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PositiveNegativeFreeStyleArguments

※URL는 생략 합니다, 아무쪼록.

No.1베스트 앤서

  • 회답자:
  • 회답 일시:2006/11/24 17:05

<!—/a-title_item—> <!—a-article_info—>

이것은 일단 상호주의라든지 불리고 있군요.


중국은 이쪽을 중국어 읽기로 하지만, 한국은 이쪽을 일본어 읽기로 하기 때문에, 여기도 한국 조선을 현지어 읽기로 해 주지 않으면 안 된다 등이라고 설명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실없는 소리입니다.
한국인은 도쿄를 「톤골」이라고 부르고 있고, 토요토미 히데요시는 푼신스길이라고 불러 지금도 눈엣가시입니다.
(단지, 최근의 한국인은 더이상 한자를 읽을 수 없는 것 같아서, 지금의 일본인의 일은 일본어 읽어 하게 되었습니다만.)
실제는, 1988년 최고재판소 판결 「NHK 일본어 읽기 소송」(판례 시보 1266호)이 원인입니다.
재일 한국인 최창화(치에체호) 씨가 NHK에 대해서, 그의 이름을 일본어 읽은 것 로, 인격권 침해에 의해서 손해배상 청구를 요구했습니다.
판결은 당시는 그러한 관례(현지어 읽기) 등은 없었기 때문에, 상식 대로 최창화씨의 패소입니다만, 이 재판의 영향으로, NHK는 예에 의해서 무사 안일주의로 한국이나 북한의 인명 지명을 그 현지어 읽기로 하도록(듯이) 고쳐 타매스 미디어도 이것을 모방해 현재에 이르렀습니다.
텔레비전으로 「한류」를 「한류우」라고말하네요.이것은 고유 명사가 아니지요.그렇지만 일본어로 「한국」의 글자를 한이라든지는 읽지 않아요.이제(벌써) 한국은, 「권고」그만두어 「항크」입니까.

질문자가 선택한 베스트 앤서

<!—hed area—>
  •                    
  • 회답No.4
  •        
<!—user area—>
레벨 8     

베스트 앤서율 70%          (17/24)       

<input class=“answer_username” type=“hidden” value=“gwybodaeth”>   
한국의 외국의 인명이나 지명등의 고유 명사의 표기에 대해서는
현지 발음에 따른다고 하는 원칙이 있어요.관용적으로 분 기다린 예외를 제외하면 매스컴도 전부 지키고 있는 룰입니다.
문제는 한자를 공유하는 국가(중국, 대만, 일본 그리고 한 때의 베트남등)입니다만, 일본의 경우는 거의 일본어 읽기에 따라서 있습니다.
이것은한국 정부가 일본 정부에, 자국의 발음으로 읽도록(듯이) 신청한 결과인가, 다른 압력에 의한 결과인가는 자세한 것은
모릅니다만
, 일한 양국에 있어 서로 상대의 자국어의 발음에 따른다고 하는 원칙이 분명히 있다 같습니다.
일본어의 경우, 표기가 한자라고 해도, 훈독이라고 하는 다른 나라에는 발견되지 않는 것이 있다의로
한국에서도 한국 한자음으로 일본의 지명, 인명을 읽으면 원의 발음과의 연결은
전혀 찾아내지 않게 되기 때문에, 중국보다 일본에 있어 이 원칙을 잘 지켜지고 있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비록, 히로스에 료꼬를 그원마르얀자라든지 읽는다
(일)것은 일부러가 아니면 지금의 한국일 수 없습니다.)
가, 중국의 경우는 역사적으로 한국과 가까워, 고대 중국의
인명 지명은 한국에서는 이미 그 발음이 한국화하고 있으므로
유명한<공자>등은 한국식에서 콘더이며, 현대 중국어의 콘즈가 아닙니다.따라서 중국에 있어
역사적인 인명 지명은 한국 읽기로, 현대 중국의 인명 지명은
중국어 읽기가 되어 있습니다.
한편, 중국측은 어떨까 말하면 모두가 자국 발음이라고 알고 있습니다.비록, 타나카도<Tanaka>가 아니고, 타나카의 중국어 발음에 따라서 있습니다.이것은 한자만으로 표기하는 중국어의
특징과 훈독의 습관이 없는 중국측의 사정이군요.
만약, 발음에 근거하면 타나카를 타나가 등 표기해야 합니다만 그러한 표기는 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중국에 있어
소리에는 조건이 없고 한자 표기가 중요한 것이군요.
(이것은 중국어에 대하고 외래어를 받아 들이는 방법으로부터도 같습니다만)
서울의 경우는 한국에서는 한자 표기가 없는 고유어입니다만
중국은 이 서울도 세계 유일,<한성>이라고 표기해
있습니다.이것에 대해서 한국측에서 서울은 현지음에 부르면 좋겠다고 신청한 것 같습니다만, 중국에서는 대답해 없음

