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수대】왕벚꽃나무 기원 논쟁이 허무한 결말
한국 경제 신문/중앙 일보 일본어판
「일제 강점기에 대량으로 심어진, 그래서 우리가 잘 보는 일본의 왕벚꽃나무는 실제, 제주(제주)의 원본남(왕앵)이 기원이다」.이 학설은, 한국인이 벚꽃을 즐기면서 「일제의 잔재는 아닐까」라고 하는 민족주의적 죄책감을 때마침 경감해 주었다.벚꽃 축제가 한국의 대표적인 봄의 축제가 되어, 관련 상품이 다 셀수 없을 정도 등장한 안, 논쟁이 일어날 때마다 민족주의적인 방벽으로서 나오는 것이 「제주 원산지설」이었다.
그러나 그 방어 논리는 이상했다.꽃의 원산지와 그 꽃을 즐기는 문화의 발생지는 별도인 것이기 때문이다.비록 세계의 벚꽃의 기원이 제주라고 해도, 우리의 조상이 벚꽃을 즐긴 예는 과거의 시나 그림으로 보여지지 않는다.그 대신 우리의 선조는 매화, 철쭉, 복숭아를 훨씬 강하게 사랑해, 시와 그림으로 예찬해, 음식품에도 넣고 즐겼다.
벚꽃을 사랑해, 밤에 빛을 붙이고 즐기는 밤벚꽃, 벚꽃의 과자등을 만든 것은 일본이었다.벚꽃에 관한 하이쿠나 강호시대의 풍속화 목판화도 다 셀수 없을 정도 많다.즉, 원산지가 어디서 저것, 오늘의 한국에서 벚꽃을 즐기는 풍습은 우리의 전통이 아니고, 일제 강점기를 거치고 일본에서 들어 왔다고 하는 것이다.한층 더 일본의 왕벚꽃나무의 기원이 제주라고 하는 학설도 올바르지 않았다고 하는 것이 최근,한국의 연구진에 의해서 밝혀졌다.산림청국립 수목원이 명지대·가 이즈미대 팀과 함께 제주의 왕앵의 게놈을 해독한 결과, 제주의 왕앵과 일본의 왕벚꽃나무는 다른 종인 것이 확인되었다.이 연구 결과는 세계적인 저널 「게놈 바이올로지」9월호에 게재되었다.
「왕벚꽃나무 제주 원산지설」을 주장해 우리의 전통이 아닌 벚꽃 축제를 의심스러운 민족주의로 포장하는 자기기만은 벌써 끝났다.대안은 2개다.민족주의 정신을 결벽증적으로 발휘해 벚꽃 축제를 모두 폐지하는지, 그렇지 않으면 벚꽃 축제의 전통이 일본에서 들어간 것을 인정해 한국식에 창조적으로 발전시킬까다.
그리고, 언제부턴가 벚꽃에 의해서 존재감이 희미해진 봄의 꽃 중 우리의 전통 문화와 밀접하게 관계가 있다 꽃을 찾아, 게다가 관련하는 축제를 한층 더 발전시킬 필요가 있다.예를 들면 철쭉은 신·윤보크의 그림 「연소 봄에 파랗게 난 풀을 밟고 다님」으로부터 김·소워르의 시집 「철쭉의 꽃」까지 많은 명작에 인스피레이션을 주었다.적어도, 인기가 있다 벚꽃에 상업적으로 편승 하면서 「일본의 벚꽃의 원산지는 제주이니까 이것은 우리의 전통이다」라고 주장하는 자기기만만은 이제(벌써) 그만두어야 하다.
문·소욘/코리아 중앙 데일리 문화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