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학에서는 작물의 발상지를 야생종의 분포 유무, 변이종의 다양성을 통해 추정한다. 콩의 경우, 한반도 곳곳에서 가장 많은 콩의 변이종이 발견되어 한반도, 구체적으로 이야기하자면 옛 고구려 땅이었던 만주가 콩의 원산지임이 증명된 바 있다.
학계에 의하면 콩의 재배는 5000여 년 전에 시작되었는데, 한반도 곳곳에서 탄화콩 유적과 유물이 발견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중국 고대 서적인 <관자 管子>에는 제나라 환공이 만주 지방에서 콩을 가져와 중국에 보급했다는 기록이 있다. 그리고 함경북도 회령 오동 유적지에서 기원전 1300년 경의 청동기 유물과 함께 콩, 팥, 기장 등이 출토되기도 했다. 또한 1920년대 미국은 한반도에서 전 세계 야생 콩 종자의 절반이 넘는 3379여 종의 야생 콩을 채취하기도 했다.
——————————————————
도토리 채집이나 하던 섬 나라 일본인은 원래 콩을 먹는 습관 이 없었다.
대두의 원산지는 한반도.
植物学では作物のメッカを野生種の分布有無, 変異種の多様性を通じて推正する. 豆の場合, 韓半島あちこちで一番多い豆の変異種が発見されて韓半島, 具体的に話そうとすると昔の高句麗地だった満洲が豆の原産地なのが証明された事がある.
学界によれば豆の栽培は 5000余年前に始まったが, 韓半島あちこちで炭化豆遺跡と遺物が発見されている. 代表的に中国古代書籍な <貫子管子>には自分の国ファンゴングが満洲地方で豆を持って来て中国に普及したという記録がある. そして咸境道会寧オ銅遺跡地でB.C. 1300年敬意青銅器遺物とともに豆, 小豆, きびなどが出土されたりした. また 1920年代アメリカは韓半島で全世界野生豆種子の半分が過ぎる 3379余種の野生豆を採取したりした.
------------------------------------
どんぐり採集でもと言った島国日本人は元々豆を食べる習慣このなかった.
台頭の原産地は韓半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