(이었)였던 것 같습니다.
마지막에 베트남의 경우, 지금 베트남어는 로마자(라틴 문자)로 표기되고 있어 그 때문에 한자 읽기의 문제는 없습니다만, 국명이나 역사적 지명(특히 중국의 경우)에는
베트남 한자음에 근거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정리해 보면

일본⇔한국 (서로 현지음 불러)
일본⇔중국 (서로 자국음 불러)
한국⇔중국 (한국은 현대 지명, 인명이 현지음 불러
중국은 자국음 불러)

질문자가 선택한 베스트 앤서

<!—hed area—>
  •                    
  • 회답No.1
  •        
<!—user area—>
레벨 13     

베스트 앤서율 38%          (241/621)       

<input class=“answer_username” type=“hidden” value=“Ryu831”>   
이전에는, 대부분이 일본식(일본어 읽기)에서, 한국, 중국의 고유 명사를 부르고 있었습니다.

분명히는 잊었습니다만, 수년(정도)만큼 전에 한국으로부터 「자국(한국)의 고유 명사에 관해서는 지금부터 전부 한국어의 발음으로 부르는 것(쓰는 것) 같게」라고 하는 신청이 있었습니다.

그 후, 한국의 지명, 인명은 저 편의 발음을 존중해 현지 읽기가 되었습니다.
김대중은 일찌기 「킨다이츄우」라고 불리고 있었습니다만, 그가 대통령이 되고 나서는, 「김대중」이라고 현지식이 되었어요.
또, 있다 때 TV를 보고 있고, 한국의 축구의 스타팅 멤버 선수의 이름이 전부 카타카나의 텔롭이었는데 놀란 일이 있어요.한자로 썼더니 이름을 한국식에서 읽는 일은 할 수 없기 때문에, 카타카나로 소개했겠지요.

당연히 한국측도, 일본의 고유 명사를 현지식 발음으로 부르고 있었습니다만, 재차 일본식에서 부르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중국에 관해서는, 그렇게 말한 결정이라고 말하는지, 확고한 결정이 없기 때문에, 관례에 입각해서 현지식 발음이 되거나 일본식 발음이 되거나 하겠지요.

>무엇을 기준으로 나누고 있다(그 필요성은?) 의 것인지

그러므로, 현재는, 한국은 모두 현지식, 중국은 혼동이라고 하는 기분이 들고 있습니다.
질문자 님 쓰여져 있습니다만,

>「창춘」 「심양」 「코다이라」라고, 거의 틀림없이 일본어 읽기가 된다고 생각합니다.
「김대중」 「김일성」은, 후에 현지 읽어로 바뀌었어요.

위의 3개는 중국, 아래의 2개는 한국이군요.
****************************************************

한자를 읽을 수 없는 한국인이 증가했다고 일로 좋다!

