う

8.金箔誌が覆わせない作は部分には手端に金箔誌をつけてすきまもなく補う

9. 湿り気がない乾いた手を軽く握って金箔誌をあげた上をめいめいにこっそりたたく

10.金箔誌がよく乾いた後柔らかい布切れで軽く擦れば柄外に金箔の余分が落ちる

11.細い刀終りに掻き出して仕上げる




金箔場(金箔匠)は直水の上に薄ら金箔で字や文様を刷り出す技術を持った人を言う


上に列挙した金箔製作過程は 林円経済志に紹介された金箔製作方法とその技法が似ていると言う


金経用(金景用)に引き続き 4代目家業を続いて来た金箔場は彼の息子ギムドックファン (金徳煥)だ


記録によれば朝鮮哲宗(哲宗 在位 1849年‾1863年)時から家業を続いて来たと言う


ギムドックファンは 1954年からお父さん金経用門下に入門した後一生を金箔機能保存と戦勝のために努力した

2006年には国家無形文化財第 119号金箔場保有者に認められたし

2018年には病患で名誉保有者に認められた

2019年死んだ





金箔場ギムドックファン (金徳煥)

木版に文様を刻んでいる




文様版に接着剤を塗って仮に上に取った後金箔をあげて整えている



朝鮮時代記録 経国大典によれば

朝鮮王室や中央官庁で要する物品を製作した

京工匠に尚衣院(尚衣院)所属の金箔場が 4人がいたし本組所属金箔場が 2人いたと言う


金箔飾りの大礼服(大礼服)は普段には着ないで婚礼式や国家の重要行事がある時着たし

行事が終われば柔らかい韓紙に包んで保管してからその使用者が死亡すれば 寿衣(ヨックスブする時死体に着せる服)で

使ったと言う

このような理由で金箔飾りの衣服は遺物で伝えることは多くない



朝鮮時代織物に使う金飾り技法には


文様版に接着剤を塗って織物表面に取って金箔や金粉を使って文様を現わす 印金法

金紗で織物に文様を組みこむ 織金法

織物の上に金紗で 刺繍して文様を現わす 金糸刺繍 などあるのに


複式の金飾り技法の類型時期別出現率を見れば

織金法が 35.58%で一番高くて 金糸刺繍が 34.97% .印金法が 29.45% 手順だ


15‾16世紀に出土された金飾りの複式遺物の中に 織金法が使われたことは 95%で数等高かったが

以後ますます減った一方 金糸刺繍 技法や 印金法 技法の複式は 朝鮮 後期に行くほど高くなった


15世紀 16世紀遺物は大部分チォルトドエン遺物なのに比べて 19世紀以後は大部分 所蔵資料だ


朝鮮時代全体で見れば金飾り技法を使った複式遺物の中に

出土遺物は 29.27% 所蔵資料遺物は 68.29%で 所蔵資料遺物がもっと多い


これは出土遺物は金飾りが毀損されて保存が難しくて

特に 17世紀 18世紀の金飾り遺物の 数がめっきり落ちるのにこれは壬辰の乱丙子胡乱など

戦乱を経験したからと見える

16世紀以前 朝鮮前起の出土遺物は両班家門の遺物が大部分で 19世紀以後 所蔵資料は 朝鮮王室の

資料が大部分だ



金紗を使った衣服遺物では 恩津 宋氏 唐チョゴリ下端に取った 蓮花紋織金緞がある

金箔飾りの遺物では大部分王室の複式なのに

純祖の三番目娘 徳温公主(1822年‾1844年)が着た円禳などある





ギムドックファン(金徳煥)

王妃の 紅円衫を基礎で修復した 紅円衫に金箔をあげて整えている



1533年には 伝教によってソングゾルサ(聖節使 明国に行かせる使節団 ) 便に銀箔で金色みたいな色を出す

フングムボブ(燻金法)やミョグムボブを伝授受けて

来たという記録がある



2..織金 (織金)







