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우리 민족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수많은 외적의 침범이 있었으나 그때마다 우리 선조들은 뜨거운 구국(救國)의 의지와 비상한 투지로 국난(國難)을 극복해왔다. 국난을 당할 때마다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민족적 기상을 높이 떨친 구국의 영웅은 일일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지만, 이순신이야말로 그 숱한 영웅, 호걸, 충신, 열사 가운데서도 으뜸가는 위인이라는 사실에는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것이다.

이순신(李舜臣)은 한국 역사상 최고의 전쟁 영웅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정유재란(丁酉再亂)이라는 미증유의 재앙을 당해 나라와 겨레의 멸망이 눈앞에 이르렀을 때 조선 수군을 총지휘하여 갖가지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필승의 신념과 비상한 전략으로 연전연승(連戰連勝)을 올린 불세출의 명장이었다. 그는 가난한 선비의 아들로 태어나 54년의 길지 않은 일생을 보내는 동안 온갖 고난 속에서도 오로지 충효(忠孝), 인의(仁義)와 애국애족정신(愛國愛族精神)으로 일관한 민족의 큰 스승이었다.

영국 해군사관학교 교장을 지냈던 빌라드(G.A.Billard) 소장(少將)은 “조선의 이순신이라는 해군 제독이 넬슨(Horatio Nelson)에 버금가는 뛰어난 지휘관이라는 사실을 영국인들은 인정하기 힘들겠지만 이순신이 동양 최고의 해군 제독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라고 이순신을 평가하였다. 중국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 교수인 레이 황(Ray Hwang) 박사는 동양사 3대 전쟁 영웅으로 조선의 이순신(李舜臣), 베트남 다이비에이 왕조의 첸 훈다오[千訓道], 중국 명나라의 원숭환(袁崇煥)을 들면서 그 중에서도 이순신이 가장 위대한 공훈을 남긴 영웅이라고 칭송하였다.

오늘날 나라 안팎의 정세, 특히 또다시 빠진 정치적, 경제적 위기에 비추어볼 때 이순신은 지금까지 알려져 왔던 절세의 명장, 구국의 영웅이라는 면모에 더해 비상한 리더십을 갖춘 최고 경영자였다는 사실을 새삼 절감하게 된다. 21세기라는 새로운 격변의 시대, 격동의 시대를 맞이하여 강대국들과의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도 우리는 동서고금(東西古今)의 그 어떤 위인보다도 위대했던 성웅(聖雄) 이순신의 리더십을 통해 국난극복의 지혜를 찾아야 할 것이다.

◆ 수군통제영(水軍統制營) 한산도의 운주당(運籌堂).

이순신(李舜臣)은 한산도(閑山島)에 운주당(運籌堂)을 짓고 이곳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으로 삼았다. 그리고 여기에서 기거하면서 장수는 물론 하급 병사라도 좋은 계책이 있거나 하소연할 일이 있으면 언제라도 찾아오게 하였다.

운주당은 현재 한산도의 제승당(制勝堂) 자리에 있었는데, 이순신은 뒷날 고하도와 고금도 등 자신이 오래 머무는 곳에는 운주당을 지어 집무소 및 거처로 사용했다.

그 무렵 일본의 수군은 부산을 본거지로 삼고 김해, 창원, 웅천 등지의 요충지를 전진기지로 삼아 그 지역에서만 왕래하면서 장기전(長期戰)을 꾀하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이순신은 전투가 소강상태라고 하여 잠시도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하루도 빠짐없이 척후선을 사방으로 풀어 적군의 동태를 감시하고 여러 가지 작전계획을 수립했다.

당시 이순신의 모습에 대해 조카인 이분(李奮)은 이순신행록(李舜臣行錄)에서 이렇게 썼다.

”공(公)은 진중에 있는 동안 여자를 가까이하지 않았고 매일 밤 잠잘 때에도 띠를 풀지 않았다. 그리고 겨우 한두 시간 자고 나서는 사람들을 불러들여 날이 샐 때까지 의논했다. 또 먹는 것이라고는 아침 저녁 겨우 5,6흡뿐이라 보는 사람들마다 공이 제대로 먹지도 않고 일에 분주한 것을 걱정하였다.

공의 정신은 보통 사람보다도 갑절이나 강하여 이다금 손님과 함께 밤중에 이르기까지 술을 마시고도 닭이 울면 반드시 촛불을 밝히고 혼자 일어나 앉아 문서를 보기도 하고 전술을 강론하기도 했다.”


이순신은 최고 경영자답게 전쟁이 장기전 양상으로 빠져드는 때를 당해서도 단 하루도 헛되이 보내지 않았다. 그는 불철주야(不撤晝夜)로 군사를 충원하여 훈련시키고, 또 군선의 건조와 수리, 화약과 화포 등 무기의 확충, 그리고 군량을 확보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순신은 특히 군량 확보와 곤궁한 백성들의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둔전(屯田)을 실시했다. 또 출어(出漁)를 장려하여 물고기를 많이 잡게 하고, 소금을 굽게 하고, 질그릇을 만들게 했다. 그리고 그것을 팔아 식량난을 해결하는 한편, 수만 석의 군량을 마련했다.

이순신은 전쟁이라는 비상시국에 처해서도 백성들로 하여금 촌각의 시간도 헛되이 보내지 않고 자급자족하는 길을 열어주었던 것이다. 백성들을 자식처럼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그의 마음은 그해 11월 17일자 장계에도 이렇게 나타났다.

”신(臣)의 생각은 각도의 피난민들이 이미 정주할 곳을 잃었고, 또 생명을 이어갈 방도가 없어서 보기에도 참담한 형편입니다. 그러므로 이들을 이 섬(돌산도)에 불러들여 살게 하면서 협력하여 농사를 지은 뒤 절반씩 나누어 갖게 한다면 공사 간에 모두가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흥양 등지의 유방군(酉方軍)은 도양장으로 들어가서 농사를 짓게 하고, 그 밖에 남은 땅은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어 병작하게 하고, 말들은 거금도로 옮겨 모으면 목장에도 손해가 없으며 군량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는 여러 섬에 있는 목장과 미개간지를 활용하여 피난민들과 노병들이 조직적으로 둔전을 실시하여 피폐해진 민생을 안정시키는 한편 부족한 군량도 확보하려는 방안이었다. 민생이 안정되어야 군비가 넉넉해지고, 군비가 튼튼해야 이기는 전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불세출의 명장이며 탁월한 전략가인 이순신의 생각이었던 것이다.