韓国語読みについてちらっと検索してみた

※URLは省略します、あしからず。 

 

 

No.1ベストアンサー

  • 回答者:
  • 回答日時:2006/11/24 17:05

<!--/a-title_item--> <!--a-article_info-->

これは一応相互主義とか呼ばれていますね。


中国はこちらを中国語読みにするけど、韓国はこちらを日本語読みにするから、こっちも韓国朝鮮を現地語読みにしてあげないといけないなどと説明されています。

でも、たわごとです。
韓国人は東京を「トンギョン」と呼んでるし、豊臣秀吉はプンシンスギルと呼び今でも目の敵です。
(ただ、最近の韓国人はもう漢字が読めないらしく、今の日本人のことは日本語読みするようになりましたが。)
実際は、1988年最高裁判決「NHK日本語読み訴訟」(判例時報1266号)が原因なんです。
在日韓国人崔昌華(チォエチャンホァ)氏がNHKに対して、彼の氏名を日本語読みしたことで、人格権侵害によって損害賠償請求を求めたのです。
判決は当時はそういう慣例(現地語読み)などはなかったので、常識通り崔昌華氏の敗訴なのですが、この裁判の影響で、NHKは例によって事なかれ主義で韓国や北朝鮮の人名地名をその現地語読みにするように改め、他マスメディアもこれを倣って現在に至ったのです。
テレビで「韓流」のことを「ハンリュウ」とか言ってますね。これって固有名詞じゃないですよね。でも日本語で「韓」の字をハンとかは読みませんね。もう韓国は、「かんこく」やめて「ハングク」ですかね。
 
 
 
 
 
 

質問者が選んだベストアンサー

<!-- hed area -->
  • 回答No.4
<!-- user area -->
レベル8

ベストアンサー率 70% (17/24)

<input class="answer_username" type="hidden" value="gwybodaeth">
韓国の外国の人名や地名などの固有名詞の表記に対しては
現地発音に従うという原則があります。慣用的にかたまった例外を除けばマスコミも全部守っているルールです。
問題は漢字を共有する国家(中国、台湾、日本そしてかつてのベトナムなど)ですが、日本の場合はほとんど日本語読みに従っています。
これは韓国政府が日本政府に、自国の発音で読むように申し入れた結果か、 ほかの圧力による結果かは詳しくは
分かりませんが
、日韓両国においてはお互いに相手の自国語の発音に従うという原則がたしかにあるようです。
日本語の場合、表記が漢字とはいえ、訓読みという他の国には見つからないものがあるので
韓国でも韓国漢字音で日本の地名、人名を読んだら元の発音との繋がりは
まったく見つけなくなりますので、中国よりも日本においてこの原則がよく守られていると言えます。
(たとえ、広末涼子のことをグワンマルヤンザとか読む
ことはわざとでないなら今の韓国ではありえません。)
たが、中国の場合は歴史的に韓国と近く、古代中国の
人名地名は韓国では既にその発音が韓国化しているので
有名な<孔子>などは韓国式でコンザであり、現代中国語のコンズではありません。したがって中国においては
歴史的な人名地名は韓国読みで、現代中国の人名地名は
中国語読みになっています。
一方、中国側はどうかいうと全てが自国発音だと分かっています。たとえ、田中も<Tanaka>でなく、田中の中国語発音に従っています。これは漢字のみで表記する中国語の
特徴と訓読みの習わしがない中国側の事情でしょうね。
もし,発音に基づいたら田中を他那可など表記すべきですがそのような表記はしないようです。中国においては
音にはこだわりがなく漢字表記が大切なもんですね。
(これは中国語において外来語を受け取れる方法からもおなじですが)
ソウルの場合は韓国では漢字表記がない固有語ですが
中国はこのソウルのことも世界唯一、<漢城>と表記して
います。これに対して韓国側からソウルは現地音に呼んでほしいと申し入れたようですが、中国からは答えなし

だったようです。
最後にベトナムの場合、今ベトナム語はローマ字(ラテン文字)で表記されており、そのため漢字読みの問題はないんですが、国名や歴史的地名(特に中国の場合)には
ベトナム漢字音に基づいているようです。

