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렬(行列)
정의
친족집단 내에서 계보상의 종적인 세대관계.
내용
즉, 종적인 세대에서 형제관계에 있을 때에 같은 항렬이라는 의미에서 동항(同行)이라 하고, 위로 아버지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숙항(叔行), 조부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조항(祖行)이라 하며, 또 아래로 아들과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질항(姪行), 손자와 같은 세대에 있을 때에 손항(孫行)이라고 한다.
전통적인 친족제도에서는 계보상의 거리에 따라 일정한 친족관계가 결정되었으며, 친족집단의 질서와 통합은 그러한 친족관계를 바탕으로 유지되었다. 그러므로 친족집단의 질서와 통합을 위해서는 계보상의 거리에 따르는 친족관계를 명확하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였다. 그런데 계보상의 거리는 공동의 조선(祖先)에 대한 세대관계를 통해서 결정되므로, 공동의 조선에 대한 세대관계가 친족관계를 규정하는 일차적 기준이 된다.
그러므로 전통적 친족제도에서는 항렬을 특히 강조하고, 각 세대마다 일정한 순서에 따라서 이름 글자 가운데 한 자를 공통으로 사용함으로써 상호간의 세대관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한 친족집단이 공통으로 사용하는 이름 자를 항렬자(行列字)라고 한다.
항렬자로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글자는 오행을 나타내는 금(金)·수(水)·목(木)·화(火)·토(土), 십간(十干)을 나타내는 갑(甲)·을(乙)·병(丙)·정(丁)·무(戊)·기(己)·경(庚)·신(辛)·임(壬)·계(癸), 수(數)를 나타내는 일(一)·이(二)·삼(三)·사(四)·오(五)·육(六)·칠(七)·팔(八)·구(九) 등을 글자의 일부에 포함한 자, 또는 오상(五常)을 나타내는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 같은 자이며, 때로는 위의 오행·십간·오상 등을 상징적으로 의미하는 글자도 사용된다.
그러나 그 어느 경우에도 항렬자는 반드시 위의 오행·십간·수·오상 등의 순서에 따라서 각 세대마다 차례로 사용되며, 그 순서가 다 되면 다시 되풀이한다. 그러나 조상의 이름으로 사용된 글자는 되풀이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이름을 한자로 하는 친족집단에서는 위의 원리에 따라서 이름 자의 일부만을 같이 사용함으로써 항렬자를 대신하고, 또 이름자를 두 글자로 하는 친족집단에서는 한 세대씩 항렬자의 위치를 아래와 위로 바꾸어가면서 교대로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리고 한 친족집단이 항렬자를 통일하여 그 세대관계를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앞으로 사용할 항렬자를 족보의 첫머리에 미리 밝혀두는 경우가 많다. 그것은 족보 자체가 친족관계를 확인하는 수단이기 때문이다.
身内の序列(行列)
正義
親族集団内で系譜上の足跡な世代関係.
内容
すなわち, 足跡な世代で兄弟関係にある時に同じ身内の序列という意味で凍港(同行)といって, 慰労お父さんのような世代にある時に叔行(叔行), 祖父のような世代にある時に条項(祖行)といって, また下で息子のような世代にある時に姪行(姪行), 孫のような世代にある時に孫行(孫行)と言う.
伝統的な親族制度では系譜上の町によって決まった継き柄が決まったし, 親族集団の秩序と統合はそういう継き柄を土台で維持された. だから親族集団の秩序と統合のためには系譜上の町による継き柄を明確にさせることがなによりも重要だった. そうなのに系譜上の町は共同の朝鮮(祖先)に対する世代関係を通じて決まるので, 共同の朝鮮に対する世代関係が継き柄を規定する一次的基準になる.
だから伝統的親族制度では身内の序列を特に強調して, 各世代ごとに決まった手順にしたがって名前字の中一者を共通で使うことで相互間の世代関係を易しく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した. このように一親族集団が共通で使う名前首をする行列字(行列字)と言う.
行列字として一番広く使われている字は五行を現わす金(金)・数(水)・首(木)・火(火)・土(土), 十干(十干)を現わす崎(甲)・を(乙)・病気(丙)・情(
しかしどんな場合にも行列字は必ず上の五行・十干・数・五相などの手順によって各世代ごとに順に使われて, その手順がなればまた繰り返す. しかし先祖の名前で使われた字は繰り返さないことが原則だ. 名前を漢字にする親族集団では上の原理にしたがって名前自分の考え一部のみを一緒に使うことで行列字の代わりをして, また名前者を二つの字にする親族集団では一世代ずつ行列字の位置を下と上に変えながら相互に使うのが一般的だ.
描いてした親族集団が行列字を統一してその世代関係を易しく確認するようにするためにこれから使う行列字を系図の書き起こしにあらかじめ明らかにしておく場合が多い. それは系図自体が継き柄を確認する手段だから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