통제사 이순신에게는 쉴 날이 없었다.

◆ 꾸준히 군선과 화약무기 및 군량을 확충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어 다른 도의 수군까지 통괄, 지휘하게 된 이순신은 수군의 생명과도 같은 전함, 특히 조선 수군의 주력 군선인 판옥선(板屋船)의 증강에 힘을 기울였다. 1593년부터 1594년까지 1년간 판옥선 등 전함을 신규로 건조하고, 또 여러 차례의 해전에서 손상된 군선을 수리하는데 주력한 결과 조선 수군의 전력은 두배로 강화되었다. 새로 건조한 전함 수를 각 수영(水營) 별로 보면 전라좌도수군(全羅左道水軍)이 60척, 전라우도수군(全羅右道水軍)이 90척, 경상우도수군(慶尙右道水軍)이 40척, 충청도수군(忠淸道水軍)이 60척 등 모두 250척에 이르렀다. 또 전투선인 판옥선보다 규모가 작언 정찰, 연락선인 사후선(伺候船)도 전라좌도수군(全羅左道水軍)과 전라우도수군(全羅右道水軍) 포함 150척, 경상우도수군(慶尙右道水軍) 40척, 충청도수군(忠淸道水軍) 60척 등 모두 250척을 새로 건조했다.

이들 500여척의 군선에 필요한 격군(格軍)과 사부(私夫)만 해도 3만 5천여명에 이르렀다.

전함 건조 및 수리와 함께 화약과 화포 등 무기도 꾸준히 증강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전에 마련해 두었던 화약은 1592년 5월부터 1593년 2월까지 벌어졌던 수십차례의 해상전투로 거의 다 써서 없어졌고, 육지의 순찰사와 소모사, 의병대장들도 이순신 장군에게 화약을 나누어 달라고 하는 형편이었다.

1월 26일자 장계에서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화약에 대해서는 백 번을 생각해도 달리 구할 길이 없고, 다만 본영에서 구워 쓸 수밖에 없는데 마침 신의 군관 이봉수(李鳳秀)가 제조하는 방법을 알기에 석 달 동안 염초 1천근을 구워냈으므로 그것을 본영과 각 관포에 나누어 저장했습니다. 그러나 석유황은 날 데가 없으니 100여근쯤 내려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또 화포를 만들 쇠를 구하기 위해 애쓰기도 했다. 그해 11월 17일자 장계에도 이렇게 나온다.

”지자총통(地字銃筒) 한 자루의 무게가 150근쯤 되고 현자총통도 50여근이나 됩니다. 이렇게 물자가 귀한 판에 관청에선들 쇠를 얼른 내줄 수가 있겠습니까?”

”들리는 말에 다르면 쇠를 바치고 신역(身役)을 면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혹시 쇠붙이의 무게에 따라 벼슬로 표창하고, 또 허통(許通), 면역(免役), 면천(免賤)할 수 있는 증명을 내려 보내주신다면 그것으로 쇠를 모아 병기(兵器)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순신은 승려들을 모아 권선문을 지어가지고 돌아다나면서 쇠붙이를 얻어오도록 시키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일본군의 개인화기(個人火器)인 조총(鳥銃)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임진왜란 초기에 적군의 조총에 아군이 속수무책으로 당한 사실을 뼈저리게 느꼈기 때문이었다.

9월 14일자 일기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쇠로 만든 총통은 전쟁에 긴요한 것이건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만드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 그동안 온갖 연구를 거듭하여 조총을 만들어냈다. 다행히 왜총(倭銃)보다 잘 되어 명나라 사람들도 진중에 와서 시험으로 쏘아보고 좋다고 칭찬했다.

이제 그 묘법을 알았으니 도내에 같은 모양으로 많이 만드는 것이 좋겠기에 순찰사와 병사에게 견본을 보내고 또 공문도 돌렸다.”


이 조총에 관해서는 따로 조정에 이런 장계도 올렸다.

”신(臣)은 여러 차례 전투를 치르면서 왜적(倭敵)들의 조총을 상당히 많이 노획하여 늘 그것을 앞에 두고 그 묘리를 연구해 보았습니다. 그것의 몸이 길고 구멍이 깊어 나가는 힘이 맹렬한데 비해서 우리나라의 승자나 쌍혈은 몸통이 잛고 구명이 얕아 힘이 왜총(倭銃)만 못하고 소리도 웅장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조총을 만들어보려고 애쓴 결과 신의 군관 정사준(丁思準)이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어 대장장이 낙안 수군 이필종(李畢種)이 순천 사삿집 종 안성, 피난 온 절 종 동지, 거제절 종 언복 등을 데리고 좋은 쇠를 두들겨 만들어냈습니다. 그래서 전 순찰사 권율(權慄)에게 한 자루를 보내어 각 고을에서 만들어 쓰도록 제의햇습니다. 그리고 지금 5자루를 보내니 조정에서도 전국 각도에 지시해서 만들어 쓰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조정에서 실전용으로 조총을 만들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2년이 지난 1595년 11월 유성룡이 병기 책임자가 된 뒤부터였다.

◆ 병력 증강과 군량 확보가 가장 난제

이처럼 전함과 무기를 증강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는데, 또 다른 문제가 속을 썩이고 있었다. 바로 병력 증강과 군량 확보 문제였다. 게다가 설상가상 격으로 전염병이 번져 수많은 군졸들이 쓰러졌다.

