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빙하기 당시의 황해는 거의 육지였습니다(물론일본 열도도 대륙의 일부였습니다).
그리고당시의 벼(인각)는지금의 남부 한반도에서도 발견되고 있어일본 열도에서도 발견되고 있습니다.
그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입니까?
보통으로 생각하면,그 근처가 「야생종의 벼」를 자생할 수 있는 북쪽 한계였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빙하기가 끝나도 야생종의 벼를 자생할 수 있는 북쪽 한계는 크지는 변하지 않습니다.
그 원인은, 당시의 일본 열도에 해당하는 지역이 난류의 영향을 강하게 받고 있어
빙하기라고 해도 비교적 온난한 기후였던 일에 있습니다.
●즉, 「야생종의 벼를 자생할 수 있는 북쪽 한계를 넘어 전파 할 가능성은 지극히 낮다」라고 하면,
●氷河期当時の黄海はほぼ陸地でした(もちろん日本列島も大陸の一部でした)。
そして当時の稲(籾殻)は今の南部朝鮮半島でも見つかっており、日本列島でも見つかっています。
それは何を意味するのでしょうか?
…普通に考えれば、その辺りが「野生種の稲」が自生できる北限だったと判断できます。
●氷河期が終わっても野生種の稲が自生できる北限は大きくは変わっていません。
その原因は、当時の日本列島にあたる地域が暖流の影響を強く受けており、
氷河期といえども比較的温暖な気候だった事にあります。
●つまり、「野生種の稲が自生できる北限を越えて伝播する可能性は極めて低い」とすれば、
氷河期以降に黄海で分断され半島になった朝鮮地域北部を経て日本へ伝播したとする事には無理があると言わざるを得ませ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