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경제 PositiveNegativeFreeStyleArguments

”제암리 학살 은폐” 日사령관 일기 발견



우쓰노미야 다로 조선군사령관이 제암리 사건을 기록한 4월 18일자 일기와 조선 군사령관 재직 당시의 우쓰노미야. 도쿄=서영아 특파원
1919년 3·1독립운동 당시 일본군이 저지른 제암리 집단 학살사건을 조선군사령부(당시 한반도에 주둔한 일본군 사령부를 뜻함)가 철저히 은폐했음을 보여주는 사령관의 일기가 발견됐다.

아사히신문은 3·1운동 당시 조선군사령관이던 우쓰노미야 다로(宇都宮太郞·1861~1922) 대장이 남긴 15년분의 일기가 발견됐다고 28일 보도했다.

작성자 사후 80여년 만에 봉인이 풀린 일기에는 제암리 사건의 은폐 전말과 독립운동 진압 실태, 일본의 민족운동가 회유 과정이 상세하게 기록돼 주목된다.

1919년 4월15일 “제암리사건”이 일어나자 우쓰노미야는 “서울 남방에서 일본군이 약 30명을 교회에 몰아넣고 학살, 방화”했다고 썼다. 그러나 일본군은 사건을 발표하면서 학살 방화 사실을 부인했다.

그 이유는 4월18일자 일기에 나온다. “(사실대로 처리하면) 제국의 입장에 심히 불이익이 되므로” 간부회의에서 “저항했기 때문에 살육한 것으로 하고 학살 방화 등은 인정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밤 12시에 산회했다”는 것.

이튿날 일기에는 “사건에 관여한 중위를 진압 방법과 수단이 적정치 않았다는 점에서 30일간 중(重) 근신에 처하기로 결심했다”고 적었다. 신문은 실제로 해당 중위에 30일간의 근신처분이 내려진 사실이 있다고 확인했다.

일기에 따르면 우쓰노미야는 당초 조선 민중의 저항에 나름대로는 이해심을 가졌던 것으로 보인다. 3·1운동이 시작되자 우쓰노미야는 일본이 펼쳐온 “무단 통치” 방식을 비판하며 “한국인의 원망과 한탄 동요는 자연스러운 일”이라고 일기에 적었다. 그는 독립운동은 기독교도와 천도교도, 학생 등이 주도해 외국인 선교사의 후원을 받아 봉기한 것으로 뿌리가 깊다고 분석하며 “무단 통치”가 “내켜하지 않는 처녀를 무리하게 결혼시킨 것과 같다”고 비판했다.

그러나 소요가 갈수록 확산되자 그는 “지금까지의 진압수단으로는 도저히 대처할 수 없다”고 판단하고 3월 11일 조선총독으로부터 군 동원을 허가받아 진압을 시작했다.

한편으로 일기에는 우쓰노미야가 훗날 조선총독 사이토 마코토(濟藤實) 시대에 진행된 “문화정치” 시책을 한발 앞서 시작한 사실도 나타난다.

그는 3·1운동 와중에 천도교에 대한 회유를 제안하고(1919년 3월 20일), 장차 조선에 “자치”를 허용해 “자치식민지”로 만들어야 한다고 본국에 진언하기도 했다(5월 1일 육군대신 다나카 기이치 田中義一에게 보낸 서한). “배일파”(排日派)로 알려진 한국인과의 접촉에도 적극적으로 나섰다(1920년 2월20일, 4월9일).

일기에는 3.1독립선언에 서명한 한 종교지도자가 2월 27일 그를 찾아와 “이번 고종의 국장 때 뭔가 일이 벌어질지 모르니 조심하라”고 충고했다는 내용도 보인다.

우쓰노미야가 남긴 사료는 일기 15권외에도 서한 약 5000통과 서류 약 2000점, 사진 약 200점 등 7200여점에 이른다. 이 사료는 도쿠마 참의원을 거쳐 손자 교조(恭三) 씨가 보관해오다 5년 전 기라 요시에 교수 연구진에 위탁됐으며 “우쓰노미야 다로 관계자료연구회”의 이름으로 문부과학성 보조금을 받아 18명의 연구위원이 자료 정리 작업을 해왔다.

자료 중에서 일기는 4월 이후 이와나미(岩波)서점에서 3권으로 정리돼 발간될 예정이다. 조선독립운동 관련기록이 몰려있는 1919년 전후는 뒷부분에 해당해 11월 이후에야 나올 전망이다.

