伝統文化

先ほどの名指しいただいたスレにて、契約の証に白馬を潰す話について触れられていたので、日本で閲覧できるそれについて触れられた箇所のある論文を丸ごと貼り付けてみる。

韓国だとこういう論文は目にする機会のないでしょうしね。

 

pdfをコピーペーストしたものですので、いくつかの言葉が抜け落ちていたりしていますし、標準的ではない漢字が使用されているので、KJの翻訳機能ではどの程度読めるものか甚だ疑問ではあるけれど、外部の翻訳機能を利用するなりして知的好奇心を満たす一助にでもなれば幸いと思う。

 

ソースはこちら:http://archives.bukkyo-u.ac.jp/infolib/user_contents/repository_txt_pdfs/rekishi01/RO001L015.pdf

 


 

東アジアにおけるさつ牛祭祀の系譜

新羅と日本古代の事例の位置づけ

門田誠一

〔抄録〕
朝鮮三国時代の新羅の金石文と日本古代の文献には牛をころして盟誓や祭儀を行うといわゆるさつ牛祭祀が記されている。とくに新羅のさつ牛祭祀は近年になって発見された金石文にみえるので、日本古代のさつ牛との比較研究は少なく、また、中国の供犠や祭祀に伴うさつ牛との比較も十分とはいえなかった。本論では新羅と古代日本のさつ牛祭祀を相互に比較するとともに、中国の文献や考古資料にみえる牛を用いた犠牲や祭祀をも参照しつつ、それらとの対比から東アジアにおける新羅と古代日本で行われたさつ牛祭祀の各々の特質を示し、あわせて両者には系譜性があることを論じた。
キーワード東アジア、古代、金石文、さつ牛、祭祀

 


一九八〇年代以降に発見された石碑の銘文によって、牛をころして祭天や盟誓を行うことが新羅における特徴的な祭祀行為であることが判明した。すなわち、「鳳坪新羅碑」にみえる牛をころして天を祭る儀式であり、また「冷水新羅碑」にみえるさらに牛をさつして、天に語りつげるという盟誓の儀式である。これらはいずれも六世紀代の所産であると考えられており、新羅の領域における牛をころして行う祭儀および盟誓の実態を伝えている。
いっぽう、牛をころす祭儀は元来、中国古代において行われたことは広く知られている。また、日本古代にも牛をころす祭儀があり、その淵源と社会的かつ思想系譜上の意義をめぐって種々の議論が行われている。
本論ではこのような牛をころして行う祭儀や盟誓をさつ牛祭祀と措定し、中国で創始されたこのような祭祀との対比において、新羅のさつ牛祭祀を東アジアのなかでの視準として位置づけることによって、新羅と日本のさつ牛祭祀の差異を抽出し、それによって両者の系譜と特質について考察する。

一東アジアのさつ牛祭儀についての従前の研究
新羅と日本のさつ牛祭祀に対する具体的な論及を行うにあたって、東アジアのさつ牛祭祀とくに新羅と日本を対象とした従前の研究動向を整理することによって、本論の目途とするところを学史的に明確にしたい。
まず、東アジアのさつ牛行為については、佐伯有清氏の体系的な研究が知られる。佐伯氏は東アジアのみならず世界各地の史料と民族誌を検討し、「さつ牛祭神」については雨乞い、軍事の吉凶を占う、祟りや毒気を祓う、という三つの類型に分類した(1)。
栗原朋信氏は中国古代の郊祀や宗廟祭祀および盟誓の場合、生きた動物を犠牲とし、その最上が牛であるが、日本にはこのような犠牲は受容されず、獣類が祭祀に供せられても、それは幣帛としてであって、日本古代のさつ牛祭神はあくまでも渡来人の祭祀であり、日本の農耕儀礼の一般的な祭祀ではないとする(2)。
井上光貞氏は唐と日本の律令制の比較するなかで、日本では動物の犠牲を排除したのであり、祈年祭以外には動物の供献がみられず、さつ牛祭祀に関与したのは渡来人であるとする(3)。
日本古代のさつ牛祭神については、先の佐伯有清氏をはじめとした諸研究の後、近年においても、言及が行われている。川村邦光氏は、さつ牛祭祀は奈良・平安時代には神祇信仰の儀礼として定着したが、それ以前は雨乞いのためのさつ牛祭祀について、豊穣を祈願する農耕儀礼というよりは、天体の動きによる吉凶が認められる点から、緯思想に基づくものとみて、道教的・陰陽道的な外来の新しい儀礼であったとする(4)。
新羅のさつ牛祭天儀礼については、鈴木秀夫氏が蔚珍・鳳坪碑に関しては、王京の支配共同体が高句麗との境界の住民を処罰し、その際に「斑牛」をころすとし、迎日・冷水碑に関しては、新羅王が地方有力者の相続に際して裁定を下した後に、牛をころしているとし、日本のさつ牛儀礼は新羅に求められるとする。ただし、新羅ではさつ牛馬儀礼は王権が関与する公的なものであるのに対し、日本では民間祭祀的な性格を有するとする。これを律令国家が「漢神」として弾圧したのは国家が関与しない共同体間の独自の規範を規制するという要因があったとする。また、新羅のさつ牛儀礼は夫余などの習俗と関係するとみる(5)。
日本と朝鮮半島の古代におけるさつ牛祭祀を考察するうえで参照すべき中国古代の動物供犠についても、考古学資料と文献との相関から体系的な研究がなされており、礼制における供犠については、本論でも多くをこれによっている(6)。中国古代の礼制と犠牲は情報が多く多岐にわたるため、本論では新羅と日本古代のさつ牛祭祀と関係する部分に限定して次節以下でふれることにしたい。
さつ牛祭祀に関連して、『古語拾遺』にみられる牛の肉を溝口に置いて蝗の害を防ぐ、という記述がさつ牛祭祀と同一視されて論じられることが多いが、本論では牛をころすという行為を伴う場合とは区別し、さつ牛行為に関わる祭祀のみをとりあげることとする。

二新羅と日本古代のさつ牛祭儀
ここでは新羅と日本古代のさつ牛祭祀に関して論じるために、それらについて概観し、次節でふれる中国古代のさつ牛祭祀との相関的かつ対照的な検討の前提としたい。

