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 한국의 고교생이 배우고 있는 한국사의 교과서를 읽어 보면, 많은 사람이 놀라 버린다.일찌기 열심히 공부하고 있던 삼국시대나 조선 왕조 시대의 내용은 거의 기재되지 않고, 일본의 식민지 시대부터의 독립 운동사나 1980년대의 민주화 운동 등 최근의 역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실제, 문 재인(문·제인) 정권 시대에 국가 검정을 패스해 2020년부터 학생들이 배우고 있는 현행의 고교 교과서는 크게 나누어 네 개의 테마로 구성되어 있지만, 제일에 「전근대 한국사의 이해」로 선사시대로부터 19 세기 전반까지를 취급해, 나머지의 세 개의 테마로 「근대 국민 국가의 수립 운동」 「일본의 식민지 지배와 민족 운동의 전개」 「대한민국의 발전」이라고, 개항 이후의 근현대사를 취급하고 있다.큰 테마로 보면 네 개중 세 개의 테마(75%)가, 작은 것으로는 26중 20의 테마(77%)가 각각 근현대사가 된다.5000년의 한국사 가운데, 불과 150년 남짓의 역사에 교과서의 대부분을 할애하고 있는 것이다.
교과서의 근현대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논의가 된 것은 노무현(노·무홀) 정권의 시대다.이전의 교과서는 근현대사의 비율이 50%미만이었지만, 노무현 정권은 근현대사 교육을 강화해야 한다고 해, 「근현대사」의 과목을 최초부터 별도 선택 과목으로서 개설해, 교과서를 만들었다.이명박(이·몰바크), 박근혜(박·쿠헤) 정권 시대에 다시 50%정도로까지 줄였지만, 문 재인정권이 되어 다시 77%까지 비율이 올라갔다.
그렇지 않아도, 한국사는 대학 입시의 필수 과목이지만, 고교생이 근현대사만을 집중적으로 배우는 것은 지나치다고 지적하는 소리가 많다.이러한 교육과정 때문에, 일본의 식민지 시대와 민주화 운동에 대해서는 세세한 일까지 잘 알고 있는 한편으로, 고구려나 쿠타라, 신라의 수도가 어디인지도 모르는 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라고 학교 현장의 교사등은 지적한다.
무엇보다도 문제인 것은, 이와 같이 근현대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기 때문에, 학생들이 아직 역사적 평가가 끝나지 않은 내용을 마치 기정 사실인 것 같이 배워 버리고 있다고 하는 점이다.예를 들면, 현행의 교과서는 불과 67년전의 박근혜정권 시대의 캔들 데모와 대통령 탄핵을 취급할 뿐만 아니라, 직전의 문 재인정권 시대의 남북 관계에 대해서도 많은 비율을 할애해 설명하고 있다.김 타다시 은혜(김·젼운) 정권이 발족한 이후의 10연간에 북한 경제가 안정되었다고 하는 내용이나, 남북 관계도 개선되어 왔다고 하는 내용도 포함되어 있다.아직, 역사적 평가가 끝나지 않고, 진영간의 합의도 이루어지지 않은 최근의 정부에 대한 내용도 취급되고 있기 때문에, 교과서의 내용을 둘러싸 사회적 갈등이 일어나지 않을 수 없는 구조다.이러한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교육부(일본의 부처에 해당된다)는 「어느 정권까지를 교과서에 기재할까에 대해서는 검정 심사 기준에도 없고, 집필자의 판단에 맡고 있다」라고 하는 이야기만을 반복한다.하지만, 역사학계에서는, 교육부가 교육과정을 재검토해 근현대사의 비율을 줄이는 것과 동시에, 사회적 합의를 통해서 「최근 2030년까지의 내용은 교과서에 싣지 않는다」라는 지침을 정리해야 한다고 하는 주장도 있다.근현대사가 차지하는 비율을 이대로 해 둔다는 것은, 학생들의 한국사 교육에 책임을 지지 않으면 안 되는 교육부가 책임을 방폐하고 있는 것과 같은 것이다.
김·욘쥬 기자
조선일보/조선일보 일본어판
現在、韓国の高校生が学んでいる韓国史の教科書を読んでみると、多くの人が驚いてしまう。かつて熱心に勉強していた三国時代や朝鮮王朝時代の内容はほとんど記載されておらず、日本の植民地時代からの独立運動史や1980年代の民主化運動など最近の歴史が占める割合があまりにも多いためだ。
実際、文在寅(ムン・ジェイン)政権時代に国家検定をパスして2020年から生徒たちが学んでいる現行の高校教科書は大きく分けて四つのテーマで構成されているが、第一に「前近代韓国史の理解」で先史時代から19世紀前半までを扱い、残りの三つのテーマで「近代国民国家の樹立運動」「日本の植民地支配と民族運動の展開」「大韓民国の発展」と、開港以降の近現代史を取り扱っている。大きなテーマで見ると四つのうち三つのテーマ(75%)が、小さいものでは26のうち20のテーマ(77%)がそれぞれ近現代史となる。5000年の韓国史のうち、わずか150年余りの歴史に教科書の大半を割いているわけだ。
教科書の近現代史が占める割合が議論になったのは盧武鉉(ノ・ムヒョン)政権の時代だ。以前の教科書は近現代史の割合が50%未満だったが、盧武鉉政権は近現代史教育を強化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し、「近現代史」の科目を最初から別途選択科目として開設し、教科書を作った。李明博(イ・ミョンバク)、朴槿恵(パク・クンヘ)政権時代に再び50%程度にまで減らしたが、文在寅政権になって再び77%まで割合がアップした。
ただでさえ、韓国史は大学入試の必須科目だが、高校生が近現代史だけを集中的に学ぶのは行き過ぎだと指摘する声が多い。このような教育課程のため、日本の植民地時代と民主化運動については細かいことまでよく知っている一方で、高句麗や百済、新羅の首都がどこなのかも知らない生徒が増えている、と学校現場の教師らは指摘する。
何よりも問題なのは、このように近現代史の占める割合が高いため、生徒たちがまだ歴史的評価の終わっていない内容をあたかも既定事実であるかのように学んでしまっているという点だ。例えば、現行の教科書はわずか6-7年前の朴槿恵政権時代のキャンドルデモと大統領弾劾を扱うだけでなく、直前の文在寅政権時代の南北関係についても多くの割合を割いて説明している。金正恩(キム・ジョンウン)政権が発足して以降の10年間で北朝鮮経済が安定したという内容や、南北関係も改善されてきたとする内容も盛り込まれている。まだ、歴史的評価が終わっておらず、陣営間の合意もなされていない最近の政府についての内容も取り扱われているため、教科書の内容を巡って社会的葛藤が起こらざるを得ない構造だ。こうした問題を解決しなければならない教育部(日本の省庁に当たる)は「どの政権までを教科書に記載するかについては検定審査基準にもなく、執筆者の判断に任されている」という話だけを繰り返す。だが、歴史学界では、教育部が教育課程を見直して近現代史の割合を減らすとともに、社会的合意を通じて「ここ20-30年までの内容は教科書に載せない」といった指針をまとめるべきだという主張もある。近現代史の占める割合をこのままにしておくというのは、生徒たちの韓国史教育に責任を負わなければならない教育部が責任を放棄しているのと同じことだ。
キム・ヨンジュ記者
朝鮮日報/朝鮮日報日本語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