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북아역사재단-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한국 복식 문화사” 학술회의
고려 복식은 궁중서도 인기…”문화 전파 아니라 상호 교류 측면 봐야”
경복궁 아시아모델페스티벌 한복 퍼레이드/사진=연합뉴스
고려와 조선 시대에 입던 옷이 과거 중국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유행을 주도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일부 중국 누리꾼을 중심으로 한복이나 갓 등 한국의 전통문화가 중국에서 비롯됐다는 주장이 잇따르는 가운데 나온 내용이라 더욱 주목됩니다.
구도영 동북아역사재단 연구위원은 오늘(21일) “명나라의 조선 드레스 열풍과 조선 전기 여성 한복”을 연구한 글에서 “15세기 조선의 옷이 명나라의 부유층 패션을 휩쓸었다”고 분석했습니다.
구 연구위원은 오늘 오후 재단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 공동 주최하는 “한국 복식 문화사: 한국의 옷과 멋” 학술회의에 앞서 공개한 발표문에서 마미군(馬尾裙) 사례를 언급하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한국, 중국, 일본의 옛 치마 비교/사진=동북아역사재단
마미군은 말총으로 만든 여성의 속옷, 즉 페티코트(petticoat)를 일컫습니다.
치마 안에 받쳐 있는 속치마로, 바깥에 입는 치마를 풍성하게 부풀려주는 역할을 했습니다.
구 연구위원은 명나라 시기에 나온 저술인 “숙원잡기”(菽園雜記) 등을 토대로 “조선의 마미군은 해상 교역을 통해 명나라 최고의 패션도시인 쑤저우(蘇州)에 전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이후 상하이(上海) 등 “강남” 지역사회에 마미군 열풍이 일면서 강남 여성은 물론, 고위급 남성 관료들까지 입어 명나라 정부에서 우려를 나타낼 정도였다”고 짚었습니다.
그는 말총이 주로 제주에서 나는 점을 들어 “그동안 한·중 관계의 외변에 위치한 제주도와 중국 강남 지역의 문화교류 사례라는 점에서 매우 주목된다”고 분석했습니다.
중국 국가박물관이 소장한 15세기 작품 “명헌종원소행락도”/사진=동북아역사재단
구 연구위원은 명나라에서 유행한 마미군이 문화교류의 역사를 상징한다고 봤습니다.
그는 “최근 중국 온라인과 학계 동향을 보면 중국이 주변국에 문화를 전파하기만 한 것처럼 설명하는 경우가 많지만, 마미군 사례를 보면 문화 상호 교류의 측면을 재확인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학술대회에서는 마미군에 앞서 14세기 중국에서 유행한 복식 문화와 생활 양상인 “고려양(高麗樣)”도 다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김윤정 서울역사편찬원 전임연구원은 고려시대 복식과 고려양을 연구·분석한 글에서 “14세기 원 제국에서 유행한 “고려양”은 전근대 한중 관계에서 전례 없는 문화적 현상이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원나라 말기 관인이 쓴 시 “궁중사”(宮中詞)에는 “궁중에 의복이 고려 양식을 새롭게 숭상하니, 방령(方領)에 허리까지 오는 반비(半臂)라네”라는 구절이 나옵니다.
원나라 “방령”과 대전에서 출토된 “방령”/사진=동북아역사재단
이에 대해 김 연구원은 “원 궁정에서 유행했다고 하는 “방령에 허리까지 오는 반비”는 모난 맞깃이 달리고 허리까지 오는 짧은 소매의 덧옷을 뜻하며, 고려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김 연구원은 복식 문화는 시대 변화에 따라 변화하는 산물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고려 복식문화의 흐름은 새로운 문화를 추구하면서도 그 속에 함몰되지 않는 자신들의 문화를 관철해 나갔으며, 시대의 변화에 조응해 끊임없이 재구성해 가는 과정이었다”고 언급했습니다.
이날 열리는 학술대회에서는 깃을 둥글게 만든 관복인 조선시대 단령(團領), 조선 후기 여성의 패션, 조선의 갓과 모자 등을 다룬 주제 발표도 이어집니다.
