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6G에 11.44달라라면 싸다.
리눅스를 설치할 계획..
메인보드가 NVME를 지원하지 않기 때문에 PCI3.0에 확장 카드를 이용해서 설치할 계획이다.
✅ 데이터 저장용 NVMe SSD → 문제없이 사용 가능
✅ 부팅하려면 SATA SSD + NVMe 조합 활용 (가장 안전하고 쉬운 방법)
부팅은 지원하지 않는다면 SSD+ NVME 조합으로 해야 할 것 같다.
—————
우분투 설치 (SATA SSD + NVMe SSD 조합)
USB로 부팅 후, 우분투 설치 화면 진입
설치 유형 선택 시 “Something else(기타 옵션)” 선택
디스크 파티션 나누기
- SATA SSD (부트로더 전용)
/boot/efi
: 512MB (FAT32, 부트 플래그 활성화)/boot
: 1GB (EXT4)
- NVMe SSD (OS 저장소)
/
(루트) : 나머지 전부 (EXT4 또는 Btrfs)- 스왑 영역: 필요하면 4~8GB 설정
- SATA SSD (부트로더 전용)
부트로더 설치 위치: SATA SSD 선택 (
/dev/sda
)우분투 설치 진행
부팅 설정 (설치 후 작업)
- 설치 후, SATA SSD에서 부팅되는지 확인
- 터미널에서 부팅 디스크 확인
- Grub 업데이트 실행
- 재부팅 후
lsblk
으로 NVMe가 정상적으로/
에 마운트되었는지 확인
3. 결과
✅ SATA SSD가 부트로더 역할을 수행
✅ NVMe SSD에서 빠른 OS 실행 가능
✅ BIOS가 NVMe 부팅을 지원하지 않아도 정상 작동이 방식으로 설치하면 NVMe SSD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부팅 문제 없이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
256Gに 11.44ドルなら安い.
リヌックスを設置する計画..
メインボードが NVMEを支援しないから PCI3.0に拡張カードを利用して設置する計画だ.
データ保存用 NVMe SSD → 問題なしに使用可能
起動するためには SATA SSD + NVMe 調合活用 (一番安全で易しい方法)
起動は支援しなかったら SSD+ NVME 調合にしなければならないようだ.
----------
ウブント設置 (SATA SSD + NVMe SSD 調合)
USBで起動後, ウブント設置画面 進入
設置類型選択時 "Something else(その他オプション)" 選択
ディスクパーティション分け
- SATA SSD (ブートローダー専用)
/boot/efi
: 512MB (FAT32, ブートフラッグ活性化)/boot
: 1GB (EXT4)
- NVMe SSD (OS 保存所)
/
(ルート) : 残り全部 (EXT4 または Btrfs)- スワップ領域: 必要ならば 4‾8GB 設定
- SATA SSD (ブートローダー専用)
ブートローダー設置位置: SATA SSD 選択 (
/dev/sda
)ウブント設置進行
起動設定 (設置後作業)
- 設置後, SATA SSDで起動されるのか確認
- ターミナルで起動ディスク確認
- Grub アップデート実行
- 再起動後
lsblk
で NVMeが正常に/
にマウントされたのか確認
3. 結果
SATA SSDがブートローダー役目を遂行
NVMe SSDで早い OS 実行可能
BIOSが NVMe 起動を支援しなくても正常作動が方式で設置すれば NVMe SSDを最大限活用しながらも, 起動問題なしに安定的に使うことができま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