(一)金石文にみえる新羅のさつ牛祭祀
韓国では一九八〇年代に新羅時代の碑文の発見があいついでおり、新羅時代の祭政に関する新たな知見が集積している。そのような碑文のなかに牛をころす儀礼が散見される。
「鳳坪新羅碑」は一九八八年に慶尚北道蔚珍郡竹辺面鳳坪里で発見された。碑石は高さ二〇四センチで、一つの面のみに一〇行にわたって約四〇〇字が刻まれていた。立碑の年代については、碑文の内容から、法興王十一年(五二四)であることがわかっている。碑文の内容はおよそ四つのまとまりで構成されており、そのなかに新羅王の命令を違えたために処罰された高句麗との境界に位置する村々の首長たちの名前と、彼らに加えられた刑罰(杖六十、杖百)が記されている。また、そのときに新羅の官人によって牛をころして天を祭る儀式が行われており(新羅六部斑牛□□□事大人)、それに参与した者、立碑に関係した人々の名前、そしてその後には、首長と三九八人の村民が、以後、王の命令にそむくことのないように天の前で誓った盟誓の言葉も記されている(7)。
一九八九年に慶尚北道迎日郡神光面冷水里で発見された「冷水新羅碑」は、不定形の自然石に合計二三一字が刻まれていた。碑文には「癸未年」という干支紀年があり、これについては四四三年と五〇三年という二つの意見があるが、韓国の国宝指定の際には五〇三年に比定された。碑文の内容は地方における有力者の財物取得の紛争に新羅の高官七人が調停し、王の命令でその次第について規定し、またそれにそむけば「重罪」を科するとある。そして、牛をころしてお祓いをし(「事牛抜語故記」)、天に語り告げ、その際に二人の在地首長が調停に立ち会ったことを記している。さらに、「冷水新羅碑」では、牛をころして行う祀りの手順も記されている。それによると七人の新羅の役人(「典事人」)がひざまづき(「長跼」)、次に身をかがめて、言葉を告げ、牛をころした後に呪術的な文句を発する(「抜語」)というものである(8)。
このように新羅では誓いをかわす時には、当事者や立会人が集まって牛をころして、天を祭っていたことがわかる。そして、その誓いや盟約が王権の統治や行政に関わるものの場合、碑文にして皆に知らせ、また、後世に伝え示すべきものであったことが知られる。

(二)日本古代のさつ牛祭祀
日本古代のさつ牛祭神については、すでに研究史の項でみたように、従前は中国の影響や朝鮮半島からの渡来人との関係が議論の中心であって、一貫して外来系の祭祀と考えられてきた。
このような研究の方向性は現在も主流をなしており、定説化している。
このような日本におけるさつ牛行為について再検討するために、関連する文献記述を瞥見しておきたい。
まず、さつ牛祭祀に関するもっとも遡る記述としては、『日本書紀』に皇極天皇元年(六四二)七月戊寅条に次のような内容がある。すなわち、日照りが続いたので雨乞いのため、村々の祝部の教えにしたがって、牛馬をころして諸社の神を祀りあるいは、しばしば市を移したり、河伯(河の神)に祈ったりしたがまったく効果がなかったと群臣が語り合ったのに対し、蘇我大臣蝦夷は、諸寺で大乗経典を転読悔過し、雨を祈ろうと提案した、という記事である(9)。
下って延暦一〇年(七九一)九月十六日には伊勢・尾張・近江・紀伊と並んで若狭・越前に対し、百姓が牛をころして漢神を祀ることが禁止された(10)。『類聚三代格』にも同日の「応禁制さつ牛用祭漢神事」という太政官符がみられ、これに違反した場合は故さつ馬牛罪という罪科に問われた(11)。また、延暦二〇年(八〇一)四月八日には越前一国に対して、牛を屠って神を祀ることを禁止している(12)。
説話のなかの牛に目をむけると、『日本霊異記』にみえるさつ牛説話として著聞する楢磐嶋の話には斑牛がみえる。すなわち、諾楽(奈良)の左京六条五坊の人である楢磐嶋は聖武天皇の時代に大安寺の修多羅分の銭三〇貫を借りて、越前の都魯鹿(敦賀)津に行き、交易して購入した品物を運び、琵琶湖を船で運搬して帰る途中、急病にかかった。そこで船を留め、馬を借りて帰ろうとして、北陸道を南下し、山代(山背)の宇治橋に至ると、閻羅王によって自分を召しに遣わされた三人の鬼に会った。しかし、鬼たちに自分の家にいた二頭の斑の牛をころして食べさせたので、鬼は同年生まれの人を磐嶋の代わりに召していったため、彼は助かり九十才以上まで長生きしたという(13)。ここでは次節以降で述べる中国の礼式や祭儀で用いられることのない「斑牛」が取り上げられ、特別視されていることが注目される。
後の史料では十二世紀初頭に成立した『江談抄』には斑牛がとりあげられた説話が載せられている。すなわち、藤原兼家が大納言の時代に合坂(逢坂)関に雪が降り、道が真っ白になる、という夢を見て、雪は凶夢と思い夢を占う夢解に語ると、夢解はこの夢は良いお告げであるとして、そのわけは「班牛」(斑牛)が献上されるためであると解き、まもなく それが実現し、夢解は褒美をもらった。その後、大江匡衡にこのことを話すと驚いて、褒美は取り上げるべきとして、逢坂の関に雪の白は関白を意味する、と解きなおしたところ、兼家はたいへん感激した。翌年、兼家は関白の宣旨をたまわった、という話が載せられている(14)。このように奈良・平安時代の説話や逸話にも、稀ではあるが、斑牛がとりあげられる場合がある。

三東アジアにおけるさつ祭祀に関する文献・史料
新羅および古代日本のさつ牛祭祀を東アジアのさつ牛儀礼のなかで相対的に位置づけるべく、比較を行うために、中国古代におけるさつ牛儀礼、仏教におけるさつ牛儀礼、さつ牛と関連する考古資料に大別して、それらの特性について類型化して整理する。

(一)歴史および思想関係史料
中国の正史や文献にみられるさつ牛行為について、典型的な例をあげて類別的に略述してみたい。中国古代のさつ牛儀礼の中で、新羅を主とした他地域との比較に資するために、以下のような類型があげうる。