이순신은 8월 10일자 장계에서 이렇게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신이 직접 거느린 수군만 하더라도 사부(私夫)와 격군(格軍)을 합해서 6천 2백여명인데 지난해와 올해 2년에 걸쳐 전사한 군졸과 또 올해 2,3월부터 오늘까지 반년 동안에 병으로 죽은 군졸들을 포함해 6백여명이나 됩니다. 더욱이 이렇게 죽은 군사들은 활도 잘 쏘고 배도 익숙한 토병과 보자기(잠수부)들이라 애석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리고 남아 있는 군졸들도 아침 저녁 먹는 것이 겨우 2,3흡에 지나지 못하니 이렇게 배고프고 피곤한 몸으로서 무슨 힘으로 활시위를 잡아당기고 노를 저을 수가 있겠습니까? 큰 적을 눈앞에 두고 형편이 이와 같으니 민망하기 그지없습니다. 이 사정을 도원수와 순찰사에게 보고하고 보성, 순천, 흥양 등지의 군량 689석을 지난 6월 중에 실어다 나누어 먹이기는 했으나 그것마저 다 떨어졌습니다.”


또 한 달 뒤인 9월의 장계에서도 “약하고 외로운 수군들로서 적을 막아내기가 매우 어려운데 군량조차 대기 어렵기 때문에 신은 자나 깨나 애타는 생각을 금할 수 없습니다.” 라고 했다.

다시 두 달이 지난 그해 11월 17일에도 장계에서 이렇게 하소연하고 있다.

”경상우도 여러 고을은 군량이 거의 다 덜어져 군사고 군량이고 내놓을 도리가 없습니다. 그리고 배가 아무리 많은들 격군이 없으면 어떻게 부리며, 또 아무리 격군이 채워진들 군량이 없고서야 무엇으로 군사들을 먹이겠습니까. 답답함을 금할 수 없습니다.”

해가 바뀌어도 군량 부족 문제는 속 시원히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이듬해인 1594년 3월 15일자 장계에도 군량 부족 문제가 나온다.

”전라좌우도의 군선은 본시 있던 것과 새로 만든 것을 막론하고 먼저 집합한 것이 110척이요, 사후선도 110척이라 사부와 격군을 합쳐서 무려 1만 7천명이나 됩니다. 1명당 아침저녁으로 각각 5흡씩 나누어준다면 하루 먹을 것이 적어도 100석이요, 한 달에 드는 것이 3천 4백여석입니다.

경상우도는 벌써 바닥이 나서 거둬들일 수 없고, (수군 소속) 전라도 열 고을만 바라보는데, 열 고을에서도 남아 있는 군량에서 백성들 구제할 곡식을 제하고 나면 수군들 먹을 군량은 겨우 앞으로 두 달 남짓, 5월 보름께밖에 더 계속되지 못할 실정입니다.”


이순신은 전염병에 걸려 죽어가는 부하들과 백성들이 불쌍해 견딜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것은 그의 능력으로도 어쩔 수가 없었다. 그는 약을 구하기 위해 침식을 잊다시피 했고, 심지어는 소용없을 줄을 알면서도 조정에 유능한 의원을 보내달라는 장계를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운 형편을 하소연하고 사정해도 할 줄 아는 것이라고는 명령만 하는 입밖에 없는 무능한 조정에서 쌀은 커녕 밀가루, 보릿가루 한 가마니 보태줄 수가 없었다. 더구나 임진왜란(壬辰倭亂)이라는 미증유의 참화가 일어나 농사를 제대로 짓지 못한데다가 이듬해부터 2년간 잇달아 큰 흉년까지 겹치자 팔도강산은 굶어 죽은 시체로 뒤덮이다시피 했다.

유성룡의 징비록(懲毖錄)에도 이런 구절이 나온다.

”늙은이, 어린이들은 길에서 엎어져 죽고, 장정들은 도둑이 되고, 그 위에 병까지 겹쳐 거의 다 죽게 되었다. 그래서 부자와 부부까지도 서로 뜯어먹어 뼈다귀만 길가에 내버리는 것이었다.”

한편 선조실록(宣祖實錄)에도 다시 사헌부에서 올린 장계에 “요즘 산 사람을 죽여서 창자와 골까지 빨 아먹습니다. 옛날에도 사람을 잡아먹었다는 말이 있었지만 이렇게까지 심하기야 했겠습니까? 듣고 보기에 너무나 참혹합니다.” 라는 대목이 있다. 또한 이덕형(李德馨)이 선조(宣祖)에게 올린 보고서에도 “부자와 형제가 서로 잡아먹습니다. 더욱이 양주 고을 백성들은 서로 떼를 지어서 도둑이 되어서 사람을 잡아다가 먹기까지 합니다.” 라고 했다.

이순신이 둔전을 설치한 것은 이처럼 어려운 식량난을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었던 것이다. 그는 그해 9월 1일자 장계에서 수군의 어려움에 대해서 이렇게 토로했다.

”신은 수군에서 자라나 지켜온 사람이지만 여러 차례 큰 전투를 겪었으므로 수전(水戰)과 육전(陸戰)의 어렵고 쉬운 점과, 오늘날 급한 일이 무엇인지를 망령되게 아래에 진술하는 바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은 겁쟁이가 열에 여덟아홉이요, 용감한 자라고는 열에 한둘밖에 없는데, 평시에 구별되지 않고 서로 섞여서 무슨 소문만 들리면 그저 도망갈 생각만 내어 놀라고 엎어졌다 자 빠졌다 다투어 달아나니, 만약 그 속에 용감한 자가 있다한들 혼자 어찌 번쩍이는 칼날을 무릅쓰고 죽자고 돌진할 수 있겠습니까? 만일 골라 뽑은 군졸들을 용감하고 지혜로운 대장에게 맡겨서 정세에 따라 잘 지도하였더라면 오늘날 사변(事變)이 이 정도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수전(水戰)으로 말하면 많은 군사가 다 배 안에 있으므로 적선을 바라보고 설령 도망치려 해도 어쩔 수 없기도 하려니와, 하물며 노질을 재촉하고 북소리 급히 날 때 만일 명령을 어기는 자가 있으면 군법이 뒤를 다르니 어찌 힘껏 싸우지 않으며, 또 거북선이 앞에서 돌격하고 판옥선이 뒤따라가며 연달아 지자총통(地字銃筒)과 현자총통(玄字銃筒)을 쏘고 또 포탄과 화살을 빗발치듯 우박 퍼붓듯 하면서 쏘면, 적군의 사기가 쉽게 꺾여 물에 빠져죽기에 바쁘니 이것이 수전(水戰)의 쉬운 점입니다.

