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일의 항구도시 오사카는
고대 행정 지명이 ‘구다라스’(百濟洲·백제주)였다. 1922년 자료에 따르면, 일본이 한국을 강점한 1910년까지만 해도 이 지역에는 ‘구다라고리’(百濟郡·백제군)와 ‘기타구다라손’(北百濟村·북백제촌), ‘미나미구다라손’(南百濟村·남백제촌) 등이 널리 존재했다. 도쿄 치도세고교
역사학자 이시와타리 신이치로(石渡信一郞)는 “구다라고리의 ‘고리’라는 말은 한국어의 ‘고을’에서
생긴 표현”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구다라스 왜왕실에서
일종의 교육장관인
가후치노후미노오비토(西文首)를 지낸 백제인 왕인 박사는 ‘고금집’(905)에서 오사카 항구를 ‘나니와쓰’(難波津·난파진)라 최초로 표현했다.
오사카 남쪽 번화가인 ‘난바’(難波, ‘나니와’로도 부름. )에 그 지명이 남아 있다.
또 필자가 발굴한 1098년 구다라스 고지도에도 현재 오사카 시내 한복판인 구다라초(久太郞町) 지역이 구다라리(久太郞里)로 명기돼 있다.
구다라초 동남쪽에 위치한 ‘시텐노지’(四天王寺·사천왕사)는 고대 ‘백제 여승 사찰’(百濟尼寺) 유적 발굴로 유명해진 곳이다.
시텐노지는 고대 백제로부터 건너온 ‘니승(尼僧)’이라는 수많은 왕족 또는 귀족 출신 여승들이 구다라스의 나니와쓰에 있는 백제인 왜왕실 관할 ‘백제니사’에 살면서 왜인들에게 불교를 널리 전파했던 곳이다. 1996년 12월 ‘사이쿠다니 유적 발굴 조사’를 통해 유명해졌다.
하지만 백제니사 유적은 현재 그 자취가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새 도로와 35층짜리 아파트 건설 공사로 굉음만이 들린다. 오사카시 문화재협회의 사쿠라이 히자유키(櫻井久之)는 “고대 백제 여승의 터전으로 당시의 백제 그릇을 포함해 각종 유물과 우물터가 발견된 이 지역은 2002년부터 시작된 개발로 옛 흔적이 거의 남아 있지 않다”고 아쉬워했다.
‘사이쿠다니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 100여 점 중 일부는 현재 오사카역사박물관 전시실 유리창 진열대 속에 조용히 놓여 있다.
당시 완전한 형태로 발굴된 토기는 30여 점이며, 2개의 항아리(지름 26cm, 높이 18cm)에는 백제 여승들의 사찰 명칭인 ‘백제니’(百濟尼)와 ‘백니’(百尼)라는 먹글씨가 또렷하다. 또 5개의 접시(지름 16∼20㎝)의 바닥면에도 이 같은 먹글씨가 적혀 있다.
교토부립대학 사학과 가도와키 데이지(門脇禎二) 교수는 “이곳에서 ‘백제니사’의 존재가 토기면의 붓글씨(묵서)와 기와들의 발굴로 확인된 것은 매우 가치가 큰 백제 불교의 지대한 영향력을 입증한다”면서 “특히 백제 여승의 친아버지 이름이 적힌 나무패(목간) 통행증명서가 발굴된 것은 매우 주목할 만한 것으로, 당시 이곳에는 남승을 비롯한 일반 남성들 통행이 금지됐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목간에 쓰인 글자는 ‘상화니부남부왕구지’(上和尼父南部王久支)인데, ‘상화’는 여승의 이름이고 ‘구지’는 아버지의 이름으로 추정된다고 가도와키 교수가 설명했다. 하지만 필자는 상화니(上和尼)가 ‘백제왕족인 화씨 가문 여승이며 승직의 계급이 상좌 승려’로 간주하고 싶다. 당시의 승려는 왕족이나 귀족 가문의 자제만이 될 수 있었으며, 더구나 화(和·야마토)씨는 6세기 초 백제 제25대 무령왕(501∼523 재위) 왕실의 왕성(王姓)이었으므로(연재 43회 참조) 백제니사에 건너갔던 최고위 승려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사이쿠다니 유적’ 발굴 현장은 35층짜리 고층아파트 공사가 한창이다. |
이와 함께 목간은 여승들만의 백제니사 사찰 출입용 통행증명서라기보다는 신분증명서인 ‘호패’가 아닌가 한다. 호패에 적혀 있는 아버지의 신분은 백제 남부 지역을 관할한 왕족 구지(久支)였으며 ‘왕’이라는 글자는 ‘왕족’을 일컫는 것일 수 있기 때문이다. 교토대학 사학과 우에다 마사아키(上田正昭) 교수 역시 필자에게 보낸 편지에서 이 같은 입장을 밝힌 바 있다.