まとめてみると

日本⇔韓国 (お互いに現地音呼び)
日本⇔中国 (お互いに自国音呼び)
韓国⇔中国 (韓国は現代地名、人名が現地音呼び
中国は自国音呼び)
 
 
 
 

質問者が選んだベストアンサー

<!-- hed area -->
  • 回答No.1
<!-- user area -->
レベル13

ベストアンサー率 38% (241/621)

<input class="answer_username" type="hidden" value="Ryu831">
以前は、ほとんどが日本式(日本語読み)で、韓国、中国の固有名詞を呼んでいました。

はっきりは忘れましたが、数年ほど前に韓国から「自国(韓国)の固有名詞に関してはこれから全部韓国語の発音で呼ぶ(書く)ように」という申し入れがありました。

その後、韓国の地名、人名は向こうの発音を尊重して現地読みになりました。
金大中はかつて「キンダイチュウ」と呼ばれていましたが、彼が大統領になってからは、「キムデジュン」と現地式になりましたね。
また、ある時テレビを見ていて、韓国のサッカーのスタメン選手の名前が全部カタカナのテロップだったのに驚いた事があります。漢字で書いたところで名前を韓国式で読む事はできないので、カタカナで紹介したのでしょう。

当然韓国側も、日本の固有名詞を現地式発音で呼んでいましたが、改めて日本式で呼ぶようになりました。

ところが中国に関しては、そういった取り決めと言うか、確固たる決まりが無いので、慣例に即して現地式発音になったり、日本式発音になったりするのでしょう。

>何を基準に分けている(その必要性は?)のか

ですので、今のところは、韓国は全て現地式、中国は混同という感じになっています。
質問者様書かれていますが、

>「長春」「瀋陽」「小平」だと、ほぼ間違いなく日本語読みになると思います。
「金大中」「金日成」は、後に現地読みに変わりましたね。

上の3つは中国、下の2つは韓国ですね。
 
 
 ****************************************************
 
 

漢字が読めない朝鮮人が増えたからってことでいいね!
 
 
 


TOTAL: 349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2170 아베가 천민기념관에서 「자랑으로 ....... (10) natumikan584 2018-01-15 11049 1
2169 공산 코이케→아베 「어떤 나라의 ....... (8) natumikan584 2018-01-15 855 1
2168 온천에 샴푸 날아 직 체포 (3) natumikan584 2018-01-15 398 0
2167 조선인이 우동을 자랑한데 자리 가소....... (7) natumikan584 2018-01-15 558 3
2166 어제의 Abe 인스타 (3) natumikan584 2018-01-15 226 0
2165 코리그씨는 스르 하는 스레 (5) natumikan584 2018-01-15 264 0
2164 실은 오늘, 치과 의사로 화이트닝 해 ....... (4) natumikan584 2018-01-15 363 0
2163 는 트라이플 만든 (15) natumikan584 2018-01-15 424 0
2162 한국어 읽기에 대해 힐끗 검색해 본 (3) natumikan584 2018-01-14 252 2
2161 귀여운 Abe (5) natumikan584 2018-01-14 270 2
2160 귀찮은 전대 조선인  (6) natumikan584 2018-01-13 347 3
2159 마크로스의 다음에 하고 있었던 애니....... (8) natumikan584 2018-01-13 320 2
2158 조선 갓체만 vs 과학 닌자대 갓체만  (6) natumikan584 2018-01-13 304 0
2157 기억하고 있습니까?  (5) natumikan584 2018-01-13 294 1
2156 일한 식기 대결 (9) natumikan584 2018-01-13 1015 5
2155 NHK 봐라 (2) natumikan584 2018-01-13 632 0
2154 Origami (5) natumikan584 2018-01-11 680 0
2153 【가정】슈퍼에 있던 「가루차」 (10) natumikan584 2018-01-11 432 0
2152 토인의 결점  (8) natumikan584 2018-01-11 389 3
2151 가루차를 조선 기원으로 하는 것보다....... (9) natumikan584 2018-01-11 509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