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빅터 차 “미사일 요격이나 발사대 타격 정책 선언할 필요성”
롬니 “韓 자체 핵능력 결여 우려…내가 거기 산다면 불안할 것”
북한의 핵·미사일 능력 고도화에 대응한 억제력 강화를 위해 한국에 핵무기를 재배치해야 한다는 주장이 미국에서 나와 주목된다.
미국 상원 외교위원회 동아태소위가 4일(현지시간) 의회에서 진행한 ‘한반도 안보’를 주제로 청문회에서 빅터 차 미국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아시아담당 부소장 겸 한국석좌는 “향후 북한 미사일 발사를 무력화하기 위해 선제적 조치를 포함한 새 선언적 정책을 검토해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크리스 밴 홀런 소위원장이 주재한 이날 청문회에는 빅터 차 석좌를 비롯해 스콧 스나이더 미국외교협회(CFR) 한국 담당 선임연구원, 제니 타운 스팀슨센터 선임연구원이 참석했다.
차 석좌는 북한의 미사일 발사에 대한 선제 조치의 의미를 묻는 밋 롬니 상원의원(공화·유타)의 질문에 “지난해 이후 북한은 100회 이상의 탄도 미사일을 발사했는데 발사 횟수나 속도 모두 이전에 보지 못했던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의 미사일 실험을 막기 위한 아이디어 중 하나는 우리가 일본이나 하와이, 미국 서부로 향하는 미사일을 격추할 권리를 보유하고 있다는 정책을 선언하는 것”이라며 “이는 (미사일) 코스 중간에 격추하는 것일 수도 있고, (공격 대상이) 발사대일 수도 있다”고 피력했다.
이어 “북한이 지금은 이동식 미사일을 발사하고 있기 때문에 선제적으로 타격하기는 더 어렵다”면서도 “저 역시 그것이 위험하다는 것을 알지만, 우리는 아마 (이것을 고려해야 할) 그런 시점에 있다고 본다”고 제언했다.
차 석좌는 또 지난 4월 한미정상회담에서 합의한 ‘워싱턴선언’에 따른 한미 핵협의그룹(NCG)과 관련해 “당분간은 미국 확장억제에 대한 신뢰성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면서도 장기적으로는 북한의 핵 능력 증강과 중국의 핵무기 능력 제고에 따라 한일 양국에서 핵우산에 대한 우려가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미국의 확장억제 효과를 높이는 방법과 관련, “한국에 핵(무기)을 재배치하자는 것이 아니다”라면서도 “(핵무기 재배치를 위한) 인프라 전제조건이 무엇이 될 수 있는지에 대해 실무적인 수준에서 고려하고 예비 대화를 한다면, 북한뿐만 아니라 동맹국에 중요한 억제력 메시지를 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 석좌는 또 러시아가 북한에 핵잠수함 기술을 공급할 경우에 대한 대응책으로 호주 핵잠수함의 정비를 한국 항구에서 하는 방안도 거론했다. 그는 “호주 핵잠수함이 서비스를 받기 위해서는 미국 코네티컷까지 가야 한다”며 “한국에는 핵 인증을 받을 수 있는 세계 최고의 항구가 있으며 호주는 이곳에서서 정비할 수 있다”고 밝혔다. 차 석좌는 또 북러간 무기거래와 관련, 러시아가 민간 핵에너지 협력을 위장해 북한 원자로에 사용될 수 있는 핵 연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시했다.
스나이더 연구원은 “미국은 한반도에서의 핵 사용에 대비해 핵무기 대응 및 봉쇄에 관한 훈련을 한국 부대에 제공해야 한다”며 “이를 통해 한국군은 핵 사용시 한반도 밖 미국의 전문 부대를 기다리기보다 핵 사용 시나리오에 실시간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청문회 참석자들은 북한 핵 문제에 대한 외교적 해법에 대해서는 의견이 엇갈렸다.
차 석좌는 “문제는 미국이나 동맹국 관점에서 가장 합리적인 협상이 북한이 원하는 협상이 아니라는 점”이라며 “협상의 방식이나 북한에 제안하는 것이 중요하지 않다”고 말했다.
타운 선임연구원은 “현재 우리가 직면한 (북한) 비핵화의 본질은 비확산이 아니라 군축이라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며 “(체제가) 불안한 국가의 무장해제 방법을 찾기 위해서는 매우 다른 접근법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협상 과정에서 조기에 성과를 만들어주고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것은 모멘텀을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면서 “비핵화뿐 아니라 관계 재건 자체에 대해서도 열린 자세로 대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롬니 의원은 “재래식은 물론 핵무기에 막대한 투자를 하는 북한을 이웃으로 둔 한국이 자체 핵 능력이 없다는 사실에 대해 저는 우려하고 있다”며 “만약 제가 거기 산다면 (전략적) 균형이 결여된 것에 대해 불안할 것”이라고 밝혔다.