①儀礼に伴うさつ牛
a犠牲牛の色と姿
中国古代では礼楽では祭祀にともなって、牛が重要な供犠の一つであった。天子が社稷を祀る時の供物とされる大牢は牛・羊・豚の三種の犠牲であった。犠牲の「犠」の字は、後漢・許慎の『説文解字』によれば、「犠、宗廟之牲也」すなわち、犠とは宗廟のいけにえである、とみえている(15)。
また、『説文解字』には「、牛純色」とみえ(16)、南朝梁の顧野王によって編纂された字典である『玉篇』にも「犠、純色牛」とあり(17)、や犠と表記されるいけにえの牛とは、そもそも毛色が単一な牛の意であったことが知られる。これはすでにみた新羅のさつ牛祭祀では「斑
牛」が用いられるのとは異なっている。
『説文解字』では「、牛完全」とあり(18)、犠牲に用いる牛は完全な姿をしていなければならなかったことがわかる。同じく、明代の字典である『字彙』牛部には「祭天地宗廟之牛完全曰犠」とあり、天地を祭る宗廟の犠牲は完全な牛を意味したことが知られる。
b儀礼に伴うさつ牛
儀礼に際して牛を屠っていた例として典型的な記述をいくつかあげると、まず、天と地を祭る儀式である郊祀を行うにあたり、『礼記』曲礼篇には「天子は犠牛を以ってし、諸侯は肥牛を以ってす」と記されている(19)。また、『周礼』大使徒には「五帝を祀り、牛牲を奉ず」とみえる(20)。
礼書にみえる犠牲の序列としては、牛の飼養と供犠がもっとも重視されたことは『大戴礼記』曾子天園の記載によって知られる。すなわち、そこでは五牲すなわち牛・羊・豚・犬・鶏の秩序階層を組み合わせにより示しており、それによると諸侯の祭祀たる大牢は牛・羊・豚を合わせ、大夫の祭祀である小牢は羊・であり、士の祭祀である食などは豚一頭であると規定している(21)。加えて『礼記』王制には、天地神の祭祀には繭か栗ほどの長さで角が生えたば かりの子牛、宗廟の牛には角が握りこぶしほどの長さのもの、賓客をもてなす牛は角が一尺に成長したものを用いると細かく規定した後、諸侯は祭儀などの特別なことがなければ牛をころして用いることはない、と記されていることから、牛が犠牲として貴重であることがわかる(22)。
同じく牛を最上の犠牲とすることは『易経』に「東の牛をころすは西の祭して、まことにその福を受くるにしかず」とあることからも知られる(23)。すなわち「東の隣家では牛を屠って豊かな祭りをするが、それは西の隣家が豚を供えた質素な祭によって充分に幸福を授けら
れるのに及ばない」と説いており、中国古代の礼制では祭祀の際には牛を屠ることが、最上の行為であったことが知られる。同じ文章は『礼記』にもみられ、孔子が饗応において、進める物がいかに豊かであっても、礼を省くとそれは礼節にかなわない、ということを説く内容の例文として引かれている(24)。
『漢書』郊祀志にも牛の犠牲が散見する。たとえば、秦の始皇帝が五名山大川を祀る際の供え物として、「牛・犢各一頭」を用いている(25)。また、漢の高祖が豊邑の●楡の社に祈り、●を従えて●公になると、尤を祀り、鐘鼓や旗に犠牲の血を塗った、とみえる(26)。
前漢の高祖の二年に黒帝祠というものを建て、その四年後に天下がすでに定まってから二年後、すなわち高祖八年(紀元前一九九年)のこととして(27)、ある人が言うのには、周が興った時に、邑ごとに后稷の祠を立て、今に至るまであまねく天下に血食、すなわち動物の血を供えて祀っている、という。そこで高祖は御史に天下に令して、霊星祠を立て、毎年、季節ごとに牛を供えて祀れ、と詔を下した(28)。
また、牛そのもののみならず牛角を祭儀に用いることもあった。前漢の武帝の時に、后土神(土地の神)を祭るに際して、有司(役人)は太史令の談や祠官の寛舒らと相談し、天地の祀りに用いる牛の角は繭や栗のごとくに小さいため、今、陛下が親しく后土を祀られるなら、沢中の丘に五壇をつくり、壇ごとに一頭の黄犢と大牢を備え、祀りがすめば、ことごとく地中に埋め、祀りに従事する者の衣服は黄色のものを尊びます、といった。そして、武帝は東の陰に行幸し、后土祠を立て、寛舒らの議したとおりにした(29)。
ここでは牛の角が天地を祀るために用いられていたことがわかり、また、后土祠には牛を供えていたことも知られる。

