癌細胞また正常細胞で戻す ‘奇蹟のスィッチ’ 捜した
国内研究陣が癌細胞を正常細胞で戻すことができる方法を捜し出した. 癌細胞を死滅させる現行治療方式とは根本的に他の接近法なので, 癌完全征服の初段階につながるか注目される.
カイストはバイオ及び雷公学と條鋼県教授研究チームが正常細胞で癌細胞に変化する瞬間の ‘スレッシュホールド前が’(臨界転移, critical transition) 現象を捕捉・分析して癌細胞を正常細胞で戻すことができる ‘分子スィッチ発掘技術’を開発したと 5日明らかにした.
正常細胞が癌細胞に変わる過程では特定時点に急に状態が変わるスレッシュホールド前が現象が現われる. まるで水が 100度で急に気化されることのように急激な状態変化が成り立つのだ.
この時は正常細胞と癌細胞が不安定に共存するのに, カイスト研究チームはこのスレッシュホールド前が瞬間に注目して癌細胞を正常細胞で戻すことができる特定分子を捜し出した.
![大膓癌細胞可逆化效果模式図. カイスト](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3/SSC_20250213161831_O2.jpg.webp)
研究チームはスレッシュホールド転移を誘導する核心遺伝子を捜し出して調節することができたら, 癌細胞を正常細胞と類似の状態で戻して副作用なしに治療することができると仮定した.
これを証明するためにシステム生物学技法を活用, スレッシュホールド転移に関与する遺伝子たちの相互作用を分析する遺伝子ネットワークコンピューターモデルを開発したし, 癌発生瞬間を管掌する分子スィッチ遺伝子 USP7を捜し出した.
電燈スィッチを切ったつけることのようにこの分子の作動を統制して癌細胞を正常細胞で戻す方法が分かったのだ.
研究チームは実際大膓癌患者の体外培養組職にこの技術を適用して癌細胞が正常細胞で回復するということも確認した.
研究チームは既存の癌細胞を殺す方式の治療法ではない, 癌細胞の運命を正常に戻す新しい治療法というところ研究意義があると説明した.
條鋼県カイストバイオ及び雷公学と教授は “大膓癌外他の癌にもこの技術を適用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見える”と “技術を高度化した後技術移転をする計画だ”と言った.
今度研究成果は国際学術だ ‘オドベンスドサイエンス(Advanced Science)’ 1月 22日付けオンライン版に載せられた.
암세포 다시 정상세포로 되돌리는 ‘기적의 스위치’ 찾았다
국내 연구진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방법을 찾아냈다. 암세포를 사멸시키는 현행 치료 방식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접근법이어서, 암 완전 정복의 첫 단계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카이스트는 바이오및뇌공학과 조광현 교수 연구팀이 정상세포에서 암세포로 변화하는 순간의 ‘임계전이’(臨界轉移, critical transition) 현상을 포착·분석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분자스위치 발굴 기술’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정상세포가 암세포로 변하는 과정에서는 특정 시점에 갑작스럽게 상태가 변하는 임계전이 현상이 나타난다. 마치 물이 100도에서 갑자기 기화되는 것처럼 급격한 상태 변화가 이뤄지는 것이다.
이때는 정상세포와 암세포가 불안정하게 공존하는데, 카이스트 연구팀은 이 임계전이 순간에 주목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수 있는 특정 분자를 찾아냈다.
![대장암 세포 가역화 효과 모식도. 카이스트](https://img.seoul.co.kr/img/upload/2025/02/13/SSC_20250213161831_O2.jpg.webp)
연구팀은 임계전이를 유도하는 핵심 유전자를 찾아내 조절할 수 있다면, 암세포를 정상세포와 유사한 상태로 되돌려 부작용 없이 치료할 수 있다고 가정했다.
이를 증명하기 위해 시스템생물학 기법을 활용, 임계전이에 관여하는 유전자들의 상호작용을 분석하는 유전자 네트워크 컴퓨터 모델을 개발했고, 암 발생 순간을 관장하는 분자 스위치 유전자 USP7을 찾아냈다.
전등 스위치를 껐다 켜는 것처럼 이 분자의 작동을 통제해 암세포를 정상세포로 되돌릴 방법을 알아낸 것이다.
연구팀은 실제 대장암 환자의 체외 배양조직에 이 기술을 적용해 암세포가 정상세포로 회복된다는 것도 확인했다.
연구팀은 기존의 암세포를 죽이는 방식의 치료법이 아닌, 암세포의 운명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새로운 치료법이라는 데 연구의의가 있다고 설명했다.
조광현 카이스트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는 “대장암 외 다른 암에도 이 기술을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기술을 고도화한 뒤 기술이전을 할 계획이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사이언스(Advanced Science)’ 1월 22일 자 온라인판에 게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