그런데 군선의 수가 적고 수군의 졸병들도 달아나는 자들이 요즘에 와서 더욱 심한 바, 만일 군선을 많이 준비하고 또 격군을 채울 길이 열린다면 비록 대적(大敵)이 수없이 많이 쳐들어와도 족히 당해나고 또 충분히 섬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적군의 정세를 보건대 남쪽으로 도망쳐 내려온 뒤로 아직도 바다를 건너지 않고 영남 바닷가 여러 고을을 저희 소굴로 만드니, 놈들이 하는 짓을 살피면 그 흉계를 헤아리기 어려우나, 만일 적들이 수륙으로 합세하여 일제히 치고 나서면 우리 수군으로서는 그것을 막아내기 어렵고, 또 군량을 대기도 어려울 것이라 이것이 자나 깨나 신이 걱정하는 바입니다.

신의 어리석은 생각에는 수군의 관할 아래에 있는 연해안 각 고을에 여러 종류 장정군(壯丁軍)들은 모두 수군에 소속케 하고, 군량도 또 그렇게 하여 군선을 곱절이나 더 만들게 하면, 전라좌도 다섯 고을 포구에는 60척을 정비할 수 있고, 우도 열다섯 포구에는 90척을 정비할 수 있으며, 경상우도에는 난리 치른 나머지라 조처할 길이 없다고 할지라도 40척은 정비할 수 있고, 충청도에서도 60척은 얻을 것이라 합치면 250척은 될 것입니다.

이만한 병력을 가지고서 적의 행방을 듣는 대로 자신의 도, 남의 도 할 것 없이 곧 응원하여 정세에 따라 추격하면 가는 곳마자 적군이 대적하지 못할 것이며, 또한 적군이 비록 많다 해도 그 배는 물에 있는 것이니 우리 배가 맞버티면 적들도 두려워 마음대로 상륙하지 못할 것입니다. 원컨대 조정에서는 충분히 헤아리셔서 이 일만은 연안 고을 장정군과 군량 등은 다른 곳으로 옮기지 말고 모두 수군에 소속시켜 주시고, 수군 장졸들의 인사도 도한 이동시키지 말기 바랍니다.

군사들의 양식이 가장 급선무인데 호남 방면이 명색으로는 보전되었다 하나 모든 물자가 고갈되어 조달할 길이 없습니다. 신의 생각으로는 본도 순천, 흥양 등지에 넓고 비어 있는 목장과 농사지을 만한 섬이 많이 있으니 혹은 관청 경영으로 하든지, 혹은 민간에 주어서 소작을 시키든지, 혹은 순천, 흥양의 수비군들로 하여금 전력하여 농사짓게 하다가 사변(事變)이 생길 적에 나와 싸우게 하면 싸움에나 지킴에나 방해됨이 없고, 군량에도 유익한 바 될 것이니, 이것은 조(趙)의 이목(李牧)과 한(韓)의 조충국(趙充國)이 일찍 경험한 방책입니다.

다른 도에도 이 같은 예로 내년 봄부터 시작하여 농사짓게 하심이 옳을까 합니다. 군선을 곱절이나 더 만든다면 지자 및 현자총통을 갑자기 마련하기 어려울 것인바 육지 각 고을에 있는 총통을 급속히 수군으로 옮겨 보내주어야 하겠습니다.

수사(水使)는 수군의 대장으로서 무릇 호령을 내려도 각 고울 수령들은 관할이 아니라고 핑계대고 전혀 준행치 않으며, 심지어 군사상 중대한 일까지 내버려 두는 경우가 많아 일마다 늦어지게 되는바, 이런 큰 난리를 당하여 도저히 일을 처리해 갈 수 없으니 사변이 평정될 때까지는 감사(監司)와 병사(兵使)의 예에 의해 수령을 아울러 지휘할 수 있도록 해주실 것을 바라나이다.”


이처럼 이순신은 병력의 부족, 군량의 부족, 전함과 무기의 부족, 여기에 전염병까지 겹쳐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었다.

특히 당시의 수군은 대를 이어 복무해야 하는 세습 노비와도 같은 천한 신분이었으므로 기피자와 도망병이 많았다. 따라서 격군이 늘 부족했기에 일벌백계(一罰百戒)의 엄한 처벌이 불가피했다. 설상가상으로 육군에서도 병력 충원을 위해 수군을 빼앗아 갔다.


참고서적; 황원갑(黃源甲) 저술 “부활하는 이순신” 에코비즈니스(EcoBusiness) 2004, 김종대(金宗代) 저술 “신(臣)에게는 아직도 열두척의 군선이 있습니다.” 북포스(BookFors) 2001, 최두석(崔頭錫) 저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이순신(李舜臣)” 일각 1999, 김형광(金炯光) 저술 “인물로 보는 조선사(朝鮮史)” 시아출판사 2003.

{계속}


「不敗の名将李舜臣(李舜臣)」9.三道水軍統制使(三道水軍統制使) (3)

 

 

우리 민족의 역사가 시작된 이래 수많은 외적의 침범이 있었으나 그때마다 우리 선조들은 뜨거운 구국(救國)의 의지와 비상한 투지로 국난(國難)을 극복해왔다. 국난을 당할 때마다 탁월한 리더십을 발휘하여 민족적 기상을 높이 떨친 구국의 영웅은 일일이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지만, 이순신이야말로 그 숱한 영웅, 호걸, 충신, 열사 가운데서도 으뜸가는 위인이라는 사실에는 그 누구도 이의를 제기할 수 없을 것이다.

이순신(李舜臣)은 한국 역사상 최고의 전쟁 영웅으로 임진왜란(壬辰倭亂), 정유재란(丁酉再亂)이라는 미증유의 재앙을 당해 나라와 겨레의 멸망이 눈앞에 이르렀을 때 조선 수군을 총지휘하여 갖가지 불리한 여건 속에서도 필승의 신념과 비상한 전략으로 연전연승(連戰連勝)을 올린 불세출의 명장이었다. 그는 가난한 선비의 아들로 태어나 54년의 길지 않은 일생을 보내는 동안 온갖 고난 속에서도 오로지 충효(忠孝), 인의(仁義)와 애국애족정신(愛國愛族精神)으로 일관한 민족의 큰 스승이었다.