連合ニュース
ビクター車 "ミサイル要撃や発射台打撃政策宣言する必要性"
ロムニ "韓 自体核能力欠如憂慮…私がそこ住んだら心細いこと"
北朝鮮の核・ミサイル能力高度化に対応した抑制力強化のために韓国に核兵器を再配置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主張がアメリカから出て注目される.
アメリカ上院外交委員会東ア太小委が 4日(現地時間) 議会で進行した ‘韓半島安保’を主題で聴聞会でビクター車アメリカ戦略国際問題研究所(CSIS) アジア担当副所長かたがたハングックソックズァは "今後の北朝鮮ミサイル打ち上げを無力化するために先制的措置を含んだ新しい選言的政策を検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このように言った. クリスバンホルラン小委員長が駐在したこの日聴聞会にはビクター車ソックズァを含めてスコットスナイドアメリカ外交協会(CFR) 韓国担当先任研究員, 制だからタウンスティムスンセント先任研究員が参加した.
車ソックズァは北朝鮮のミサイル打ち上げに対する先制措置の意味を問うミッロムニ上院議員(共和・ユタ)の質問に "去年以後北朝鮮は 100回以上の弾道ミサイルを発射したが打ち上げ回数や速度皆以前に見られなかったこと"と言った.
彼は "北朝鮮のミサイル実験を阻むためのアイディアの中で一つは私たちが日本やハワイ, アメリカ西部に向けるミサイルを撃墜する権利を保有しているという政策を宣言すること"と言いながら "おこる (ミサイル) コース中間に撃墜することかも知れなくて, (攻撃対象が) 発射台であるかも知れない"と打ち明けた.
であって "北朝鮮が今は移動式ミサイルを発射しているから先制的に打撃を受けることはもっと難しい"と言いながらも "私もそれが危ないということが分かるが, 私たちは多分 (これを考慮しなければ割) そんな時点にあると思う"と提言した.
車ソックズァはまた去る 4月韓米正常会談で合議した ‘ワシントン宣言’による韓米核協議グループ(NCG)と係わって "当分はアメリカ拡張抑制に対する信頼性問題が解決されることができる"と言いながらも長期的には北朝鮮の核能力増強と中国の核兵器能力向上によって韓日両国で核雨傘に対する憂慮があり得ると指摘した.
彼はアメリカの拡張抑制效果を高める方法と関連, "韓国に核(武器)を再配置しようというのではない"と言いながらも "(核兵器再配置のための) インフラ前提條件が何になることができるかに対して実務的な水準で考慮して予備話し合ったら, 北朝鮮だけではなく同盟国に重要な抑制力メッセージを伝達することができること"と言った.
車ソックズァはまたロシアが北朝鮮に核潜水艦技術を供給する場合に対する対応策でオーストラリア核潜水艦の整備を韓国港でする方案も取り上げた. 彼は "オーストラリア核潜りすることがサービスを受けるためにはアメリカコネティカットまで行かなければならない"と "韓国には核認証を受けることができる世界最高の港がありオーストラリアはイゴッエソで整備することができる"と明らかにした. 車ソックズァはまた北朝鮮,ロ間武器取り引きと関連, ロシアが民間核エネルギー協力を偽装して北朝鮮原子炉に使われることができる核燃料を提供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意見も提示した.
スナイド研究員は "アメリカは韓半島での核使用に備えて核兵器対応及び封鎖に関する訓練を韓国部隊に提供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 "これを通じて韓国軍は核使用の時韓半島外アメリカの専門部隊を待つより核使用シナリオにリアルタイムで対応することができる能力を取り揃えるようになること"と明らかにした.
ただ, 聴聞会参席者たちは北朝鮮核問題に対する外交的解法に対しては意見が行き違った.
車ソックズァは "問題はアメリカや同盟国観点で一番合理的な交渉が北朝鮮の願う交渉ではないという点"と言いながら "交渉の方式や北朝鮮に提案するのが重要ではない"と言った.
タウン先任研究員は "現在私たちが直面した (北朝鮮) 非核化の本質は非拡散ではなく軍縮というのを理解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 "(体制が) 心細い国家の武将解除方法を捜すためには非常に他の接近法が必要だ"と助言した. それとともに "交渉過程で早期に成果を作ってくれてインセンティブを提供することはモメンタムを作るのに役に立つこと"と言いながら "非核化だけではなく関係再建自体に対しても開かれた姿勢に話し合わなければならない"と明らかにした.
ロムニ議員は "在来式はもちろん核兵器に莫大な投資をする北朝鮮を隣りで置いた韓国が自体核能力がないという事実に対して私は憂慮している"と "もし私がそこ住んだら (戦略的) 均衡が欠けたことに対して心細いこと"と明らかに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