②奢侈品・贅物としてのさつ牛行為
中国古代には牛をころす行為やその結果としての牛肉が奢侈を示したり、その象徴としての奢侈品や贅物として認識されたという記載がみられる。その典型例を以下にあげてみる。
『戦国策』では戦いを論ずるに際して、「人君は戦いと聞けば、私財を送り届けて軍卒を富ませ、飲食を送り届けて決しの軍士をもてなし、車のを折って薪とし、軍士のために飯を炊き、牛をころして軍士に酒をのませる」ことが戦争であり、これは君主を疲弊させる道に他なら
ないと説く(30)。ここでは士卒を奮起させるための最大のもてなしが牛を屠ることであることになる。
また、戦国時代の斉の公族として、常に天下の有能の士たちを食各として厚遇し、その数三千人ともいわれた孟嘗君が斉の宰相であった時、自分の領地であるに、を取り立てに赴かせた。は、あちこちで貸した金を回収して回り、十万銭を回収した。すると、はこの十万銭で酒肴を整え、金を借りている者を呼び出した。そこで、酒をたくさん造らせ、肥えた牛を買い、借金している者を呼んで、利息を出した者、出せない者ともに、証文を調べた。
その日に牛をころし、酒盛りを始めた。その後、返済できそうな者には返済期日を設け、貧しくて返済できない者には借用契約書を提出させ、全部自分の手元に置いた。こうしておいてから、は、孟嘗君が皆に銭を貸したのは、領民が生業を営みやすくするためであり、無理な取り立てはせず、返済能力のない者の借金の証文は、この場で焼き捨てた(31)。この話の後段では、が、孟嘗君も食客を養う立場にあり、その養う費用を捻出するため、皆から利息を取るのだ。孟嘗君も、金銭的に苦しいのだから、そこを理解して、返済できる者は期日までに返済して欲しい、といい、手元に置いておいた返済不能者の借用証文を焼き捨てると一同は大いに感激し、孟嘗君のためなら命も要らない、と語り合った。孟嘗君は、が借用証文を焼き捨てたと知って、大いに怒り、を呼び戻し、問いつめたが。は彼がとったのが上策である
ことを説くと、孟嘗君はこれに感心し、に厚く礼を述べた、という結末となっている。この話でもやはり牛をころすことがもてなしの方法として出てくる。
漢代にも牛がもてなしのための奢侈品であったことに関しては、たとえば『漢書』霍光伝の記載があげられる。霍氏が奢侈であった頃に、これを諫めた茂陵の徐生に対する上書の中のたとえ話として、煙突の近くに薪を置いていて、火災にあった家が、はたして失火し、近隣の人たちに助けられて、消火し、その感謝のために、牛をころし、酒を出した。顚末として、失火した家の主人が先に煙突を曲がったものにし、薪を移していれば、そのような費えは必要ではなかったとして、霍氏が誅滅されたことに先見のあった徐氏に対する例話としてあげられている。
ここでもやはり、饗応として牛をころすことがみえている(32)。

③礼楽以外の祭祀に伴うさつ牛行為
中国古代には礼楽に牛・羊・豚などが牲としての供えられることはいうまでもないが、この他の祭祀においても、牛をころして行う記載があり、次にこれらを挙例してみたい。

a病気平癒のための祈りとさつ牛
『韓非子』外儲説右下には「一に曰く」として、以下のような話が載せられている。秦の襄王が病んだ時、民は王のために祈り、王の病気が癒えると、人々は牛をころして神に感謝の祭りをした。郎中(近侍の官)の閻遏と公孫衍がこれをみて、王に拝賀して、王の徳が堯舜にも勝るというと、王は驚いて、なぜか、と聞いた。これに対して二人は堯舜も未だ民がそのために祈るところまでは至らなかったのに、今、王が病んだ時に民が牛を以って祈り、病が癒えると牛をころして感謝の祭りをしたために、臣は堯舜に勝ると、いうと、王はそれがどこの里かを調べて、里正(里の長)や伍老(隣組の長のような役職)を罰し、一つの屯(家の単位)ごとに甲二領を取り立てた。閻遏と公孫衍はこれを恥じて、なにもいうことができなかった。その後、数ヶ月してから、酒を飲みながら、二人が王にその理由を聞くと、王は民がそのような行為をなしたのは、民が自分を愛したからではなく、権勢のゆえであり、自分が権勢を捨てて、民と互いに親しんで治めていけば、そうでなくなった時に民はなにもしてくれなくなるだろう。そのためについに恩愛で治める道を建ったのだといった(33)。ここでは王の病気平癒祈願のために牛をころして神を祀っていることが知られる。
『韓非子』には本来的に存在した部分と後補の部分とがあり、この部分は後者とされるが、後補部分も韓非子の学統を継いで書きつがれていることは認識されている。
同じく、病気平癒のために牛をころして祈っている事例が、時代は下がるが『三国志』にもみられる。曹操が陳矯を魏郡の西部都尉にした時、曲周(河北省邯鄲市)に住む民の父が病気にかかった時、子は牛を犠牲に捧げて祈禱した。県は法律にこだわりし刑にしようとしたが、陳矯はこれを孝行であるとして、上奏してこの男を赦免した(34)。


ibmsama에 선물 part1

방금전의 지명해 받은 스레에서, 계약의 증거로 백마를 잡는 이야기에 대해 다룰 수 있고 있었으므로, 일본에서 열람할 수 있는 거기에 붙어서 접할 수 있었던 개소가 있는 논문을 통째로 붙여 본다.

한국이라면 이런 논문은 보는 기회가 없을 것입니다 죽어라.

 

pdf를 카피 페이스트 한 것이므로, 몇개의 말이 누락이라고 도달해 하고 있고, 표준적이 아닌 한자가 사용되고 있으므로, KJ의 번역 기능에서는 어느 정도 읽을 수 있던 것일까 매우 의문이지만, 외부의 번역 기능을 이용하자 마자 해 지적 호기심을 채우는 도움이라도 되면 다행이라고 생각한다.

 

소스는 이쪽:http://archives.bukkyo-u.ac.jp/infolib/user_contents/repository_txt_pdfs/rekishi01/RO001L015.pdf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권우제사의 계보

신라와 일본 고대의 사례의 위치설정

카도타 세이치

〔발초한 기록〕
조선 삼국시대의 신라의 금석문과 일본 고대의 문헌에는 소를 죽여 맹서나 제사 의식을 실시하면 이른바 권우제사가 기록되고 있다.특히 신라의 권우제사는 근년이 되어 발견된 금석문에 보이므로, 일본 고대의 권소라는 비교 연구는 적고, 또, 중국의 공희나 제사에 수반하고 말이야 개소라는 비교도 충분하다고는 말할 수 없었다.본론에서는 신라와 고대 일본의 권우제사를 서로 비교하는 것과 동시에, 중국의 문헌이나 고고 자료에 보이는 소를 이용한 희생이나 제사도 참조하면서, 그것들과의 대비로부터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신라와 고대 일본에서 행해졌고 말이야 개우제사의 각각의 특징을 나타내, 아울러 양자에게는 계보성이 있는 것을 논했다.
키워드 동아시아, 고대, 금석문, 권소, 제사

 