영국 해군사관학교 교장을 지냈던 빌라드(G.A.Billard) 소장(少將)은 "조선의 이순신이라는 해군 제독이 넬슨(Horatio Nelson)에 버금가는 뛰어난 지휘관이라는 사실을 영국인들은 인정하기 힘들겠지만 이순신이 동양 최고의 해군 제독이라는 점은 부정할 수 없는 사실이다."라고 이순신을 평가하였다. 중국계 미국인 역사학자로 미국 워싱턴 주립대학교 교수인 레이 황(Ray Hwang) 박사는 동양사 3대 전쟁 영웅으로 조선의 이순신(李舜臣), 베트남 다이비에이 왕조의 첸 훈다오[千訓道], 중국 명나라의 원숭환(袁崇煥)을 들면서 그 중에서도 이순신이 가장 위대한 공훈을 남긴 영웅이라고 칭송하였다.

오늘날 나라 안팎의 정세, 특히 또다시 빠진 정치적, 경제적 위기에 비추어볼 때 이순신은 지금까지 알려져 왔던 절세의 명장, 구국의 영웅이라는 면모에 더해 비상한 리더십을 갖춘 최고 경영자였다는 사실을 새삼 절감하게 된다. 21세기라는 새로운 격변의 시대, 격동의 시대를 맞이하여 강대국들과의 무한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서도 우리는 동서고금(東西古今)의 그 어떤 위인보다도 위대했던 성웅(聖雄) 이순신의 리더십을 통해 국난극복의 지혜를 찾아야 할 것이다.

◆ 수군통제영(水軍統制營) 한산도의 운주당(運籌堂).

이순신(李舜臣)은 한산도(閑山島)에 운주당(運籌堂)을 짓고 이곳을 삼도수군통제영(三道水軍統制營)으로 삼았다. 그리고 여기에서 기거하면서 장수는 물론 하급 병사라도 좋은 계책이 있거나 하소연할 일이 있으면 언제라도 찾아오게 하였다.

운주당은 현재 한산도의 제승당(制勝堂) 자리에 있었는데, 이순신은 뒷날 고하도와 고금도 등 자신이 오래 머무는 곳에는 운주당을 지어 집무소 및 거처로 사용했다.

그 무렵 일본의 수군은 부산을 본거지로 삼고 김해, 창원, 웅천 등지의 요충지를 전진기지로 삼아 그 지역에서만 왕래하면서 장기전(長期戰)을 꾀하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이순신은 전투가 소강상태라고 하여 잠시도 긴장을 늦추지 않았다. 하루도 빠짐없이 척후선을 사방으로 풀어 적군의 동태를 감시하고 여러 가지 작전계획을 수립했다.

당시 이순신의 모습에 대해 조카인 이분(李奮)은 이순신행록(李舜臣行錄)에서 이렇게 썼다.

"공(公)은 진중에 있는 동안 여자를 가까이하지 않았고 매일 밤 잠잘 때에도 띠를 풀지 않았다. 그리고 겨우 한두 시간 자고 나서는 사람들을 불러들여 날이 샐 때까지 의논했다. 또 먹는 것이라고는 아침 저녁 겨우 5,6흡뿐이라 보는 사람들마다 공이 제대로 먹지도 않고 일에 분주한 것을 걱정하였다.

공의 정신은 보통 사람보다도 갑절이나 강하여 이다금 손님과 함께 밤중에 이르기까지 술을 마시고도 닭이 울면 반드시 촛불을 밝히고 혼자 일어나 앉아 문서를 보기도 하고 전술을 강론하기도 했다."


이순신은 최고 경영자답게 전쟁이 장기전 양상으로 빠져드는 때를 당해서도 단 하루도 헛되이 보내지 않았다. 그는 불철주야(不撤晝夜)로 군사를 충원하여 훈련시키고, 또 군선의 건조와 수리, 화약과 화포 등 무기의 확충, 그리고 군량을 확보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였다. 이순신은 특히 군량 확보와 곤궁한 백성들의 식량난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둔전(屯田)을 실시했다. 또 출어(出漁)를 장려하여 물고기를 많이 잡게 하고, 소금을 굽게 하고, 질그릇을 만들게 했다. 그리고 그것을 팔아 식량난을 해결하는 한편, 수만 석의 군량을 마련했다.

이순신은 전쟁이라는 비상시국에 처해서도 백성들로 하여금 촌각의 시간도 헛되이 보내지 않고 자급자족하는 길을 열어주었던 것이다. 백성들을 자식처럼 사랑하고 불쌍히 여기는 그의 마음은 그해 11월 17일자 장계에도 이렇게 나타났다.

"신(臣)의 생각은 각도의 피난민들이 이미 정주할 곳을 잃었고, 또 생명을 이어갈 방도가 없어서 보기에도 참담한 형편입니다. 그러므로 이들을 이 섬(돌산도)에 불러들여 살게 하면서 협력하여 농사를 지은 뒤 절반씩 나누어 갖게 한다면 공사 간에 모두가 좋을 것입니다.

그리고 흥양 등지의 유방군(酉方軍)은 도양장으로 들어가서 농사를 짓게 하고, 그 밖에 남은 땅은 백성들에게 나누어 주어 병작하게 하고, 말들은 거금도로 옮겨 모으면 목장에도 손해가 없으며 군량에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이는 여러 섬에 있는 목장과 미개간지를 활용하여 피난민들과 노병들이 조직적으로 둔전을 실시하여 피폐해진 민생을 안정시키는 한편 부족한 군량도 확보하려는 방안이었다. 민생이 안정되어야 군비가 넉넉해지고, 군비가 튼튼해야 이기는 전투를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불세출의 명장이며 탁월한 전략가인 이순신의 생각이었던 것이다.

통제사 이순신에게는 쉴 날이 없었다.

