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산 등으로 병역 자원 부족 심각
여성 징집·복무기간 연장 검토 필요

저출산 등으로 인한 병역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 징집 제도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나왔다. 사진은 UAE 파병 아크부대 여군 장병들. [사진 연합뉴스][이코노미스트 이지완 기자] 저출산 등이 심각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는 가운데, 병역 자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여성 징집 제도의 검토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국민의 힘 신원식 의원(국방위원회 여당 간사)과 병무청, 성우회는 11일 국회의원 회관에서 ‘인구절벽 시대의 병역제도 발전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전문가들은 병역 자원 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여성 징집 제도 ▲복무기간 확대 ▲대체 복무제 폐지 ▲예비군 제도 개편 등을 제시했다.
이한호 성우회 회장은 “여성도 징집이 될 수 있도록 병역법을 개정하는 것을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발표자로 나선 최병욱 상명대 박사도 “여성 인력의 부사관, 장교 모집인원을 더 확대하는 것은 물론이고, 여성 징집 제도도 적극 검토할 것을 제안한다”고 말했다.
이외에도 복무기간을 기존 18개월에서 21개월 또는 24개월로 유연하게 늘리는 방안과 산업기능요원·예술 및 체육요원 등을 점진적으로 폐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도 나왔다. 또 예비전력의 현실화를 위해 파트타임 또는 직업 예비군으로 제도를 개편하는 것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한편, 저출산은 전 세계적인 사회 문제이며, 한국 역시 예외가 아니다. 지난해 합계 출산율은 0.78명으로 전 세계에서 가장 낮았다. 내년에는 이 수치가 0.7명으로 줄어들 것이라는 전망도 나온다. 같은 기간 출생아 수는 24만9000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기록했다.
低出産などで兵役資源不足深刻
女性徴集・服務期間延長検討必要

低出産などによる兵役資源不足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女性徴集制度が必要だという意見が出た. 写真はUAE派兵アーク部隊余だね将兵たち. [写真連合ニュース][イコノミスト理知とは記者] 低出産などが深刻な社会問題に浮び上がる中に, 兵役資源不足問題を解決するために女性徴集制度の検討が必要だという主張が出た.
国民の力身元式議員(国防委元会与党幹事)と兵務庁, 星宇回は 11日国会議員会館で ‘人口絶壁時代の兵役制も発展フォーラム’を開催した.
この日フォーラムでは専門家たちは兵役資源不足問題解決のための方案に ▲女性徴集制度 ▲服務期間拡大 ▲一体服務制廃止 ▲予備軍制度改編などを提示した.
離韓号星宇回会長は “女性も徴集にな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兵役法を改正することを検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した. この日発表者に出たツェビョングウック上命台博士も “女性人力の副詞官, 将校募集人員をもっと拡大することは勿論で, 女性徴集制度も積極検討することを提案する”と言った.
以外にも服務期間を既存 18ヶ月から 21ヶ月または 24ヶ月で柔軟にふやす方案と産業機能要員・芸術及び体育要員などを漸進的に廃止する必要があるという主張も出た. また予備全力の現実化のためにパートタイムまたは職業予備軍で制度を改編するのが必要だという意見が申し立てられた.
一方, 低出産は全世界的な社会問題であり, 韓国も例外ではない. 去年合計出産率は 0.78人に全世界で一番低かった. 来年にはこの数値が 0.7人で減るはずだという見込みも出る. 同期間生まれよ数は 24万9000人で歴代最低値を記録し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