우쓰노미야 대장은 일본의 군축을 주장하고 대 아시아 외교에 적극적이었던 우쓰노미야 도쿠마(宇都宮得馬·1906~2000)전 일본 참의원의 부친으로도 알려져 있다.

 

도쿄=서영아특파원 sya@donga.com

 

 

제암리 만행이 일어나기 11년 전인 1908년의 제암리 교회의 모습

 

제암리 학살 사건(提巖里虐殺事件)은 일제강점기인 1919년 4월 15일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면(현재의 향남읍) 제암리 제암리교회에서 일어난 학살 사건으로, 제암리 사건이라고도 부른다.

1982년 9월 29일 문화공보부는 사건 지역을 사적 제299호로 지정했다.


1. 배경


1919년 3월 1일에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난 얼마 뒤 3월 30일(또는 4월 5일) 발안 장날에 경기도 화성시(당시 수원군) 향남면 제암리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제암리를 비롯한 인근의 주민 천여 명은 발안 장날을 이용해 독립만세를 외쳤다고 한다. 이날 이후 주민들이 밤마다 뒷산에 올라 봉화를 올림으로써 만세운동은 계속됐다.


2. 경과

1919년 3월 30일 정오, 제암리 발안 장터에서 독립 만세 운동이 일어났다. 만세 운동은 팔탄면 가재리의 유학자 이정근, 장안면 수촌리의 천도교 지도자 백낙렬, 향남면 제암리의 안정옥(천도교), 고주리의 천도교 지도자 김흥렬 등이 계획하였고, 30일 정오 이정근이 장터에서 “대한독립만세”를 선창함으로써 시작되었다. 장터에 모인 8백여 명이 따라 불렀고, 그 과정에서 일본 경찰의 위협 사격과 군중의 투석이 이어졌다.

일본군 진압부대는 주재소로 다가서는 군중들에게 칼을 휘두르기 시작했으며, 이정근과 그의 제자 김경태 등 3명이 칼에 맞아 사망했고, 홍원식·안종후·안진순·안봉순·김정헌·강태성(제암리 기독교인), 김성렬(고주리 천도교인) 등이 수비대에 붙잡혀 고문을 받고 풀려 났다.

이때 흥분한 시위 군중이 일본인 가옥이나 학교 등을 방화, 파손하였고, 정미업자 사사카(佐板) 등 43명이 30리 밖 삼괴 지역으로 피신하는 일이 벌어졌다. 사사카는 그 보복으로 4월 15일 제암리사건 당시 일본군대의 길 안내를 맡기도 하였다.

4월 1일 발안 인근의 마을 주민들이 발안장 주변 산에 봉화를 올리고 시위를 하였다.
4월 2일 제1차 검거 작전을 시작. 경기도 경무부에서는 헌병과 보병, 순사로 이루어진 검거반을 보내었으며 6일까지 이어졌다. 시위의 진원지 역할을 한 마을을 습격 방화하고 시위 주모자를 검거하였다.
4월 3일 화수리·수촌리에서 만세 시위가 일어났다.
4월 5일 새벽 3시 반경에 검거반이 수촌리를 급습하여, 종교 시설은 물론 민가에 불을 질러 마을 전체 42호 가운데 38호가 소실되었다(수촌리 학살 사건).
4월 5일 정오, 제암리 발안 장날을 맞아 또 시위가 일어났다.
4월 9일부터 16일까지 검거반은 제2차 검거 작전을 벌였다.
4월 13일 육군 ‘보병 79연대’ 소속 중위 아리타 도시오(有田俊夫)가 지휘하는 보병 11명이 발안에 도착하였다. 토벌 작전이 끝난 발안 지역의 치안 유지가 그들의 임무였다. 그러나 다른 지역의 시위 주모자들은 2차에 걸친 검거 작전으로 대부분 체포된 반면 발안 시위를 주도했던 제암리 주모자들은 체포되지 않아 불안 요소로 남아 있음을 안 아리타는 제암리를 토벌할 계획을 세운다.
4월 15일 오후 2시경, 아리타 중위는 부하 11명을 인솔하고 일본인 순사 1명과 제암리에 살다가 나온 순사보 조희창, 정미소 주인 사사카(佐板)의 안내를 받으며 제암리로 떠났다.
사건의 진행과정을 재구성하면 다음과 같다(그러나 시간과 이름 등 세밀한 부분에서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아리타 부대는 발안에 살던 일본인 사사카와 한국인 순사보 조희창을 내세워, “만세운동을 진압하며 너무 심한 매질을 한 것을 사과하려고 왔다.”라고 말하여, 제암리 주민 가운데 성인 남자(15세 이상)들을 교회에 모이게 하였다.
미리 명단을 파악한 듯 오지 않은 사람은 찾아가 불러왔다.
아리타 중위가 모인 사람들에게 “기독교의 가르침”에 대해 묻자 ‘안’(안종후 권사로 추정)이란 교인 대표가 대답하였다.
아리타 중위가 교회 밖으로 나오자마자 사격 명령을 내렸고, 이에 교회당을 포위하고 있던 군인들이 창문을 통해 안으로 사격하였다.
사격이 끝난 후 짚더미와 석유를 끼얹고 불을 질렀다.
바람이 세게 불어 불이 교회 아래쪽 집들에 옮겨 붙었고, 위쪽 집들은 군인들이 다니며 방화하였다.
교회에 불이 붙자 ‘홍’(홍순진으로 추정)과 ‘면에 다니던 사람,’ ‘노경태’(노불의 증언에는 ‘노’)가 탈출을 시도하여 홍은 도망치다가 사살되었고, 면에 다니던 사람(안상용으로 추정)은 집으로 피신했다가 발각되어 살해당했고, 노경태는 산으로 피해 살아 남았다.
탈출하다 사살된 것으로 보이는 시체 두세 구가 교회 밖에 있었다.
마을에 불이 난 것을 보고 달려 온 ‘강’(강태성)의 아내(19세)가 군인에게 살해당하였다.
‘홍씨’(홍원식 권사) 부인도 군인들의 총을 맞고 죽었다.
군인들이 마을 고주리로 가서 천도교인 6명을 총살했다.