◆ 꾸준히 군선과 화약무기 및 군량을 확충

삼도수군통제사(三道水軍統制使)가 되어 다른 도의 수군까지 통괄, 지휘하게 된 이순신은 수군의 생명과도 같은 전함, 특히 조선 수군의 주력 군선인 판옥선(板屋船)의 증강에 힘을 기울였다. 1593년부터 1594년까지 1년간 판옥선 등 전함을 신규로 건조하고, 또 여러 차례의 해전에서 손상된 군선을 수리하는데 주력한 결과 조선 수군의 전력은 두배로 강화되었다. 새로 건조한 전함 수를 각 수영(水營) 별로 보면 전라좌도수군(全羅左道水軍)이 60척, 전라우도수군(全羅右道水軍)이 90척, 경상우도수군(慶尙右道水軍)이 40척, 충청도수군(忠淸道水軍)이 60척 등 모두 250척에 이르렀다. 또 전투선인 판옥선보다 규모가 작언 정찰, 연락선인 사후선(伺候船)도 전라좌도수군(全羅左道水軍)과 전라우도수군(全羅右道水軍) 포함 150척, 경상우도수군(慶尙右道水軍) 40척, 충청도수군(忠淸道水軍) 60척 등 모두 250척을 새로 건조했다.

이들 500여척의 군선에 필요한 격군(格軍)과 사부(私夫)만 해도 3만 5천여명에 이르렀다.

전함 건조 및 수리와 함께 화약과 화포 등 무기도 꾸준히 증강했다. 임진왜란(壬辰倭亂) 전에 마련해 두었던 화약은 1592년 5월부터 1593년 2월까지 벌어졌던 수십차례의 해상전투로 거의 다 써서 없어졌고, 육지의 순찰사와 소모사, 의병대장들도 이순신 장군에게 화약을 나누어 달라고 하는 형편이었다.

1월 26일자 장계에서는 이런 대목이 나온다.

"화약에 대해서는 백 번을 생각해도 달리 구할 길이 없고, 다만 본영에서 구워 쓸 수밖에 없는데 마침 신의 군관 이봉수(李鳳秀)가 제조하는 방법을 알기에 석 달 동안 염초 1천근을 구워냈으므로 그것을 본영과 각 관포에 나누어 저장했습니다. 그러나 석유황은 날 데가 없으니 100여근쯤 내려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또 화포를 만들 쇠를 구하기 위해 애쓰기도 했다. 그해 11월 17일자 장계에도 이렇게 나온다.

"지자총통(地字銃筒) 한 자루의 무게가 150근쯤 되고 현자총통도 50여근이나 됩니다. 이렇게 물자가 귀한 판에 관청에선들 쇠를 얼른 내줄 수가 있겠습니까?"

"들리는 말에 다르면 쇠를 바치고 신역(身役)을 면하려는 사람들이 있다고 합니다. 혹시 쇠붙이의 무게에 따라 벼슬로 표창하고, 또 허통(許通), 면역(免役), 면천(免賤)할 수 있는 증명을 내려 보내주신다면 그것으로 쇠를 모아 병기(兵器)를 만들 수 있을 것입니다."


이순신은 승려들을 모아 권선문을 지어가지고 돌아다나면서 쇠붙이를 얻어오도록 시키기도 했다. 뿐만 아니라 그는 일본군의 개인화기(個人火器)인 조총(鳥銃)에 대해서도 깊은 관심을 가졌다. 임진왜란 초기에 적군의 조총에 아군이 속수무책으로 당한 사실을 뼈저리게 느꼈기 때문이었다.

9월 14일자 일기에 이런 대목이 나온다.

".....쇠로 만든 총통은 전쟁에 긴요한 것이건만 우리나라 사람들은 그 만드는 방법을 알지 못했다. 그동안 온갖 연구를 거듭하여 조총을 만들어냈다. 다행히 왜총(倭銃)보다 잘 되어 명나라 사람들도 진중에 와서 시험으로 쏘아보고 좋다고 칭찬했다.

이제 그 묘법을 알았으니 도내에 같은 모양으로 많이 만드는 것이 좋겠기에 순찰사와 병사에게 견본을 보내고 또 공문도 돌렸다."


이 조총에 관해서는 따로 조정에 이런 장계도 올렸다.

"신(臣)은 여러 차례 전투를 치르면서 왜적(倭敵)들의 조총을 상당히 많이 노획하여 늘 그것을 앞에 두고 그 묘리를 연구해 보았습니다. 그것의 몸이 길고 구멍이 깊어 나가는 힘이 맹렬한데 비해서 우리나라의 승자나 쌍혈은 몸통이 잛고 구명이 얕아 힘이 왜총(倭銃)만 못하고 소리도 웅장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조총을 만들어보려고 애쓴 결과 신의 군관 정사준(丁思準)이 만드는 방법을 알아내어 대장장이 낙안 수군 이필종(李畢種)이 순천 사삿집 종 안성, 피난 온 절 종 동지, 거제절 종 언복 등을 데리고 좋은 쇠를 두들겨 만들어냈습니다. 그래서 전 순찰사 권율(權慄)에게 한 자루를 보내어 각 고을에서 만들어 쓰도록 제의햇습니다. 그리고 지금 5자루를 보내니 조정에서도 전국 각도에 지시해서 만들어 쓰도록 했으면 좋겠습니다."

그러나 조정에서 실전용으로 조총을 만들기 시작한 것은 그로부터 2년이 지난 1595년 11월 유성룡이 병기 책임자가 된 뒤부터였다.

◆ 병력 증강과 군량 확보가 가장 난제

이처럼 전함과 무기를 증강하기 위해 갖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는데, 또 다른 문제가 속을 썩이고 있었다. 바로 병력 증강과 군량 확보 문제였다. 게다가 설상가상 격으로 전염병이 번져 수많은 군졸들이 쓰러졌다.

이순신은 8월 10일자 장계에서 이렇게 고충을 토로하기도 했다.

"신이 직접 거느린 수군만 하더라도 사부(私夫)와 격군(格軍)을 합해서 6천 2백여명인데 지난해와 올해 2년에 걸쳐 전사한 군졸과 또 올해 2,3월부터 오늘까지 반년 동안에 병으로 죽은 군졸들을 포함해 6백여명이나 됩니다. 더욱이 이렇게 죽은 군사들은 활도 잘 쏘고 배도 익숙한 토병과 보자기(잠수부)들이라 애석하기 짝이 없습니다.

