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너무 일본의 버블 붕괴에 대해 이해 되어 있지 않은 한국인이 너무 많아서, 이런 스레를 세웠습니다.
한국인은 결국 일본의 버블 붕괴의 원인을 아직도 이해 되어 있지 않다
https://www.kjclub.com/jp/board/exc_board_9/view/id/3588018
그 후, 과연 이 레벨은 우민 레벨 뿐이야, 당시 , 한국인의 연구자도 일본의 버블 붕괴의 연구하고 있 것 같아 , 지금은 없어라고 생각했습니다만
있었어요
한국 금융 연구원 「전세계가 일본과 같이 「없어진 10년」을 경험할 가능성」
10/17(월) 18:10전달
조선일보 일본어판
한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경제는 1990년대 전반의 일본과 같이 장기의 불황에 빠질 수도 있다고의 분석 결과가 나타났다.경기의 하강국면에서 물가상승을 억제하려고 기준 금리를 인상했을 경우, 이것이 자산가치의 버블 붕괴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전세계가 「없어진 10년」이 된 일본과 같은 길을 더듬는다고 하는 지적이다.
한국 금융 연구원이 16일에 공표한 보고서 「물가와 성장의 딜레마:반면 교사 일본의 교훈」에 의하면, 최근 한국을 포함한 세계경제는 1990년대 전반의 일본과 잘 닮은 상황이 되어 있다고 한다.
일본은 199091년의경기 하강국면에서 주택 가격상승에 대한 국민의 반발을 억제해 임금 상승 압력과엔하락에 수반하는 물가상승을 억제하기 위해(때문에)기준 금리를 인상했다.기준 금리가 연 2.5%에서 6%로 상승하면 자산가치의 버블이 붕괴해, 일본은 장기의 불황에 빠졌다.
이제(벌써) 사실 레벨로 돌진해 그런데 너무 많아서
1990년-1991년은 주가가 내리기 시작한 시점입니다만 경기 하강국면이 아닙니다.
또, 일시적으로 엔하락에 흔들렸습니다만, 버블기 이후도 엔고가 됩니다.
코어 코어 CPI를 보면 알도록(듯이), 전형적인 「자산 버블」이라고 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더하고,기준 금리를 인상한 것은1989년 4월의 소비세 도입시점입니다.
그 위에, 당시를 되돌아 보고 검증한 것이라도, 총량규제가 버블 붕괴의 원인이라고 하는 공통 인식이 있어요.
금융기관의 부동산을 위한 융자에 대한 규제.지가고등이나 토지 투기를 억제하는 목적으로 구대장성(현, 금융청)이 실시한 행정 지도이다.열도 개조 붐으로 지가가 상승한 1973년(쇼와 48)이나 버블 경제기의 1990년(헤세이 2)에 실시되었지만, 일반적으로는 버블 경제기의 규제를 찌르는 것이 많다.
구대장성 은행국은1990년 3월, 버블 경제에 의한비정상인 지가고등과 토지 투기를 억제하는모아 두어 도시은행, 구장기 신용 은행, 신탁은행, 지방은행, 재일외국은행, 신용금고, 생명 손해보험 회사등의금융기관에 총량규제를 통지해, 1991년 12월에 해제했다.(1)부동산을 위한 융자의 전년대비 신장율을 총대출의 전년대비 신장율 이하에 억제하는, (2)부동산업, 건설업, 논뱅크에의 융자 실태의 보고를 요구하고 규제에 위반한 금융기관에 시정을 지도한다, 라고 하는 내용이었다.통지 후, 금융기관은 부동산 융자를 약속하면서, 융자의 불이행·동결·중단등을 실시했다.이것은 정책적으로 금융기관의 대출거부나 빌려 주어 박(는)이 해를 유도하게 되어, 부동산을 중심으로 하는 자산 디플레이션을 불러, 일본 경제의 버블 붕괴의 계기가 되었다는 비판이 있다.또 주택전문(주택금융 전문회사)이 부동산 융자의 규제 대상외가 되어, 행정 지도 대상의 금융기관으로부터 농림계 금융기관이 제외해졌기 때문에, 농림계 금융기관으로부터 주택전문 전용에 대량의 자금이 흘러 후에 거액인 불량 채권 문제(주택전문 문제)를 일으키는 요인이나 되었다.또한 총량규제의 해제 후도, 대장성은 토지 관련 융자에 대해 금융기관이나 논뱅크로부터 청취 조사를 실시해, 부동산 관련 융자의 성장이 총대출의 성장을 일정폭이상, 웃돌면 총량규제를 재발 동요한다고 하고 있었다.
증권 버블 붕괴(1990년 1월)→총량규제(1990년 3월 27일)→부동산 버블 붕괴(1991년 3월)
이런 과정입니다.