1980년대 이후에 발견된 비석의 명문에 의해서, 소를 죽여 제천이나 맹서를 실시하는 것이 신라에 있어서의 특징적인 제사 행위인 것이 판명되었다.즉, 「봉평신라비」에 보이는 소를 죽이고 하늘을 제사 지내는 의식이며, 또 「냉수 신라비」에 보이고 말이야들에게 소를 권 하고, 하늘에 말해 알린다고 하는 맹서의 의식이다.이것들은 모두 6 세기대의 소산이다고 생각되고 있어 신라의 영역에 있어서의 소를 죽여 실시하는 제사 의식 및 맹서의 실태를 전하고 있다.
한편, 소를 죽이는 제사 의식은 원래, 중국 고대에 있어 행해진 것은 널리 알려지고 있다.또, 일본 고대에도 소를 죽이는 제사 의식이 있어, 그 기원과 사회적 또한 사상 계보상의 의의를 둘러싸고 여러 가지의 논의를 하고 있다.
본론에서는 이러한 소를 죽여 실시하는 제사 의식이나 맹서를 권우제사와 조정해, 중국에서 창시 된 이러한 제사와의 대비에 대하고, 신라의 권우제사를 동아시아안으로의 시 준으로서 평가하는 것에 의해서, 신라와 일본의 권우제사의 차이를 추출해, 거기에 따라 양자의 계보와 특징에 대해 고찰한다.

한동아시아의 권우제사 의식에 대한 종전의 연구
신라와 일본의 권우제사에 대한 구체적인 논급을 실시하기에 즈음하고, 동아시아의 권우제사 특히 신라와 일본을 대상으로 한 종전의 연구 동향을 정리하는 것에 의해서, 본론의 목표로 하는 곳(중)을 학 역사적으로 명확하게 하고 싶다.
우선, 동아시아의 권우행위에 대해서는, 사에키 아리키요씨의 체계적인 연구가 알려진다.사에키씨는 동아시아 뿐만 아니라 세계 각지의 사료와 민족지를 검토해, 「권우제신」에 대해서는 기우, 군사의 길흉을 점치는, 수나 독기를 불, 라고 하는 세 개의 유형으로 분류했다(1).
쿠리하라붕노부우지는 중국 고대의 교사나 종묘 제사 및 맹서의 경우, 산 동물을 희생으로 해, 그 최상이 소이지만, 일본에는 이러한 희생은 수용되지 않고, 짐승이 제사에 보조자 다투어져도, 그것은 폐백으로서에서 만나며, 일본 고대의 권우제신은 어디까지나 도래인의 제사이며, 일본의 농경 의례의 일반적인 제사는 아니라고 한다(2).
이노우에 히카루정씨는 당과 일본의 율령제의 비교하는 가운데, 일본에서는 동물의 희생을 배제한 것이어, 풍년을 기원제 이외에는 동물의 공헌을 보지 못하고, 권우제사에 관여한 것은 도래인이다고 한다(3).
일본 고대의 권우제신에 대해서는, 앞의 사에키 아리키요씨를 시작해와 한 제연구의 뒤, 근년에 있어도, 언급을 하고 있다.카와무라 쿠니미츠씨는, 권우제사는 나라·헤이안 시대에는 하늘과 땅의 신 신앙의 의례로서 정착했지만, 그 이전은 기우를 위한 권우제사에 대해서, 풍양을 기원하는 농경 의례라고 하는 것보다는, 천체의 움직임에 의한 길흉이 인정되는 점으로부터, 위사상에 근거하는 것이라고 보고, 도교적·음양도적인 외래의 새로운 의례이었다고 한다(4).
신라의 권우제천의례에 대해서는, 스즈키 히데오씨가 울진·봉평비에 관해서는, 왕경의 지배 공동체가 고구려와의 경계의 주민을 처벌해, 그 때에 「반우」를 죽인다고 해, 영일·냉수비에 관해서는, 신라왕이 지방 유력자의 상속에 임하여 재정을 내린 후에, 소를 죽이고 있다고 해, 일본의 권우의례는 신라에 요구된다고 한다.다만, 신라에서는 권우마 의례는 왕권이 관여하는 공적인의 것인데 대해, 일본에서는 민간 제사적인 성격을 가진다고 한다.이것을 율령 국가가 「한신」으로서 탄압한 것은 국가가 관여하지 않는 공동체간의 독자적인 규범을 규제한다고 하는 요인이 있었다고 한다.또, 신라의 권우의례는 부여등의 습속과 관계한다고 본다(5).
일본과 한반도의 고대에 있어서의 권우제사를 고찰하는데 참조해야 할 중국 고대의 동물공희에 대해서도, 고고학 자료와 문헌과의 상관으로부터 체계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어 례제에 있어서의 공희에 대해서는, 본론에서도 대부분을 이것에 달려 있다(6).중국 고대의 례제와 희생은 정보가 많이 다방면에 걸치기 위해, 본론에서는 신라와 일본 고대의 권우제사와 관계하는 부분으로 한정해 차절 이하로 접 하고 싶다.
권우제사에 관련하고, 「고고슈이」에 볼 수 있는 소의 고기를 미조구치에 두어 황의 해를 막는다, 라고 하는 기술이 권우제사와 동일시 되어 논해지는 것이 많지만, 본론에서는 소를 죽인다고 하는 행위를 수반하는 경우와는 구별해, 권우행위에 관련되는 제사만을 취하는 것으로 한다.

2 신라와 일본 고대의 권우제사 의식
여기에서는 신라와 일본 고대의 권우제사에 관해서 논하기 위해서, 그것들에 대해 개관 해, 차절로 접하는 중국 고대의 권우제사와의 상관적이고 대조적인 검토의 전제로 하고 싶다.