 

3. 은폐와 왜곡 그리고 진실


교회 문 못질설 : 한국에서는 한때 교회에 가둬둔 뒤 문에 못질하여 막았다는 말이 나돌았으나, 창문조차 총으로 들이대고 있었음에도 빠져나온 사람이 있었다는 사실에서 못질은 하지 않았으리라 보인다. 그러나 그에 못지않았음도 사실이다.
우발사건설 : 일본의 학자들은 “조선에 주둔한 지 얼마 안되어 현지 상황에 익숙치 못한 일부 군인이 일본인의 희생에 흥분하여 일으킨 ‘우발적인’ 사건”이라고 주장하였다. 제암리 기독교와 천도교 지도자 명단을 미리 파악하고 소집한 점, 제암리가 아닌 고주리의 천도교 지도자까지 파악해 살해한 점 등에서 신빙성이 부족하다.
《끌 수 없는 불꽃》(Unquenchable Fire) : 1919년 4월 17일 스코필드는 언더우드, 커티스, 테일러 일행과 자동차로 수촌리 현장을 확인하러 가던 도중 우연히 제암리의 참상을 목격하였다. 4월 18일 스코필드는 홀로 제암리와 수촌리를 방문한 이래 여러 차례 오가면서 사후 수습을 돕는 한편, 《끌 수 없는 불꽃》이란 책을 펴서 일제의 만행을 세계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아사히(朝日)신문 2007년 2월 28일자 보도 - 제암리 학살 사건 은폐 : 사건 당시 조선군 사령관 우쓰노미야 다로(宇都宮太郞, 1861-1922) 대장의 일기 발견.

 

 

대일본제국은 어서빨리 다시 일어나 동양인 해방을 위해 서양인들과 싸워주세요! 대일본제국만세!


大日本帝国の虐殺本能第癌里虐殺

"묉듺뿢땣랤덨빦" 볷럌쀟뒸볷딯뵯뙥



덯뱒{뭴쁅뮝멞똓럌쀟뒸궕묉듺뿢럷뙊귩딯^궢궫 4뙉 18볷븊궚볷딯궴뮝멞똓럌쀟뒸띪륟뱰렄궻덯뱒{. 뱦떈=맻뎑귝벫봦덒
1919봏 3갋1벲뿧^벍뱰렄볷{똓궕귘귞궔궢궫묉듺뿢뢜뭖땣랤럷뙊귩뮝멞똓럌쀟븫(뱰렄듰뵾뱡궸뮄볇궢궫볷{똓럌쀟븫귩댰뼞궥귡)궕밢믨밒궸덨빦궢궫궞궴귩뙥궧궲궘귢귡럌쀟뒸궻궓궞귡궻궕뵯뙥궠귢궫.