그리고 남아 있는 군졸들도 아침 저녁 먹는 것이 겨우 2,3흡에 지나지 못하니 이렇게 배고프고 피곤한 몸으로서 무슨 힘으로 활시위를 잡아당기고 노를 저을 수가 있겠습니까? 큰 적을 눈앞에 두고 형편이 이와 같으니 민망하기 그지없습니다. 이 사정을 도원수와 순찰사에게 보고하고 보성, 순천, 흥양 등지의 군량 689석을 지난 6월 중에 실어다 나누어 먹이기는 했으나 그것마저 다 떨어졌습니다."


또 한 달 뒤인 9월의 장계에서도 "약하고 외로운 수군들로서 적을 막아내기가 매우 어려운데 군량조차 대기 어렵기 때문에 신은 자나 깨나 애타는 생각을 금할 수 없습니다." 라고 했다.

다시 두 달이 지난 그해 11월 17일에도 장계에서 이렇게 하소연하고 있다.

"경상우도 여러 고을은 군량이 거의 다 덜어져 군사고 군량이고 내놓을 도리가 없습니다. 그리고 배가 아무리 많은들 격군이 없으면 어떻게 부리며, 또 아무리 격군이 채워진들 군량이 없고서야 무엇으로 군사들을 먹이겠습니까. 답답함을 금할 수 없습니다."

해가 바뀌어도 군량 부족 문제는 속 시원히 해결될 기미를 보이지 않았다. 이듬해인 1594년 3월 15일자 장계에도 군량 부족 문제가 나온다.

"전라좌우도의 군선은 본시 있던 것과 새로 만든 것을 막론하고 먼저 집합한 것이 110척이요, 사후선도 110척이라 사부와 격군을 합쳐서 무려 1만 7천명이나 됩니다. 1명당 아침저녁으로 각각 5흡씩 나누어준다면 하루 먹을 것이 적어도 100석이요, 한 달에 드는 것이 3천 4백여석입니다.

경상우도는 벌써 바닥이 나서 거둬들일 수 없고, (수군 소속) 전라도 열 고을만 바라보는데, 열 고을에서도 남아 있는 군량에서 백성들 구제할 곡식을 제하고 나면 수군들 먹을 군량은 겨우 앞으로 두 달 남짓, 5월 보름께밖에 더 계속되지 못할 실정입니다."


이순신은 전염병에 걸려 죽어가는 부하들과 백성들이 불쌍해 견딜 수가 없었다. 하지만 그것은 그의 능력으로도 어쩔 수가 없었다. 그는 약을 구하기 위해 침식을 잊다시피 했고, 심지어는 소용없을 줄을 알면서도 조정에 유능한 의원을 보내달라는 장계를 올리기도 했다.

그러나 아무리 어려운 형편을 하소연하고 사정해도 할 줄 아는 것이라고는 명령만 하는 입밖에 없는 무능한 조정에서 쌀은 커녕 밀가루, 보릿가루 한 가마니 보태줄 수가 없었다. 더구나 임진왜란(壬辰倭亂)이라는 미증유의 참화가 일어나 농사를 제대로 짓지 못한데다가 이듬해부터 2년간 잇달아 큰 흉년까지 겹치자 팔도강산은 굶어 죽은 시체로 뒤덮이다시피 했다.

유성룡의 징비록(懲毖錄)에도 이런 구절이 나온다.

"늙은이, 어린이들은 길에서 엎어져 죽고, 장정들은 도둑이 되고, 그 위에 병까지 겹쳐 거의 다 죽게 되었다. 그래서 부자와 부부까지도 서로 뜯어먹어 뼈다귀만 길가에 내버리는 것이었다."

한편 선조실록(宣祖實錄)에도 다시 사헌부에서 올린 장계에 "요즘 산 사람을 죽여서 창자와 골까지 빨 아먹습니다. 옛날에도 사람을 잡아먹었다는 말이 있었지만 이렇게까지 심하기야 했겠습니까? 듣고 보기에 너무나 참혹합니다." 라는 대목이 있다. 또한 이덕형(李德馨)이 선조(宣祖)에게 올린 보고서에도 "부자와 형제가 서로 잡아먹습니다. 더욱이 양주 고을 백성들은 서로 떼를 지어서 도둑이 되어서 사람을 잡아다가 먹기까지 합니다." 라고 했다.

이순신이 둔전을 설치한 것은 이처럼 어려운 식량난을 조금이라도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었던 것이다. 그는 그해 9월 1일자 장계에서 수군의 어려움에 대해서 이렇게 토로했다.

"신은 수군에서 자라나 지켜온 사람이지만 여러 차례 큰 전투를 겪었으므로 수전(水戰)과 육전(陸戰)의 어렵고 쉬운 점과, 오늘날 급한 일이 무엇인지를 망령되게 아래에 진술하는 바입니다.

우리나라 사람은 겁쟁이가 열에 여덟아홉이요, 용감한 자라고는 열에 한둘밖에 없는데, 평시에 구별되지 않고 서로 섞여서 무슨 소문만 들리면 그저 도망갈 생각만 내어 놀라고 엎어졌다 자 빠졌다 다투어 달아나니, 만약 그 속에 용감한 자가 있다한들 혼자 어찌 번쩍이는 칼날을 무릅쓰고 죽자고 돌진할 수 있겠습니까? 만일 골라 뽑은 군졸들을 용감하고 지혜로운 대장에게 맡겨서 정세에 따라 잘 지도하였더라면 오늘날 사변(事變)이 이 정도에 이르지는 않았을 것입니다.

그런데 수전(水戰)으로 말하면 많은 군사가 다 배 안에 있으므로 적선을 바라보고 설령 도망치려 해도 어쩔 수 없기도 하려니와, 하물며 노질을 재촉하고 북소리 급히 날 때 만일 명령을 어기는 자가 있으면 군법이 뒤를 다르니 어찌 힘껏 싸우지 않으며, 또 거북선이 앞에서 돌격하고 판옥선이 뒤따라가며 연달아 지자총통(地字銃筒)과 현자총통(玄字銃筒)을 쏘고 또 포탄과 화살을 빗발치듯 우박 퍼붓듯 하면서 쏘면, 적군의 사기가 쉽게 꺾여 물에 빠져죽기에 바쁘니 이것이 수전(水戰)의 쉬운 점입니다.

