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gnews.pstatic.net/image/001/2023/07/28/AKR20230728146700017_02_i_P4_20230728182810320.jpg?type=w647)
한국 연구진이 개발했다고 주장하는 상온 초전도체
한국인 연구자들이 쓴 상온 초전도체 논문이 공개되면서 물리학계가 시끄럽다. 그동안 오랜 난제로 여겨졌던 상온 초전도 현상을 세계 최초로 구현했다고 주장하고 있는데, 논문에서 근거로 하는 이론이 주류 학계의 이론에 들어맞지 않아서 논란이 되고 있다.
지난 22일 사전논문 출판사이트 ‘아카이브’에 한국 연구자들이 상온 초전도체에 대해 쓴 두 개의 논문이 공개됐다. 연구자들은 논문에서 “세계 최초로 상온 초전도체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저자는 이석배 퀀텀에너지연구소 대표와 이 회사 연구자들이며 논문 저자 중에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 근무했던 김현탁 박사도 포함돼 있다. 다만 아카이브에 올라온 논문은 동료 평가가 되지 않았고, 특정 학술지에 발표된 것도 아니다. 아카이브는 누구나 쉽게 게재할 수 있는 구조이다.
상온 초전도 현상은 과학계의 오래된 난제이자 꿈이다. 초전도 현상은 금속이나 화합물의 전기저항이 어느 온도 이하에서 급격히 0이 되는 현상을 말한다. 전기저항이 없기 때문에 전력 손실이 발생하지 않아 향후 초고속 컴퓨터나 무손실 송전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만 현재 기술로는 영하 200도 이하의 극저온이나 초고압에서만 초전도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국 연구자들이 공개한 논문은 이 초전도 현상을 상온과 상압에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들이 개발한 상온 초전도 물질은 납과 인회석 결정 구조인 ‘LK-99′다. 공개된 논문에 따르면 초전도 현상이 일어나는 임계 온도는 섭씨 126.85도(400K)로, 상온·상압에서 초전도 현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 물리학자는 “실험 데이터가 조작된 것이 아니라면 획기적인 성과이긴 하다”라고 말했다.
![](https://imgnews.pstatic.net/image/001/2023/07/28/AKR20230728146700017_02_i_P4_20230728182810320.jpg?type=w647)
韓国研究陣が開発したと主張する常温初戦導体
韓国人研究者たちが使った常温初戦導体論文が公開されながら物理学界がうるさい. その間長年の難題で思われた常温超伝導現象を世界最初に具現したと主張しているのに, 論文で根拠にする理論が主類学界の理論にぴったり合わなくて論難になっている.
去る 22日辞書論文出版サイト ‘アーカイブ’に韓国研究者たちが常温初戦導体に対して使った二つの論文が公開された. 研究者たちは論文から “世界最初で常温初戦導体を作るのに成功した”と明らかにした. 著者は次席盃クォンタムエネルギー研究所代表とこの会社研究者たちで論文著者の中には韓国電子通信研救援(ETRI)に勤めたギムヒョンタック博士も含まれている. ただアーカイブに上って来た論文は仲間評価にならなかったし, 特定学術誌に発表されたのでもない. アーカイブは誰も易しく載せることができる構造だ.
常温超伝導現象は科学界の古い難題と同時に夢だ. 超伝導現象は金属や化合物の電気抵抗がどの温度以下で急激に 0になる現象を言う. 電気抵抗がないから電力損失が発生しなくて今後の超高速コンピューターや無損失送電などに活用されることで期待される. ただ現在技術では零下 200℃以下の極低温や超高圧でばかり超伝導現象を具現することができる.
韓国研究者たちの公開した論文はこの超伝導現象を常温と常圧で具現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のだ. これらが開発した常温超伝導物質は鉛と燐灰石決定構造である ‘LK-99´だ. 公開された論文によれば超伝導現象が起きるスレッシュホールド温度はソブシ 126.85度(400K)で, 常温・常圧で超伝導現象を具現することができる. 一物理学者は “実験データが操作されたのではないなら画期的な成果ではある”と言っ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