뮝볷륷빓궼 3갋1^벍뱰렄뮝멞똓럌쀟뒸궬궯궫덯뱒{뭴쁅(덯뱒{뫞쁚갋1861~1922) 묈룶궕럄궢궫 15긦깈깛긳깛궻궓궞귡궻궕뵯뙥궠귢궫궴 28볷뺪벞궢궫.

띿맟롌뚣 80]봏귆귟궸븬덐궕됶궚궫궓궞귡궸궼묉듺뿢럷뙊궻덨빦^뼎궴벲뿧^벍N댊렳뫴, 볷{궻뼬뫎뒋벍됄됿_됡믴궕뤬띢궸딯^궠귢궲뭾뽞궠귢귡.

1919봏 4뙉15볷 "묉듺뿢롊궳귖"궕딳궖귡궴덯뱒{궼 "긂깑볦뺴궳볷{똓궕뽵 30릐귩떝됵궸믁궋궞귪궳땣랤, 뺳됌"궢궫궴룕궋궫. 궢궔궢볷{똓궼럷뙊귩뵯궢궶궕귞땣랤뺳됌럷렳귩붬봃궢궫.

궩궻뿚뾕궼 4뙉18볷븊궚궓궞귡궻궸뢯귡. "(궇귟궻귏귏룉뿚궥귢궽) 믧뜎궻뿧뤾궸릖궬궢궘븉뿕뎧궸궶귡궻궳" 뒼븫됵땉궳 "믭뛕궢궫궔귞랤쒬궢궫궞궴궸궢궲땣랤뺳됌궶궵궼봃귕궶궋궞궴궸뙂귕궲뽭 12렄궸랼됵궢궫"궴뙻궎궞궴.

뼻궘귡볷궓궞귡궸궼 "럷뙊궸듫^궢궫뭷댮귩N댊뺴@궴롨뭝궕밙맫궳궼궶궔궯궫궴궋궎_궔귞 30볷듩뭷(뢣) 뗞쑧궸룉궥귡궞궴궸뙂륲궢궫"궴룕궋궫. 륷빓궼렳띧궸둤뱰궻뭷댮궸 30볷듩궻뗞쑧룉빁궻돷귣궠귢궫럷렳궕궇귡궴둴봃궢궫.

궓궞귡궻궸귝귢궽덯뱒{궼띍룊뮝멞뼬뢔궻믭뛕궸렅묉궵궓귟궼뿚됶궻륲귩렃궯궫궞궴궴뙥궑귡. 3갋1^벍궕럑귏귡궴덯뱒{궼볷{궕뛎궛궲뿀궫 "뼰뭚뱷렊" 뺴렜귩붳뵽궢궲 "뮝멞릐궻뜣귒궴뭂궖벛뾵궼렔멢궶럷"궴궓궞귡궻궸룺궶궔궯궫. 붯궼벲뿧^벍궼딈벬떝뱆궴밮벞떝귖, 둾맯궶궵궕롥벑궢궲둖뜎릐먬떝럗궻뚣뎴귩귖귞궯궲덇쓣궢궫궞궴궳뜧궕[궋궴빁먏궢궲 "뼰뭚뱷렊"궕 "긨긌깈궢궶궋뼷귩귔귟귘귟궸뙅뜢궠궧궫궞궴궻귝궎궬"궴붳뵽궢궫.

궢궔궢룋뾴궕귏궥귏궥둮랼궥귡궴붯궼 "뜞귏궳궻N댊롨뭝궳궼뱸믨뫮룉궥귡궞궴궕궳궖궶궋"궴뵽뭚궢궲 3뙉 11볷뮝멞몟벬궔귞]빁궻벍덒귩떀됀롷궚궲N댊귩럑귕궫.

덇뺴궳궓궞귡궸궼덯뱒{궕뚣볷뮝멞몟벬SaitoMakoto(띙뱻렳) 렄묆궸릋뛱궠귢궫 "빒돸맠렊" {랉귩덇뺖먩뿧궯궲럑귕궫럷렳귖뙸귦귢귡.