그런데 군선의 수가 적고 수군의 졸병들도 달아나는 자들이 요즘에 와서 더욱 심한 바, 만일 군선을 많이 준비하고 또 격군을 채울 길이 열린다면 비록 대적(大敵)이 수없이 많이 쳐들어와도 족히 당해나고 또 충분히 섬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적군의 정세를 보건대 남쪽으로 도망쳐 내려온 뒤로 아직도 바다를 건너지 않고 영남 바닷가 여러 고을을 저희 소굴로 만드니, 놈들이 하는 짓을 살피면 그 흉계를 헤아리기 어려우나, 만일 적들이 수륙으로 합세하여 일제히 치고 나서면 우리 수군으로서는 그것을 막아내기 어렵고, 또 군량을 대기도 어려울 것이라 이것이 자나 깨나 신이 걱정하는 바입니다.

신의 어리석은 생각에는 수군의 관할 아래에 있는 연해안 각 고을에 여러 종류 장정군(壯丁軍)들은 모두 수군에 소속케 하고, 군량도 또 그렇게 하여 군선을 곱절이나 더 만들게 하면, 전라좌도 다섯 고을 포구에는 60척을 정비할 수 있고, 우도 열다섯 포구에는 90척을 정비할 수 있으며, 경상우도에는 난리 치른 나머지라 조처할 길이 없다고 할지라도 40척은 정비할 수 있고, 충청도에서도 60척은 얻을 것이라 합치면 250척은 될 것입니다.

이만한 병력을 가지고서 적의 행방을 듣는 대로 자신의 도, 남의 도 할 것 없이 곧 응원하여 정세에 따라 추격하면 가는 곳마자 적군이 대적하지 못할 것이며, 또한 적군이 비록 많다 해도 그 배는 물에 있는 것이니 우리 배가 맞버티면 적들도 두려워 마음대로 상륙하지 못할 것입니다. 원컨대 조정에서는 충분히 헤아리셔서 이 일만은 연안 고을 장정군과 군량 등은 다른 곳으로 옮기지 말고 모두 수군에 소속시켜 주시고, 수군 장졸들의 인사도 도한 이동시키지 말기 바랍니다.

군사들의 양식이 가장 급선무인데 호남 방면이 명색으로는 보전되었다 하나 모든 물자가 고갈되어 조달할 길이 없습니다. 신의 생각으로는 본도 순천, 흥양 등지에 넓고 비어 있는 목장과 농사지을 만한 섬이 많이 있으니 혹은 관청 경영으로 하든지, 혹은 민간에 주어서 소작을 시키든지, 혹은 순천, 흥양의 수비군들로 하여금 전력하여 농사짓게 하다가 사변(事變)이 생길 적에 나와 싸우게 하면 싸움에나 지킴에나 방해됨이 없고, 군량에도 유익한 바 될 것이니, 이것은 조(趙)의 이목(李牧)과 한(韓)의 조충국(趙充國)이 일찍 경험한 방책입니다.

다른 도에도 이 같은 예로 내년 봄부터 시작하여 농사짓게 하심이 옳을까 합니다. 군선을 곱절이나 더 만든다면 지자 및 현자총통을 갑자기 마련하기 어려울 것인바 육지 각 고을에 있는 총통을 급속히 수군으로 옮겨 보내주어야 하겠습니다.

수사(水使)는 수군의 대장으로서 무릇 호령을 내려도 각 고울 수령들은 관할이 아니라고 핑계대고 전혀 준행치 않으며, 심지어 군사상 중대한 일까지 내버려 두는 경우가 많아 일마다 늦어지게 되는바, 이런 큰 난리를 당하여 도저히 일을 처리해 갈 수 없으니 사변이 평정될 때까지는 감사(監司)와 병사(兵使)의 예에 의해 수령을 아울러 지휘할 수 있도록 해주실 것을 바라나이다."


이처럼 이순신은 병력의 부족, 군량의 부족, 전함과 무기의 부족, 여기에 전염병까지 겹쳐 이루 말할 수 없는 고통을 겪고 있었다.

특히 당시의 수군은 대를 이어 복무해야 하는 세습 노비와도 같은 천한 신분이었으므로 기피자와 도망병이 많았다. 따라서 격군이 늘 부족했기에 일벌백계(一罰百戒)의 엄한 처벌이 불가피했다. 설상가상으로 육군에서도 병력 충원을 위해 수군을 빼앗아 갔다.


참고서적; 황원갑(黃源甲) 저술 "부활하는 이순신" 에코비즈니스(EcoBusiness) 2004, 김종대(金宗代) 저술 "신(臣)에게는 아직도 열두척의 군선이 있습니다." 북포스(BookFors) 2001, 최두석(崔頭錫) 저술 "임진왜란(壬辰倭亂)과 이순신(李舜臣)" 일각 1999, 김형광(金炯光) 저술 "인물로 보는 조선사(朝鮮史)" 시아출판사 2003.

{계속}



TOTAL: 9114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34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10.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10 9601 0
133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10.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10 10019 0
132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10.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10 9231 0
131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10.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9 9703 0
130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10.백.......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9 9473 0
129
No Image
이번은 「짬뽕」이 한국 기원 tatum 2009-02-09 22279 0
128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9.삼.......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8 9773 0
127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9.삼.......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7 10256 0
126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9.삼.......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7 10274 0
125
No Image
신라가 일본 열도를 정복했어? siraki 2009-02-07 10415 0
124
No Image
아버지가 다른 형제의 한국과 일본?....... caster51 2009-02-07 12409 0
123
No Image
고대 유적같은 분위기 18181818181818 2009-02-07 11457 0
122
No Image
nisioka씨를 찾아요 cutebulleta 2009-02-06 11137 0
121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8.부.......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6 10961 0
120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8.부.......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6 9899 0
119
No Image
지금의 일본인들은 한심하다.. siraki 2009-02-05 11392 0
118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7.의.......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5 10043 0
117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7.의.......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5 10251 0
116
No Image
일본인들의 거짓말... siraki 2009-02-04 11851 0
115
No Image
「불패의 명장 이순신(李舜臣)」6.한....... 渤海成宗宣皇帝 2009-02-03 10114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