재단은 “한국 복식의 특징과 역사성을 확인하고 동아시아 문화 교류에 대한 이해를 제고해 한·중 시민사회의 갈등을 해소하기 위한 단서를 마련하길 바란다”고 밝혔습니다.
北東アジア歴史財団-工芸デザイン文化振興院, "韓国複式文化史" 学術会議
高麗複式は宮廷にも人気…"文化伝播ではなく相互交流側面見ると"
景福宮アジアモデルフェスティバル韓服バレード/写真=連合ニュース
高麗と朝鮮時代に着た服が過去中国でも大きい人気を呼んで流行を主導したという研究結果が出ました.
一部中国ヌリクンを中心に韓服や只今など韓国の伝統文化が中国から始まったという主張が続く中に出た内容だからもっと注目されます.
旧道営北東アジア歴史財団研究委員は今日(21日) "明の朝鮮ドレス熱風と朝鮮前期女性韓服"を研究した文で "15世紀朝鮮の服が明の富裕層ファッションを荒した"と分析しました.
で研究委員は今日の午後財団とハングックゴングイェデ−ザインムンファジンフングワンが共同主催する "韓国複式文化史: 韓国の服と趣" 学術会議に先立って公開した発表文でマミーだね(馬尾裙) 事例を言及してこのように明らかにしました.
韓国, 中国, 日本の昔のスカート比較/写真=北東アジア歴史財団
マミー君はマルチォングで作った女性の下着, すなわちペチコート(petticoat)を称えます.
スカート中に差している湯巻で, 外にはくスカートをふんだんに脹らましてくれる役目をしました.
で研究委員は明時期に出た著述である "宿願雑記"(菽園雑記) などを土台で "朝鮮のマミー君は海上交易を通じて明最高のファッション都市である蘇州(蘇州)に伝わった"と説明しました.
であって "以後上海(上海) など "江南" 地域社会にマミーだね熱風がおこりながら江南女性は勿論, 高位級男性官僚たちまで着て明政府で憂慮を現わすほどだった"とつきました.
彼はマルチォングが主に済州で出る点をあげて "その間韓・中関係の外辺に位した済州島と中国江南地域の文化交流事例という点で非常に注目される"と分析しました.
中国国家博物館が所蔵した 15世紀作品 "ミョングホンゾングワンソヘングラックも"/写真=北東アジア歴史財団
で研究委員は明で流行ったマミー君が文化交流の歴史を象徴すると思いました.
彼は "最近中国オンラインと学界動向を見れば中国が周辺国に文化を伝えてばかりしたことのように説明する場合が多いが, マミーだね事例を見れば文化相互交流の側面を再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と明らかにしました.
学術大会ではマミー君に先立って 14世紀中国で流行った複式文化と生活様相である "高麗様(高麗様)"も扱うことと知られました.
キム・ユンジョンソウル駅社編纂院専任研究員は高麗時代複式と高麗様を研究・分析した文で "14世紀院帝国で流行った "高麗様"は前近代韓中関係で前にも後にもない文化的現象だった"と説明しました.
元国ではない官印が使った時 "宮廷社"(宮中詞)には "宮廷に衣服が高麗様式を新しく崇尚したら, 芳令(方領)に腰まで来る反比(半臂)だね"という句節が出ます.
元国 "芳令"と大田で出土された "芳令"/写真=北東アジア歴史財団
これに対して金研究員は "院宮廷で流行ったと言う "芳令に腰まで来る反比"は角いマッギッが走って腰まで来る短い袖の上っぱりを意味して, 高麗で由来したこと"と明らかにしました.
金研究員は複式文化は時代変化に従って変化する産物だと説明しました.
彼は "高麗服飾文化の流れは新しい文化を追い求めながらもその中に陷沒されない自分たちの文化を貫徹して行ったし, 時代の変化に照応して絶えず再構成して行く過程だった"と言及しました.
この日開かれる学術大会ではカラーを丸くした官服である朝鮮時代団領(団領), 朝鮮後期女性のファッション, 朝鮮の冠と帽子などを扱った主題発表もつながります.
財団は "韓国複式の特徴と歴史性を確認して東アジア文化交流に対する理解を向上して韓・中市民社会の葛藤を解消するための手がかりを用意してほしい"と明らかにしま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