붯궼 3갋1^벍덾뭷궸밮벞떝궸뫮궥귡됿_귩믯댡궢궲(1919봏 3뙉 20볷), 룶뿀뮝멞궸 "렔렊"귩떀뾢궢궲 "렔렊륚뼬뭤"궳띿귞궶궚귢궽궶귞궶궋궴{뜎궸릋뙻궢궫귟궢궫(5뙉 1볷뿤똓묆귦귟밹뭷Kiichi 밹뭷`덇궸몭궯궫룕듗). "봱볷봦"(봱볷봦)궳뭢귞귢궫뮝멞릐궴궻먝륢궸귖먑뗂밒궸뢯궫(1920봏 2뙉20볷, 4뙉9볷).

궓궞귡궸궼 3.1벲뿧먬뙻궸룓뼹궢궫덇@떝깏[_[궕 2뙉 27볷붯귩릕궺궲뿀궲 "뜞뱗뛼@궻떿뮮궻렄돺궔럷궕딳귡궔귖뭢귢궶궋궔귞딠귩븊궚궶궠궋"궴뭺뜍궢궫궴궋궎볙뾢귖뙥궑귡.

덯뱒{궻럄궢궫럍뿿궼볷딯 15뙒둖궸귖룕듗뽵 5000믅궴룕쀞뽵 2000_, 롃^뽵 200_뱳 7200_궙귞궋궸럧귡. 궞궻럍뿿궼긤긏}랷@귩똮궯궲뫕떝멵(떛랳) 궠귪궕뺎듖궢궲뿀귡 5봏멟Y뾽깉긘궸떝롻뙟땰릛궸댬묝궠귢궫궢 "덯뱒{뭴쁅듫똚럱뿿뙟땰됵"궻뼹멟궳빒븫됆둾뤙뺚룙뗠귩롷궚궲 18릐궻뙟땰댬덒궕럱뿿맢뿚띿떾귩궢궲뿀궫.

럱뿿궻뭷궳궓궞귡궞궴궼 4뙉댥뚣궞귢궴긥~(듼봥)룕밲궳 3랚궳맢뿚궠귢궲뵯뒮궠귢귡믦궬. 뮝멞벲뿧^벍듫쁀딯^궕믁귦귢궲궋귡 1919봏멟뚣궼륦롨궸궇궫궯궲 11뙉댥뚣궸궼뢯귡뙥뜛귒궬.

덯뱒{묈룶궼볷{궻똓뢫귩롥뮗궢궲뫮귺긙귺둖뚴궸먑뗂밒궬궯궫덯뱒{긤긏}(덯뱒{벦봭갋1906~2000)럡궼볷{랷@궻븗릂궳귖뭢귞귢궲궋귡.

 

뱦떈=맻볹덚귒럔벫봦덒 sya@donga.com

 

 

묉듺뿢붩뛱궕딳궖귡 11봏멟궻 1908봏궻묉듺뿢떝됵궻럓

 

묉듺뿢땣랤럷뙊(믯듷뿢땣랤럷뙊)궼볷믧떗맕먫쀌딖듩궳궇귡 1919봏 4뙉 15볷떈딢벞돸뤻럖(뱰렄릣뙱똍) 떭볦뽋(뙸띪궻뛀볦뾚) 묉듺뿢묉듺뿢떝됵궳딳궖궫땣랤럷뙊궳, 묉듺뿢럷뙊궴귖뚁귆.

1982봏 9뙉 29볷빒돸뚺뺪븫궼럷뙊뭤덃귩럍먙묉299뜂궸럚믦궢궫.


1. 봶똧


1919봏 3뙉 1볷궸벲뿧뼔띘^벍궕딳궖궫궋궘귞뚣 3뙉 30볷(귏궫궼 4뙉 5볷) 궇궢궻볙럖궻볷궸떈딢벞돸뤻럖(뱰렄릣뙱똍) 떭볦뽋묉듺뿢궔귞벲뿧뼔띘^벍궕딳궖궫.

묉듺뿢귩듵귕궫쀗뗟궻뢟뼬먪]릐궼궇궢궻볙럖궻볷귩뿕뾭궢궲벲뿧뼔띘귩떓귪궬궴뙻궎. 궞궻볷댥뚣뢟뼬궫궭궕뻽붣뚣뺴궻랹궸뱋궯궲굢귩궇궛귡궞궴궳뼔띘^벍궼뫏궋궫.


