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학력조사서 정답률 12.4%
출제 난이도 조절 실패한 듯
”말하기 수업 제대로 안 이뤄져”
![](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3/08/01/0000752878_001_20230801161604466.jpg?type=w647)
일본에서 학생들의 영어 말하기 실력이 크게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게티이미지뱅크
일본 초·중학생의 영어 말하기 실력이 매우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문부과학성이 지난 4월 전국 초등학교 6학년생과 중학교 3학년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영어 말하기 시험에서 약 60%가 0점을 맞았다. 문제가 너무 어렵기도 했지만, 수업 시간에 ‘실제로 사용할 수 있는 영어’를 가르치지 못하기 때문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1일 일본 요미우리와 아사히신문 등에 따르면, 이 시험은 전국 초·중학생의 학력 수준을 조사하기 위해 2007년부터 매년 4월 실시하는데 올해는 2만8,523개 학교에서 약 190만 명의 학생이 참가했다. 일본어, 수학(산수)은 매년, 과학 시험은 3년마다 한 번씩 실시한다. 영어 시험은 중학교 3학년생 대상으로 2019년 처음으로 정식 실시돼 올해 2회째 치러졌다.
이번 시험 정답률은 초등학교 6학년 일본어는 67.4%, 산수는 62.7%였고, 중학교 3학년 국어는 70.1%, 수학은 51.4%였다. 모두 정답률이 50%를 넘었으나 영어만은 그러지 못했다. 듣기, 읽기, 쓰기, 말하기의 네 영역 중 말하기의 평균 정답률은 12.4%에 그쳤다. 2019년의 30.8%에서 크게 낮아진 것이다. 응시자의 63.1%가 말하기 5개 문항을 모두 틀렸다. 말하기를 제외한 문항의 평균 정답률도 46.1%였다.
이는 문제가 지나치게 어려운 탓도 있었다. 특히 환경을 위해 비닐봉지 판매를 중단해야 한다는 주장이 담긴 영상을 보고 1분간 생각을 정리한 뒤 30초 동안 영어로 말하라는 문제 등이 출제됐다. “일본어로도 1분 안에 생각해 말하기는 어려운 주제였다”는 비판이 나왔다.
근본 원인은 학교 수업 내용이 영어 소통 능력을 기르는 것과 동떨어져 있는 것이라고 일본 언론은 지적했다. 이번 시험에서 영어 말하기 평균 정답률이 53%로 지방자치단체 중 전국 1위를 차지한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는 2016년부터 독자적인 영어 교육 강화 정책을 도입해 원어민 교사와 대화하는 수업을 크게 늘렸다. 이런 지역은 일부다. 말하기 수업을 하는 데 부담을 느끼고 교과서 내용을 일방적으로 설명하는 교사가 여전히 많다.
오쓰 유키오 게이오대 명예교수(언어학)는 “말하기 정답률이 낮은 것은 문제 설계가 미숙했고 학교에서 말하기 교육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기 때문”이라며 “교사 연수 등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일본인이 말하는 것은 영어가 아니지만 새삼스럽게..
全国学歴調査で正解率 12.4%
出題難易度調節失敗したように
"言うこと授業まともに成り立たなく"
![](https://imgnews.pstatic.net/image/469/2023/08/01/0000752878_001_20230801161604466.jpg?type=w647)
日本で学生たちの英語言うこと実力が大きく不振なことで現われた. ゲティイミジベンク
日本超・中学生の英語言うこと実力が非常に低調なことで現われた. 日本文部科学省が去る 4月全国小学校 6年生と中学校 3年生を対象で実施した英語言うこと試験で約 60%が 0点を打たれた. 問題がとても難しかったりしたが, 授業時間に ‘実際に使うことができる英語’を教えることができないからだという指摘も出た.
1日日本読売と朝日新聞などによれば, この試験は全国超・中学生の学歴水準を調査するために 2007年から毎年 4月実施するのに今年は 2万8,523個学校で約 190万名の学生が参加した. 日本語, 数学(算数)は毎年, 科学試験は 3年ごとに一番(回)ずつ実施する. 英語試験は中学校 3年生対象で 2019年初めて正式実施されて今年 2回目行われた.
今度試験正解率は小学校 6年生日本語は 67.4%, 算数は 62.7%だったし, 中学校 3年生国語は 70.1%, 数学は 51.4%だった. 皆正解率が 50%を越えたが英語だけはそうでなかった. 聞き取り, 読み取り, 書き取り, 言うことの君の領域の中で言うことの平均正解率は 12.4%にとどまった. 2019年の 30.8%で大きく低くなったのだ. 受験者の 63.1%が言うこと 5個質問項目を皆違った. 言うのを除いた質問項目の平均正解率も 46.1%だった.
これは問題が黙過するように難しいせいもあった. 特に環境のためにビニール袋販売を中断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いう主張が盛られた映像を見て 1分間考えを整理した後 30秒間英語で言いなさいという問題などが出題された. “日本語でも 1分の内に思って言うことは難しい主題だった”と言う批判が出た.
根本原因は学校授業内容が英語疎通能力を培うこととへだたっていることだと日本言論は指摘した. 今度試験で英語言うこと平均正解率が 53%で地方自治体の中で全国 1位を占めた埼玉県埼玉の時は 2016年から独自の英語教育強化政策を取り入れてネーティブスピーカー教師と話し合う授業を大きくふやした. こんな地域は一部だ. 言うこと授業をすることに負担を感じて教科書内容を一方的に説明する教師が相変らず多い.
オスユキオ慶応大名誉教授(言語学)は “言うこと正解率が低いことは問題設計が青臭かったし学校で話教育がまともに成り立たなかったから”と言いながら “教師研修などを強化する必要がある”と言った.
--------
日本人の言うことは英語ではないが事新し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