(1) 금석문에 보이는 신라의 권우제사
한국에서는 1980년대에 신라시대의 비문의 발견이 연달아 내려 신라시대의 제정에 관한 새로운 지견이 집적하고 있다.그러한 비문 속에 소를 죽이는 의례가 산견된다.
「봉평신라비」는 1988년에 경상북도 울진군죽변면봉평리로 발견되었다.비석은 높이204센치로, 하나의 면에만 10행에 걸쳐서 약400자가 새겨지고 있었다.립 비의 연대에 대해서는, 비문의 내용으로부터, 법흥왕 11년(5이4)인 것을 알 수 있고 있다.비문의 내용은 대략 네 개의 정리로 구성되어 있어 그 안에 신라왕의 명령을 달리했기 때문에 처벌된 고구려와의 경계에 위치하는 마을들의 수장들의 이름과 그들에 더해진 형벌(지팡이 60, 장백)이 기록되고 있다.또, 그 때에 신라의 관리에 의해서 소를 죽이고 하늘을 제사 지내는 의식이 거행되고 있어(신라 육부반우□□□사대인), 거기에 참여 한 사람, 립 비에 관계한 사람들의 이름, 그리고 그 후에는, 수장과 39팔인의 주민이, 이후, 왕의 명령을 거역할리가 없게 하늘의 앞에서 맹세한 맹서의 말도 기록되고 있다(7).
1989년에 경상북도영일군신광면냉수마을로 발견된 「냉수 신라비」는, 부정형의 자연석에 합계 후미카즈자가 새겨지고 있었다.비문에는 「계미년」이라고 하는 간지기년이 있어, 이것에 대해서는 44삼년과 50 3년이라고 하는 두 개의 의견이 있지만, 한국의 국보 지정 시에는 50 3년에 비정 되었다.비문의 내용은 지방에 있어서의 유력자의 재물 취득의 분쟁에 신라의 고관 일곱 명이 조정 해, 왕의 명령으로 그 다음 제에 대해 규정해, 또 거기에 어기면 「중죄」를 과 하면 있다.그리고, 소를 죽여 불제를 해( 「사우발어 고 기」), 하늘에 말해 고해 그 때에 두 명의 재지 수장이 조정에 입회한 것을 적고 있다.게다가 「냉수 신라비」에서는, 소를 죽여 실시하는 사의 순서도 기록되고 있다.그것에 따르면 일곱 명의 신라의 공무원( 「전사인」)이 히나무( 「장국」), 다음에 몸을 굽히고, 말을 고하고 소를 죽인 후에 주술적인 불평을 발표하는( 「발어」)라는 것이다(8).
이와 같이 신라에서는 맹세를 주고 받을 때에는, 당사자나 입회인이 모이고 소를 죽이고, 하늘을 제사 지내고 있던 것을 알 수 있다.그리고, 그 맹세나 맹약이 왕권의 통치나 행정에 관련되는 것의 경우, 비문으로 하고 모두에게 알려 또, 후세에게 전해 가리켜야 할 것이었던 것이 알려진다.

(2) 일본 고대의 권우제사
일본 고대의 권우제신에 대해서는, 벌써 연구사의 항으로 본 것처럼, 종전은 중국의 영향이나 한반도로부터의 도래인과의 관계가 논의의 중심이며, 일관해서 외래계의 제사라고 생각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방향성은 현재도 주류를 이루고 있어 정설화하고 있다.
이러한 일본에 있어서의 권우행위에 대해 재검토하기 위해서, 관련하는 문헌 기술을 별 봐 두고 싶다.
우선, 권우제사에 관한 가장 거슬러 올라가는 기술로서는, 「일본 서기」에 황극천황 원년(642) 7월무인조에 다음과 같은 내용이 있다.즉, 가뭄이 계속 되었으므로 기우를 위해, 마을들의 축부의 가르침에 따라서, 우마를 죽여 제사의 신을 모셔 혹은, 자주 시를 옮기거나 하백(강의 신)에 빌거나 했지만 전혀 효과가 없었다고 군신이 이야기를 주고 받은 것에 대해, 소가 대신 에조는, 제절에서 대승경전을 전독회 보내, 비를 빌려고 제안했다는 기사이다(9).
내려 연력10년(7구일) 9월 음력 16일 밤에는 이세·오와리·오오미·키이와 함께 와카사·에츠젠에 대해, 백성이 소를 죽여 한신을 모시는 것이 금지되었다(10).「유취삼대격」에도 같은 날의 「응금제 권우용제한제사」라고 하는 태정관부가 볼 수 있고 이것에 위반했을 경우는 고 권마우죄라고 하는 죄과에 추궁 당했다(11).또, 연력20년(801) 4월8일에는 에츠젠 일국에 대해서, 소를 이기고 신을 모시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12).
설화 속의 소에 눈을 부릅뜰 수 있으면, 「니혼료이키」에 보이고 말이야 개우설화로서 저문 하는 유반 시마의 이야기에는 반우가 보인다.즉, 낙락(나라)의 사쿄 6조5방의 사람인 유반 시마는 쇼무 덴노의 시대에 다이안지의 슈타라 분의전30관을 빌리고, 에츠젠의 수도노록(츠루가) 진에 가, 교역 해 구입한 물건을 옮겨, 비와코를 배로 운반해 돌아가는 도중 , 응급에 걸렸다.거기서 배를 두고 말을 빌려 돌아가려고, 호쿠리쿠를 남하해, 야마시로(야마세)의 우지다리에 이르면, 염라왕에 의해서 자신을 소 해에 보내진 세 명의 귀신을 만났다.그러나, 무서운들에게 자신의 집에 있던 두마리의 얼룩의 소를 죽여 먹였으므로, 귀신은 동년 태생의 사람을 반 시마대신에 소 하고 갔기 때문에, 그는 살아나 90세 이상까지 장수 했다고 한다(13).여기에서는 차절 이후에 말하는 중국의 예식이나 제사 의식으로 이용될리가 없는 「반우」가 다루어져 특별시 되고 있는 것이 주목받는다.
후의 사료에서는 12 세기 초두에 성립한 「강담초」에는 반우를 취할 수 있었던 설화가 실리고 있는 .즉, 후지와라노 가네이에가 오노말의 시대에 합판(오사카) 관에 눈이 내려 길이 새하얗게 된다, 라고 하는 꿈을 꾸고, 눈은 흉몽이라고 생각해 꿈을 점치는 몽해에 말하면, 몽해는 이 꿈은 좋은 신탁이다고 하여, 그 (뜻)이유는 「반우」(반우)이 헌상 되기 때문에 있으면 풀어, 곧 그것이 실현되어, 몽해는 포상을 받았다.그 후, 오오에노 마사히라에게 이것을 이야기하면 놀라고, 포상은 채택해야 한다로서 오사카의 관에 눈의 흰색은 관백을 의미한다, 라고 다시 풀었는데, 겸가는 매우 감격했다.다음 해, 겸가는 관백의 선지돌았다는 이야기가 실리고 있다(14).이와 같이 나라·헤이안 시대의 설화나 일화에도, 드물기는 하지만, 반우를 취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3 동아시아에 있어서의 권제사에 관한 문헌·사료
신라 및 고대 일본의 권우제사를 동아시아의 권우의례 속에서 상대적으로 평가할 수 있도록, 비교를 실시하기 위해서, 중국 고대에 있어서의 권우의례, 불교에 있어서의 권우의례, 권소와 관련하는 고고 자료로 크게 나누고, 그러한 특성에 대해 유형화해 정리한다.