2. 똮됡

1919봏 3뙉 30볷맫뚞, 묉듺뿢궇궢궻볙럖뤾궔귞벲뿧뼔띘^벍궕딳궖궫. 뼔띘^벍궼뵬볟뽋궡귟궕궸뿢궻롶롌뿘맱뗈, 뮮댝뽋롨맇뿢궻밮벞떝깏[_[긫긞긏긥긞긏깏깈깑, 떭볦뽋묉듺뿢궻댝믦돫(밮벞떝), 뚀뭾뿢궻밮벞떝깏[_[긎긲깛긐깏깈깑궶궵궕똶됪궢궫궢, 30볷맫뚞뿘맱뗈궕럖뤾궔귞 갾묈듰벲뿧뼔띘갿귩먩룯궥귡궞궴궳럑귏궯궫. 럖뤾궸뢜귏궯궫 8뷨]릐궕]궯궲됊궯궫궢, 궩궻됡믴궳볷{똸@궻떧댭롅똼궴똒뢔궻뱤먐궕궰궶궕궯궫.

볷{똓N댊븫묂궼뮄띪룋궸뗟딋귡똒뢔궫궭궸뱚귩륶귟됷궢럑귕궫궢, 뿘맱뗈궴붯궻믫럔긌갋긌깈깛긡궶궵 3릐궕뱚궸궩궎뻊궢궫궢, 뛑딂렜갋귺깛]깛긐긲갋귺깛긙깛긚깛갋귺깛{깛긐긚깛갋뗠맫뙖갋긊깛긐긡깛긐(묉듺뿢긌깏긚`긿깛), 긎깛긐깏깈깑(롉궞귪궳궘귢귝궎궪밮벞떝궳궇귡) 궶궵궕롧뷈묂궸궰궔귏궯궲뚗뽦귩롷궚궲롛뺳궠귢궫.

궞궻렄떩빋궢궫긢긾똒뢔궕볷{릐됄돫귘둾뛝궶궵귩뺳됌, 봨뫗궢궫궢, 맱빫떾롌긖긖긇(뜴붋) 궶궵 43릐궕 30뿢둖긖긐긃뭤덃궳릆귩뷃궚귡럷궕딳궯궫. 긖긖긇궼궩궻럅뺅궢궳 4뙉 15볷묉듺뿢롊궳귖뱰렄볷{똓묂궻벞댡볙귩}긞긎귖궢궫.

4뙉 1볷궇궢궻볙쀗뗟궻뫚뢟뼬궫궭궕궇궢궻볙뤾뢂뺃랹궸굢귩궇궛궲긢긾귩궢궫.
4뙉 2볷묉1렅뙚땽띿먰귩롨럑귕. 떈딢벞똸뼮븫궳궼뙖빜궴뺖빜, 룄럊궸맟귟뿧궯궫뙚땽멺귩몭궯궫궢 6볷귏궳궰궶궕궯궫. 긢긾궻릏뙶뭤뽴뽞귩궇귡뫚귩뢕똼됌귩뺳궯궲긢긾롵뻚귩뙚땽궞귪궸궭궼궬궯궫.
4뙉 3볷됓롽뿢갋롨맇뿢궳뼔띘긢긾궕딳궞궯궫.
4뙉 5볷뽭뼻궚 3렄뵾뜝궸뙚땽멺궕롨맇뿢귩}뢕궢궲, @떝{먠궼귖궭귣귪뼬됄궸됌귩궰궚궲뫚멣뫬 42뜂궻뭷 38뜂궕뤑렪궢궫(롨맇뿢땣랤럷뙊).
4뙉 5볷맫뚞, 묉듺뿢궇궢궻볙럖궻볷귩}궑귏궫긢긾궕딳궞궯궫.
4뙉 9볷궔귞 16볷귏궳뙚땽멺궼묉2렅뙚땽띿먰귩궢궫.
4뙉 13볷뿤똓 갻뺖빜 79쁀뫱갽 룋뫌뭷댮뾎밹됷귟귏궥(뾎밹뢳븎)궕럚딐궥귡뺖빜 11릐궕궇궢궻볙궸뱸뭶궢궫. 뱼뵲띿먰궕뢎귦궯궫궇궢궻볙뭤덃궻렊댝댸렃궕붯귞궻봀뼮궬궯궫. 궢궔궢뫜궻뭤덃궻긢긾롵뻚궫궭궼 2렅궸귦궫궯궫뙚땽띿먰궳묈븫빁묁뺕궢궫덇뺴궇궢궻볙긢긾귩롥벑궢궫묉듺뿢롵뻚궫궭궼묁뺕궢궶궘궲븉댝뾴멹궳럄궯궲궋귡궞궴귩뭷뾎밹궼묉듺뿢귩뱼뵲궥귡똶됪귩뿧궲귡.
4뙉 15볷뚞뚣 2렄뜝, 뾎밹뭷댮궼븫돷 11릐귩뿦궋궲볷{릐룄럊 1릐궴묉듺뿢궸뢟귪궳뛱궯궲뢯궫룄럊뺚]긲귻`@깛긐, 맱빫룋롥릐긖긖긇(뜴붋)궻댡볙귩롷궚궲묉듺뿢궸뵯궯궫.
럷뙊궻릋뛱됡믴귩띋맟궥귢궽렅궻귝궎궬(궢궔궢렄듩궴뼹멟궶궵띢뼤궶븫빁궳듩댾궋궕궇귟벦귡).

