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의 성(姓)과 이름에 대해 이야기해볼까 한다. 먼저 우리나라의 경우 2003년 통계청에서 집계한 자료에 의하면 우리나라 성(姓)은 약 286종이며, 한국인으로 귀화한 성(姓)은 442종에 달한다고 한다. 그 중 ‘김’氏가 단연 1위를 차지하였고, 그 다음이 ‘이, 박, 최, 정...’의 순이다. | |
우리의 성(姓)은 중국의 한자문화가 유입된 뒤인 삼국시대 부터 사용한 것으로 추정되며 우리나라에 중국식 漢字姓이 보급된 것은 왕실→귀족→관료→양민→천민 순이다. 하지만 일반 서민들이 성(姓)을 사용하게 된 것은 과거제도가 발달 하게 되는 고려 문종 이후부터이며, 천민계층에까지 성(姓)이 보급된 것은 조선 후기의 일이었다. 갑오경장(1894년)을 계기로 종래의 신분, 계급이 타파되면서 성(姓)의 대중화를 촉진하였고 1910년 민적법이 시행되면서 누구나 姓과 본을 가지도록 법제화하였다. |
그렇다면 일본의 경우는 어떨까? 일본인의 姓의 종류는 세계에서도 가장 다양하기로 유명하다. 인구가 약 12억이나 되는 중국의 경우도 기껏해야 2~3천 종이며, 서양인의 경우 에는 약 4만종으로 알려져 있는데 비해 인구가 약 1억 2천만 명인 일본인의 姓은 무려 20만 여 종이나 된다고 한다. 이렇듯 20만 여 종이나 되는 성(姓)은 같은 일본인조차도 읽기가 어려울 정도라고 하니 외국인인 우리가 복잡하고 어렵다고 느끼는 것은 어쩌면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그것도 그럴 것이 일본인의 姓은 같은 한자 표기라도 발음을 달리한다든지 혹은 발음이 같더라도 서로 다른 한자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 |
하지만 일본인의 성(姓)도 처음부터 이렇게 많았던 것은 아니다. 일본인이 많은 성을 가지게 된 것은 메이지유신(明治維新 1868) 이후 근대화가 시작되면서부터이다. 일반적으로 일본에서는 메이지 이전까지 姓을 가질 수 |
있었던 것은 왕족이나 귀족, 무사계급이었고, 약 80% 이상의 일반 서민들은 姓을 가질 수 없었다.그러나 메이지정부가 들어서면서 호적정비를 위해 모든 사람들에게 姓을 붙이도록 하였고, 그래서 갑자기 자신의 성(姓)을 지어야했던 사람들은 자신이 살고 있는 지명이나 지형, 방향 혹은 선조나 자신의 직업 등에서 힌트를 얻어 姓을 만들었다고 한다. 지명은 자연에서 따온 것이 대부분이어서 姓으로 사용된 漢字의 대부분이 ‘田, 藤, 山, 野, 川, 木, 井, 村...’ 등 자연에 관한 것이 많으며, 일본인 姓의 약90%가 이러한 지형이나 지명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한다. |
氏姓歴史1
たいて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