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튜브 캡처
[서울경제]
2100만명이 넘는 구독자를 보유한 유명 유튜브 채널이 한국의 기록적인 “저출생” 문제를 집중 조명하면서 전 세계 네티즌들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과학, 의학 분야 지식을 완성도 높은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는 유튜브 “쿠르츠게작트”(Kurzgesagt)에는 지난 4일 “한국은 왜 망해가나”(Why Korea is Dying Out)라는 제목의 영상이 올라왔다.
해당 영상의 “섬네일”(작은 크기의 견본 이미지)에는 흘러내리는 태극기의 이미지가 담겼다. 영상은 이틀 만에 조회수 250만회를 돌파했고, 댓글은 2만개 가까이 달렸다.
쿠르츠게작트는 지난해 한국의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이 0.78명을 기록한 사실을 짚으면서 “세계에서 가장 낮은 수치”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출산율이 빠르게 감소하고 있어 현재 젊은 인구가 100명이라면 2100년에는 그 숫자가 6명으로 줄어든다는 의미”라면서 “아무것도 변하지 않는다면 100년 안에 한국의 청년 94%가 줄어든다. 노인의 나라가 되는 것”이라고도 했다.
아울러 “2100년 한국의 인구수는 2400만명이 될 것으로 보인다”며 “이는 1950년대로 돌아간 수준”이라고도 지적했다.
한국의 심각한 고령화에도 집중한 쿠르츠게작트는 “문제는 1950년 한국의 중위연령이 18세(만19세)였다면, 2023년에는 45세, 2100년에는 59세가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중위연령은 한 나라의 전체 인구를 연령 순서로 줄을 세웠을 때 한가운데 있는 사람의 연령을 뜻하는데 중위연령이 높을수록 노인 인구가 많다는 의미다.
쿠르츠게작트는 노동력을 공급하는 생산연령인구(15~64살)가 줄고 고령화가 되면 사회가 감당할 의료비와 빈곤이 폭발적으로 증가한다는 점, 혁신이 어려워진다는 점 등도 지적했다.
이와 함께 “고령화 사회에선 선출 정부가 노인 인구의 이익을 대표한다. 이는 단기적으로 사고하는 사회, 혁신보단 기존의 것을 유지하는 걸 선호하는 사회로 이어진다”고 언급한 뒤 “기후변화 등의 미래 문제를 해결하려면 막대한 투자와 신선한 아이디어가 필요한데 그게 어려워진다”고 전망했다.
쿠르츠게작트는 이들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성평등 △보육비 지원 등 부모에 대한 재정적 혜택 △안정적인 집값 등을 제시했다.


ユティユブキャプチャ
[ソウル経済]
2100万名が越える購読者を保有した有名ユティユブチャンネルが韓国の記録的な "低生まれ" 問題を集中チョ・ミョンハながら全世界ネチズンたちの関心が集まっている.
科学, 医学分野知識を完成度高いアニメーションで製作するユティユブ "クルツゲザックト"(Kurzgesagt)には去る 4日 "韓国はどうして滅びて行くの"(WhyKoreaisDyingOut)という題目の映像が上って来た.
該当の映像の "島ネール"(小さな大きさの見本イメージ)には下がる太極旗のイメージが盛られた. 映像は二日ぶりにヒット数 250万回を突破したし, デッグルは 2万個身近に走った.
クルツゲザックトは去年韓国の合計出産率(女性 1人が一生生むことと予想される平均生まれよ水)が 0.78人を記録した事実をつきながら "世界で一番低い数値"と説明した.
それとともに "出産率が早く減少していて現在若い人口が 100人なら 2100年にはその数字が 6人で減るという意味"と "何も変わらなかったら 100年の内に韓国の青年 94%が減る. 年寄りの国になること"とも言った.
同時に "2100年韓国の人口数は 2400万名になるように見える"と "これは 1950年台に帰った水準"とも指摘した.
韓国の深刻な高令化にも集中したクルツゲザックトは "問題は 1950年韓国の中位年齢が 18歳(満19歳)だったら, 2023年には 45歳, 2100年には 59歳になること"と説明した.
中位年齢は一国の全体人口を年齢手順で繩を止めた時真ん中にある人の年齢を意味するのに中位年齢が高いほど年寄り人口が多いという意味だ.
クルツゲザックトは労動力を供給する生産年齢人口(15‾64歳)が減って高令化になれば社会が手におえる医療費と貧困が爆発的に増加するという点, 革新が難しくなるという点等も指摘した.
これと共に "高令化社会では選出政府が年寄り人口の利益を代表する. これは短期的に思考する社会, 革新よりは既存の物を維持するのを好む社会につながる"と言及した後 "気候変化などの未来問題を解決しようとすれば莫大な投資と新鮮なアイディアが必要なのにそれが難しくなる"と見通した.
クルツゲザックトはこれら問題に対する解法で △ソングピョングドング △保育費サポートなど親に対する財政的恩恵 △安定的な家賃などを提示した.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