뾎밹븫묂궼궇궢궻볙궸뢟귪궬볷{릐긖긖긇궴뮝멞릐룄럊뺚]긲귻`@깛긐귩뿧궲궲, 갾뼔띘^벍귩돓궑궲궿궵궥궗귡}렲귩궢궫궞궴귩롍귣궎궴뿀궫.갿궴뙻궯궲, 묉듺뿢뢟뼬궻뭷묈릐뭞(15띓댥뤵)귞귩떝됵궸뢜귏귡귝궎궸궢궫.
궇귞궔궣귕뼹뺣귩봠닾궢궫귝궎궸뿀궶궋릐궼릕궺궲뚁귪궳뿀궫.
뾎밹뭷댮궕뢜귏궯궫릐갲궸 갾긌깏긚긣떝궻떝궑갿궸뫮궢궲뽦궎궴 갻뭷갽(귺깛]깛긐긲뒰럐궳릢믦)궴뙻궎(궻궼)떝릐묆궕뱴궑궫.
뾎밹뭷댮궕떝됵둖궸뢯귡귘궋궶귘롅똼뼺쀟귩돷궢궫궢, 궞궞궸떝됵벐귩궔궞귪궳궋궫똓릐궫궭궕몝귩믅궣궲뭷궸롅똼궢궫.
롅똼궕뢎귦궯궫뚣긙긳긤~궴먐뽿귩륶귟궔궚궲됌귩궰궚궫.
븮궕떗궘릟궋궲됌궕떝됵돷뫀됄궫궭궸댷궢궲븊궋궫궢, 뤵뫀됄궫궭궼똓릐궫궭궕믅궋궶궕귞됌귩뺳궯궫.
떝됵궸됌궕븊궘궴 갻뛤갽(^룂^궳릢믦)궴 갻뽋궸믅궯궫릐,갽 갻긩|긎깈깛긐긡갽(쁈븾궻뤪뙻궸궼 갻쁄갽)궕묮뢯귩럫귒궲뛽돳벀궛궲궋귡뱑뭷롅랤궠귢궫궢, 뽋궸믅궯궫릐(댡뤵뾭궳릢믦)궼됄궳릆귩뷃궚궲궔귞궽귢궲랤둙궠귢궫궢, 긩|긎깈깛긐긡궼랹궳뷀둙맯궖럄궯궫.
묮뢯궢궲롅랤궠귢궫귝궎궸뙥궑귡[볫궰랳궰궻뗰궕떝됵둖궸궇궯궫.
뫚궸됌궕딳궞궯궫궞궴귩뙥궲뗭궚궲뿀궫 갻먯갽(긊깛긐긡깛긐)궻띐(19띘)궕똓릐궸랤둙뱰궫귟궞귪궸궭궼궬궯궫.
갻^럞갽(뛑딂렜뒰럐) 돏궠귪귖똓릐궫궭궻밪뺺귩뱰궫궯궲귪궬.
똓릐궫궭궕뫚뚀뭾뿢궸뛱궯궲밮벞떝궳궇귡 6릐귩뢤랤궢궫.