과연 KIF가 이 레벨의 논문을 보내는 것은 맛이 없다고 생각합니다.
잔반 대장만이 아니었다니해에 이 레벨의 논고를 본다고는 정직 생각하지 않았다.
만약을 위해 말합니다만, 이 논문을 부정해, 반대 해석으로 「한국이,
경기의 하강국면에서 물가상승을 억제하려고 기준 금리를 인상했을 경우,
이것이 자산가치의 버블 붕괴를 가져올 것은 없다」라고 하는 결론에는
안 되는 점에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以前、あまりにも日本のバブル崩壊について理解できていない韓国人が多すぎて、こういうスレを立てました。
韓国人は結局日本のバブル崩壊の原因を未だに理解できていない
https://www.kjclub.com/jp/board/exc_board_9/view/id/3588018
その後、さすがにこのレベルは愚民レベルだけだよな、当時、韓国人の研究者も日本のバブル崩壊の研究していたよなあ、今はいないよなあと思っていたのですが…いましたよ…
韓国金融研究院「全世界が日本のように『失われた10年』を経験する可能性」
10/17(月) 18:10配信
朝鮮日報日本語版
韓国を含む全世界の経済は1990年代前半の日本と同じく長期の不況に陥りかねないとの分析結果が示された。景気の下降局面で物価上昇を抑制しようと基準金利を引き上げた場合、これが資産価値のバブル崩壊をもたらし、結果的に全世界が「失われた10年」となった日本と同じような道筋をたどるという指摘だ。
韓国金融研究院が16日に公表した報告書「物価と成長のジレンマ:反面教師日本の教訓」によると、最近韓国を含む世界経済は1990年代前半の日本とよく似た状況になっているという。
日本は1990-91年の景気下降局面で住宅価格上昇に対する国民の反発を抑え、賃金上昇圧力と円安に伴う物価上昇を抑制するため基準金利を引き上げた。基準金利が年2.5%から6%に上昇すると資産価値のバブルが崩壊し、日本は長期の不況に陥った。
もう事実レベルで突っ込みどころが多すぎて
1990年ー1991年は株価が下がり始めた時点ですが景気下降局面ではありません。
また、一時的に円安に振れましたが、バブル期以降も円高になります。
コアコアCPIを見ればわかるように、典型的な「資産バブル」だということがわかります。
加えて、基準金利を引き上げたのは1989年4月の消費税導入時点です。
その上で、当時を振り返って検証したものでも、総量規制がバブル崩壊の原因という共通認識があります。
総量規制 そうりょうきせい
金融機関の不動産向け融資に対する規制。地価高騰や土地投機を抑制する目的で旧大蔵省(現、金融庁)が実施した行政指導である。列島改造ブームで地価が高騰した1973年(昭和48)やバブル経済期の1990年(平成2)に実施されたが、一般的にはバブル経済期の規制をさすことが多い。
旧大蔵省銀行局は1990年3月、バブル経済による異常な地価高騰と土地投機を抑えるため、都市銀行、旧長期信用銀行、信託銀行、地方銀行、在日外国銀行、信用金庫、生損保会社などの金融機関に総量規制を通達し、1991年12月に解除した。(1)不動産向け融資の前年比伸び率を総貸出の前年比伸び率以下に抑える、(2)不動産業、建設業、ノンバンクへの融資実態の報告を求め、規制に違反した金融機関に是正を指導する、という内容であった。通達後、金融機関は不動産融資を約束しながら、融資の不履行・凍結・打ち切りなどを実施した。これは政策的に金融機関の貸し渋りや貸し剥(は)がしを誘導することになり、不動産を中心とする資産デフレを招き、日本経済のバブル崩壊の引き金になったとの批判がある。また住専(住宅金融専門会社)が不動産融資の規制対象外となり、行政指導対象の金融機関から農林系金融機関が除かれたため、農林系金融機関から住専向けへ大量の資金が流れ、後に巨額な不良債権問題(住専問題)を引き起こす要因ともなった。なお総量規制の解除後も、大蔵省は土地関連融資について金融機関やノンバンクから聞き取り調査を実施し、不動産関連融資の伸びが総貸出の伸びを一定幅以上、上回れば総量規制を再発動するとしていた。
証券バブル崩壊(1990年1月)→総量規制(1990年3月27日)→不動産バブル崩壊(1991年3月)
こういう過程なんです。
さすがにKIFがこのレベルの論文を出すのは不味いと思います。
残飯隊長だけじゃなかったなんて…2022年にこのレベルの論考を見るとは正直思わなかった。
念のために言いますが、この論文を否定し、反対解釈で「韓国が、
景気の下降局面で物価上昇を抑制しようと基準金利を引き上げた場合、
これが資産価値のバブル崩壊をもたらすことはない」という結論には
ならない点には注意が必要で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