英親王妃

雲鳳紋織金 唐衣




二着唐依で表唐依には白色の絹糸で七つ形態の花

梅牡丹蘭菊領地無花果石榴柄と


仏手柑雲 .柄と 寿 福 字を刻んで入れたし



肩と前ドイギル下端には雲鳳凰柄を組みこんだ薄緑色織金団だ









栄親王妃大乱するな


スランダンが 2階で附着していて鳳凰と雲柄に金箔されている




スランチマは王室では 小礼服ではくスカートで大乱するが 大礼服ではくスカートだ

スカートの下端に織金や金箔で飾る 緞をスランダンと言うのに


スランダンを 1階で月ならスランチマでスランダンを 2階で月なら大乱スカートと言う


金箔を取ったスランダンは別に作るのに国家の重要行事がある時付けて着てから行事が終われば引き離して

柔らかい韓紙に包んで保管したと言う


王室衣服に取った金箔は純金にするが .アックハックグェボムなど記録によれば金代りに雌黄で金箔をしたという記録もある







伝王妃唐依


国家民俗文化財 103号

文化財指定当時 (1976年 1月 26日)に王妃が着た服と伝わったとして

伝王妃唐依と命名された遺物だ


ところでこの遺物を寄贈受けた

世宗大学 (前 首都女師範大学) 設立者によってスンゾングヒョ皇后が着した服でめりこまれたと言う




胸となど両肩には金紗で 刺繍になった丸い模様の 五爪竜補が附着している


織金は純金を利用したピョングムサ(扁金糸 :薄ら金箔を紙の上に付けて長く切り取り出すこと)だ


オゾリョングボ(五爪竜補)の 刺繍 文様には練金師( 撚金糸)と 撚銀糸が使われた


衣服に刻む金箔文様は使用者の身分によって仕分けされた


王のコンリョンポ ( 袞竜袍)には竜文様が使われて .王妃の衣服には鳳凰柄が使われる

公主と翁主の衣服には牡丹梅菊など花柄が使われた



複式に使った文様は 長寿 富貴功名権力子孫繁昌など現世の起源を込めて文様を図案こんにちはだった


竜鳳凰 →権力

文字柄 →寿 福 卍

果実 → 桃石榴ビュルスガムは 三多を象徴するのにそれぞれ 多寿 多男 多福を意味する

新しい昆虫 → 着蝶コウモリ鶴亀などは愛 長寿 福を呼ぶことを象徴する

火門→連火梅牡丹は君子純潔富貴を象徴する

金原文 →丸い院中に主な文様を入れて単位文様に詩文する

わく→わくをかける文様なのに金箔工芸ではナンガンムンと言う


3 金紗自首 (金糸刺繍)



李晉王子 寿字紋 四角形の巾着


先方の下に 卍字紋を中心に両方に梅花歌 繍おかれていて

その上に波岩三山不老草が 繍おかれている


上には 寿字紋を数(繍)おいて

その下に不老草がささった花瓶コウモリを 繍おいた後そのまわりを金紗(金糸)で全体を派手に 繍おいた

の下部分両方に三角形の耳のようにできた部分があって四角形の巾着と言った




TOTAL: 909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8277
No Image
카마쿠라(kamakura) 즈이센(zuisen) 사외 nnemon2 2023-08-22 2223 0
8276
No Image
옷(기모노)의 화제로 문득 생각했지만....... (40) sumatera 2023-08-20 1730 0
8275
No Image
관찰하고 있네요 (1) RichCa21 2023-08-14 1307 0
8274
No Image
두타가와 히로시게 명소 에도백경양....... nnemon2 2023-08-13 2373 0
8273
No Image
도쿄 명물 타칭보 w (2) RichCa21 2023-08-13 1318 0
8272
No Image
일한삼재도회/코우슈우8진과외 (2) nnemon2 2023-08-09 2493 0
8271
No Image
식혜(일본의 전통적인 음료)·요리 이....... (2) nnemon2 2023-08-06 2868 0
8270
No Image
식사회 (3) nippon1 2023-08-06 1470 0
8269
No Image
고기는이(nikujyaga)(일본의 전통적인 가....... nnemon2 2023-08-03 2594 0
8268
No Image
마카로니라티코(핀란드의 전통 요리) ....... nnemon2 2023-07-30 2241 0
8267
No Image
전통 혼례복 원삼 (3) namgaya33 2023-07-29 1477 0
8266
No Image
전통 혼례복 활옷 (12) namgaya33 2023-07-28 1567 0
8265
No Image
금박 이야기 2 namgaya33 2023-07-25 1436 0
8264
No Image
금박 이야기 namgaya33 2023-07-25 1230 0
8263
No Image
조선시대 모담 (毛毯) namgaya33 2023-07-24 1185 0
8262
No Image
조선시대 보자기 (3) namgaya33 2023-07-24 1605 0
8261
No Image
Giuseppe Recco(17世紀のイタリアの画....... (4) nnemon2 2023-07-17 2376 0
8260
No Image
2023 도오의 여행 2번째 (4) nippon1 2023-07-17 1478 0
8259
No Image
샤르티바르시체이(리투아니아의 전통....... nnemon2 2023-07-15 2799 0
8258
No Image
히라츠카(hiratsuka) 칠석(tanabata) 축제 nnemon2 2023-07-11 169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