 

3. 덨빦궴쁟뗁궩궢궲^렳


떝됵뽩긾긞긙깑깑 : 듰뜎궳궼궿궴궴궖떝됵궸빧궣궞귕궲궓궋궫뚣뽩궸밄귩}궢궲멽귪궬궴궋궎쁞궕뢯됷궯궫궕, 몝궠궑밪뺺궳벺궖븊궚궲궋궫궸귖궥귟뵴궚궲뿀궫릐궕궋궫궴궋궎럷렳궳릣궯귎궋럷궕궳궖궶궋궢궶궔궯궫궻궳궇귣궎뙥궑귡. 궢궔궢붯궸긾긞긙귺깛귺긞긂귖럷렳궬.
뗵뵯럷뙊먣 : 볷{궻둾롌궫궭궼 갾뮝멞궸뮄볇궢궲궔귞궋궘궽궘귖궶궘궲뙸뭤륉떟궸뒿귢귡궞궴궕궳궖궶궔궯궫덇븫똓릐궕볷{릐궻]맮궸떩빋궢궲딳궞궢궫 갻뗵뵯밒궶갽 럷뙊갿궴롥뮗궢궫. 묉듺뿢긌깏긚긣떝궴밮벞떝깏[_[뼹뺣귩궇귞궔궣귕봠닾궢궲룫뢜궢궫_, 묉듺뿢궳궼궶궋뚀뭾뿢궻밮벞떝깏[_[귏궳봠닾궢궲랤둙궢궫_뱳궳륪쒈맜궕븉뫉궬.
걌궿궘궞궴궕궳궖궶궋됓됌걎(Unquenchable Fire) : 1919봏 4뙉 17볷긚긓긯깑긤궼귺깛_[긂긞긤, 긓긡귻긚, 긡[깋[뭸듩궴렔벍롎궳롨맇뿢뙸뤾귩둴봃궢궸뛱궯궫뱑뭷뗵멢궸묉듺뿢궻랺륉귩뽞똼궢궫. 4뙉 18볷긚긓긯깑긤궼덇릐궖귟묉듺뿢궴롨맇뿢귩뻂뽦궢궫댥뿀돺됷귖뛱궖뚴궋궶궕귞뚣뢁뢉귩룙궚귡덇뺴, 걌궿궘궞궴궕궳궖궶궋됓됌걎궴뙻궎(궻궼){귩둎궋궲볷맶궻붩뛱귩맊둉궸뭢귞궧귡궻궸묈궖궘딋^궢궫.
뮝볷(뮝볷)륷빓 2007봏 2뙉 28볷븊궚뺪벞 - 묉듺뿢땣랤럷뙊덨빦 : 럷뙊뱰렄뮝멞똓럌쀟뒸덯뱒{뭴쁅(덯뱒{뫞쁚, 1861-1922) 묈룶궻볷딯뵯뙥.

 

 

묈볷{믧뜎궼긆긬깑깏귏궫딳궖궲뱦뾪릐됶뺳궻궫귕궸 맻뾪릐궫궭궴몚궯궲궘궬궠궋! 묈볷{믧뜎뼔띘!



TOTAL: 8183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43 일본인의 성향 nakazima 2009-05-08 1190 0
142 re:대일본제국의 학살본능 관동대지진....... 倭人性器 6cm 大爆笑 ^O^ 2009-05-08 1489 0
141 대일본제국의 학살본능 제암리 학살 카르페디엠 2009-05-08 1134 0
140 대일본제국의 학살본능 관동대지진 ....... 카르페디엠 2009-05-08 893 0
139 일본인이 스스로 원숭이라고 칭하는 ....... drosophilas 2009-05-07 512 0
138 케냐 남성이 자살했다네 jjangggae 2009-05-07 259 0
137 대충해봣어 jjangggae 2009-05-07 297 0
136 수정, 타케시마는 일본의 영토입니다(....... kemukemu1 2009-05-07 474 0
135 타케시마는 일본의 영토입니다(’|“....... kemukemu1 2009-05-07 1316 0
134 독일의 나치당원이 일본의 난징 대학....... 카르페디엠 2009-05-07 488 0
133 여러 사학자들이 한일역사 관계 의견 jjangggae 2009-05-07 463 0
132 日本は韓国の属国 jjangggae 2009-05-06 493 0
131 百済の奴隷日本 jjangggae 2009-05-06 258 0
130 분별있는 일본인. drosophilas 2009-05-06 223 0
129 일본욕을 배워보자 neet09 2009-05-05 180 0
128 yamato라는 국명도 古조선 부족국가의 ....... myvody 2009-05-03 173 0
127 중국/양직공도[梁職貢圖](백제/왜국)....... secret2733 2009-05-03 176 0
126 (중국)신당서 왜국전이 기록된 왜국 secret2733 2009-05-02 200 0
125 대한민국의 자존심과 동정과 蹂躪 유....... mrbin2 2009-05-01 101 0
124 豚SIについての討論(この文は100%日本....... HiphopLee 2009-04-30 82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