(1) 역사 및 사상 관계 사료
중국의 마사시나 문헌에 볼 수 있고 말이야 개우행위에 대해서, 전형적인 예를 들어 유별적으로 약술해 보고 싶다.중국 고대의 권우의례 중(안)에서, 신라를 주로 한 타지역이라는 비교에 이바지하기 위해서, 이하와 같은 유형이 줄 수 있다.

①의례에 수반하고 말이야 개소
a희생소의 색과 모습
중국 고대로는 예악에서는 제사에 따르고, 소가 중요한 공희의 하나였다.천자가 사직을 모실 때의 공물로 여겨지는 대뇌는 우·양·돈의 삼종의 희생이었다.희생의 「희」의 글자는, 후한·허신의 「설문해자」에 의하면, 「희, 종묘지생야」즉, 희와는 종묘의 희생이다, 풍부해 라고 있다(15).
또, 「설문해자」에는 「, 우순색」이라고 보여(16), 남조대들보의 고야왕에 의해서 편찬 된 사전인 「옥편」에도 「희, 순색소」라고 있어(17), 나 희와 표기되는 희생의 소란, 원래 모색이 단일인 소의 뜻이었던 것이 알려진다.이것은 벌써 본 신라의 권우제사에서는 「얼룩
소」가 이용되는 것과는 다르다.
「설문해자」에서는 「, 우완전」이라고 있어(18), 희생에 이용하는 소는 완전한 모습을 하고 있지 않으면 안 되었던 것을 안다.같은, 명대의 사전인 「옥편」우부에는 「제천지 종묘지우완전왈희」라고 있어, 천지를 제사 지내는 종묘의 희생은 완전한 소를 의미했던 것이 알려진다.
b의례에 수반하고 말이야 개소
의례에 즈음하여 소를 이기고 있던 예로서 전형적인 기술을 몇개인가 주면, 우선, 하늘과 땅을 제사 지내는 의식인 교사를 실시하기에 즈음해, 「예기」곡례편에는 「천자는 희우로 해, 제후는 비우를 이」(이)라고 기록되고 있다(19).또, 「주례」대사도에게는 「오제를 모셔, 우생을 봉두」라고 보인다(20).
례서에 보이는 희생의 서열로서는, 소의 사육과 공희가 가장 중시된 것은 「대대예기」증자천원의 기재에 의해서 알려진다.즉, 그곳에서는 5생 즉 우·양·돈·견·계의 질서 계층을 편성에 의해 가리키고 있어 그것에 따르면 제후의 제사인 대뇌는 우·양·돈을 맞추어 대부의 제사인 소뇌는 양·이어, 사의 제사인 음식 등은 돼지 한필이다고 규정하고 있다(21).더해 「예기」왕제에는, 천지신의 제사에는 누에고치나 률 정도의 길이로 모퉁이가 난지 얼마 안된 송아지, 종묘의 소에는 모퉁이가 주먹 정도의 길이의 것, 빈객을 대접하는 소는 모퉁이가 일척으로 성장한 것을 이용하면 세세하게 규정한 후, 제후는 제사 의식등이 특별한 일이 없으면 소를 죽여 이용할 것은 없다, 라고 기록되고 있는 것으로부터, 소가 희생으로서 귀중하다라고 하는 것이 안다(22).
같은 소를 최상의 희생으로 하는 것은 「주역」에 「동쪽의 소를 죽이고는 서쪽의 제사라고, 정말로 그 복을 수 오는 밖에않고」라고 있는 것으로부터도 알려진다(23).즉 「동쪽의 인가에서는 소를 이겨 풍부한 축제를 하는 하지만, 그것은 서쪽의 인가가 돼지를 올린 검소한 제에 의해서 충분히 행복을 하사해들
의 것에 이르지 않는다」라고 말하고 있어 중국 고대의 례제에서는 제사 시에는 소를 이기는 것이, 최상의 행위였던 것이 알려진다.같은 문장은 「예기」에도 볼 수 있어 공자가 향응에 대하고, 진행하는 것이 얼마나 풍부해도, 예를 생략하면 그것은 예절에 이길 수 없는, 이라고 하는 것을 말하는 내용의 예문으로서 끌리고 있다(24).
「한서」교사지에도 소의 희생이 산견한다.예를 들어, 하다의 시황제가 다섯 명 야마다이강을 모실 때의 공물로서 「우·독 각 한필」을 이용하고 있다(25).또, 한의 고조부가 풍읍의●유의 회사에 빌어,●를 따르게 해●공이 되면, 우를 모셔, 종고나 기에 희생의 피를 발랐다, 풍부할 수 있다(26).
전한의 고조부의 2년에 흑제사라는 것을 세워 그 4년 후에 천하가 벌써 정해지고 나서 2년 후, 즉 고조부8년(기원 전199년)으로 하고(27), 어느 사람이 말하는데는, 주가 흥했을 때에, 읍 마다 후직의 사를 세워 곧 도달할 때까지 널리 강림나에 혈식, 즉 동물의 피를 올려 모시고 있다, 라고 한다.거기서 고조부는 사에 강림나에 령 하고, 령성사를 세워 매년, 계절 마다 소를 올려 사, 라고 조를 내렸다(28).
또, 우그 자체 뿐만 아니라 우각 (을)를 제사 의식에 이용하기도 했다.전한의 무제때에, 후토신(토지의 신)을 제사 지내는에 즈음하여, 유사(공무원)는 태사령의 담이나 신관 관서등과 상담해, 천지의 모셔에 이용하는 소의 뿔은 누에고치나 률과 같이에 작기 때문에, 지금, 폐하가 친하고 후토를 모셔진다면, 택중의 언덕에 5단상을 만들어, 단상 마다 한필의 황독과 대뇌를 갖추어 사가 살면, 죄다 지중에 묻어 모셔에 종사하는 사람의 의복은 황색의 것을 존경합니다, 라고 했다.그리고, 무제는 동쪽의 그늘에 행차해, 후토사를 세워 관서등이 의논한 대로 했다(29).
여기에서는 소의 뿔이 천지를 모시기 위해서 이용되고 있던 것을 알 수 있어, 또, 후토사에는 소를 올리고 있던 것도 알려진다.

②사치품·사치물로서의 권우행위
중국 고대에는 소를 죽이는 행위나 그 결과적으로의 쇠고기가 사치를 나타내거나 그 상징으로서의 사치품이나 사치물로서 인식되었다고 하는 기재가 보인다.그 전형예를 이하에 주어 본다.
「전국책」에서는 싸움을 논하는에 즈음하여, 「군주는 싸움이라고 (들)물으면, 사재를 데려다 주고 병졸을 풍부하게 하고 음식을 데려다 주어 결정 해의 군사를 대접해, 차의 것을 꺾고 신으로 해, 군사를 위해서 밥을 밥해, 소를 죽여 군사에 술을 마시게 할 수 있다」일이 전쟁이며, 이것은 군주를 피폐 시키는 길에 외라면
없다고 말한다(30).여기에서는 사졸을 분기시키기 위한 최대의 대접이 소를 이기는 것이다 된다.
또, 전국시대의 제의 공족으로서 항상 천하의 유능의 사들을 식 각으로서 후대 해, 그 수3천명이라고도 한 맹상군이 제의 재상이었을 때, 자신의 영지인에, 를 징수로 향해 가게 했다.(은)는, 여기저기에서 빌려 준 돈을 회수해 돌아, 10만전을 회수했다.그러자(면), 은 이 10만전으로 안주를 정돈하고 돈을 빌리고 있는 사람을 호출했다.거기서, 술을 많이 만들게 해 높아진 소를 사, 빚지고 있는 사람을 부르고, 이자를 낸 사람, 낼 수 없는 사람 모두, 증서를 조사했다.
그 날에 소를 죽여, 술잔치를 시작해 .그 후, 반제할 수 있을 것 같은 사람에게는 반제 기일을 마련하고 궁핍해서 반제할 수 없는 사람에게는 차용 계약서를 제출시켜, 전부 자신의 수중에 두었다.이렇게 해 두고 나서, 는, 맹상군이 모두에게 전을 빌려 준 것은, 영주 지배하에 있는 백성이 생업을 영위하기 쉽게하기 위해(때문에)여, 무리한 징수는 하지 않고, 반제 능력이 없는 사람의 빚의 증서는, 이 장소에서 구워 버렸다(31).이 이야기의 후단에서는, 이, 맹상군도 식객을 기르는 입장에 있어, 그 기르는 비용을 염출 하기 위한(해), 모두로부터 이자를 받는다.맹상군도, 금전적으로 괴로우니까, 거기를 이해하고, 반제할 수 있는 사람은 기일까지 반제해 주었으면 한, 이라고 하여, 수중에 놓아둔 반제 불능자의 차용 증서를 구워 버리면 일동은 많이 감격해, 맹상군을 위해서라면 생명도 필요 없다, 라고 이야기를 주고 받았다.맹상군은, 이 차용 증서를 구워 버렸다고 알고, 많이 화내, 를 귀환시켜, 추궁했지만.(은)는 그가 잡았던 것이 상책이다
것을 말하면, 맹상군은 이것에 감탄해, 에 두껍게 예를 말했다는 결말이 되고 있다.이 이야기에서도 역시 소를 죽이는 것이 대접 방법으로서 나온다.
한대에도 소가 대접을 위한 사치품이었던 것에 관계해서는, 예를 들어 「한서」곽광전의 기재를 들 수 있다.곽씨가 사치였을 무렵에, 이것을 간무능의 서생에 대한 상서안의 비록 이야기로서 굴뚝의 근처에 신을 두고 있고, 화재에 있던 집이, 과연 실화 해, 근린의 사람들이 도울 수 있고, 소화해, 그 감사를 위해서, 소를 죽여, 술을 냈다.



TOTAL: 8976

番号 タイトル ライター 参照 推薦
4576
No Image
温羅 伝説は実際話が土台 ( 日本語 ) ibmsama 2013-03-04 4415 0
4575
No Image
onla 伝説は実際歴史と思いますが ibmsama 2013-03-03 3213 0
4574
No Image
South Korea!!!!!!!!!!! LaiDaihan 2013-03-03 3156 0
4573
No Image
勝利の聖杯は存在するか? kichikawa 2013-03-02 3792 0
4572
No Image
近世密教仏堂訪問(近江寺) 栄養市民 2013-03-02 3147 0
4571
No Image
enjoy japan 時代 好戦的である日本人は....... 2013-03-02 3077 0
4570
No Image
ibmsamaにプレゼント part2 黒猫 2013-03-02 2419 0
4569
No Image
ibmsamaにプレゼント part1 黒猫 2013-03-02 2779 0
4568
No Image
だめだこりゃ ジョンお姉さん 2013-03-02 3022 0
4567
No Image
近世密教仏堂訪問(性海寺) 栄養市民 2013-03-02 2951 0
4566
No Image
さらに長々とご苦労だけど(失笑 2013-03-02 2919 0
4565
No Image
長々とご苦労だけど(失笑 ジョンお姉さん 2013-03-02 3011 0
4564
No Image
愛国心とカミカゼ特攻隊(1) kichikawa 2013-03-02 3042 0
4563
No Image
近世密教仏堂訪問(伽耶院) 栄養市民 2013-03-02 2991 0
4562
No Image
黒い猫様.... ibmsama 2013-03-01 2475 0
4561
No Image
旭日旗の使い方  dkool 2013-02-28 3808 0
4560
No Image
ジョンお姉さん 2013-02-27 3346 0
4559
No Image
SF条約締結時の孫 dkool 2013-02-26 3890 0
4558
No Image
愛国活動?に勤しむ行動する保守た....... koyoi 2013-02-24 4248 0
4557
No Image
殺牛・殺馬祭祀 黒猫 2013-02-21 601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