뿐만 아니라 1997년 사이쿠다니 유적 발굴조사 현지 설명회에서 “이곳은 당시 왕궁 ‘난바궁’(難波宮) 다이교쿠덴(太極殿) 전각으로부터 동남쪽으로 불과 2㎞ 떨어진 스자쿠대로(朱雀大路)에 위치한다”는 점이 주목됐다. 당시 발굴 주최였던 오사카시 교육위원회는 “백제니, 백니사라고 적힌 나라시대 토기가 발견된 것은 구다라지와 함께 이곳 사이쿠다니 유적도 ‘구다라오씨’(百濟王氏·백제왕씨)에 의해 경영된 사원으로 여겨진다”고 보고했다.
◇발굴된 백제식 수막새와 암키와.(맨위) 니사(尼寺)라는 먹글씨가 적혀있는 밥그릇(가운데)과 유물이 보관된 오사카박물관 |
사이쿠다니 유적에서는 백제니사를 고고학적으로 입증하는 다수의 먹글씨 토기를 비롯해 기와지붕 대마루 양쪽 끝을 장식하는 백제식 망새(치미)와 기와들도 출토됐다.
또 장식용 금귀고리와 구리쇠 팔찌, 목제 빗과 함께 당대 엽전과 엽전 장식물 등 당시 백제니들의 풍족한 생활상을 밝혀주는 다양한 유물이 쏟아져 세인을 경탄시켰다. 특히 여승들이 사용한 우물터(1.7×1.5m, 깊이 2.0m)도 발굴됐는데 이 우물터에서는 소, 말, 쥐, 개구리, 정어리 뼈도 출토됐다.
백제 여승들이 왜나라 백제계 왕실로 건너갔다는 역사기록은 다음과 같다. “비타쓰왕(敏達·572∼585 재위) 6년(577년) 10월에, 백제국으로부터 왕족인 대별왕(大別王)이 경론을 가지고 왔다. 아울러 율사(律師)·선사(禪師)·비구니(比丘尼)·금사(禁師)·조불공(造佛工)·조사공(造寺工) 등 6명도 건너왔다. 그들은 나니와의 대별왕사(大別王寺)에 살게 되었다.”([扶桑略記])
기록에 따르면 고대 일본의 백제인 왜왕이었던 비타쓰왕은 본국 백제로부터 왕족 대별왕과 함께 여승들도 초청했다. 조불공 등 사찰 건축가들은 이들을 위해 나니와 왕궁 지역에 한국 건축 양식의 사찰을 세우고 불상도 주조해 입주토록 했다. 오사카시 교육위원회는 최초 백제 비구니 사찰 건립시기를 7세기, 아스카(飛鳥·593∼645)시대로 추정된다고 봤다. 물론 그 최초의 여승이 누구인지 알 길은 없으나 어쩌면 사이쿠다니 유적에서 호패가 발굴된 ‘상화니’일지도 모른다.
사이쿠다니 유적 내 백제 비구니 절터로부터 동쪽으로 불과 400m 떨어진 곳에는 백제 사찰로 추정되는 도가시바지(東ケ芝寺)터도 있다. 고대 백제에서는 비구니 사찰을 일반 사찰과 이웃해 지었을 것으로 미뤄 짐작해 본다.
이에 대해 교토대학의 우에하라 마토(上原眞人) 교수는 “사찰을 비구니 사찰과 함께 건축하는 것은 백제의 사찰 제도를 모방한 것으로 보이며, 이번 토기 발굴은 사찰제도 연구에 귀중한 자료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백제 건축가들이 백제 왕족 대별왕을 따라 왜나라에 건너가 불상을 만들고 사찰을 건축하고 그들이 가지고 간 불경으로 불교를 폭넓게 포교한 것은 다양한 역사자료로 고증되고 있다. 특히 577년 대별왕사 건립은 538년에 백제 제26대 성왕이 왜나라 조정에다 불상과 경론, 불구를 보내준 이래 40년 만에 이룬 쾌거라 할 만하다.
하지만 이후 10년 만인 587년, 왜왕실의 군사 담당관 모노노베노 모리야(物部守屋·?∼587) 대련이 백제 불교에 반기를 들고 훼불 사건을 저지른다. 왜왕실의 최고 대신이며 숭불파(崇佛派)인 우대신(右大臣) 소가노 우마코(蘇我馬子·?∼626)는 587년 9월, 백제 왕실로부터 왜왕실로 보내준 미륵보살 석상과 불상을 아스카땅의 이시카와 구다라노무라(石川百濟村)에 있는 자택에 모시고 불전을 세웠다. 이것이 바로 ‘이시카와정사’(石川精舍)이다. 하지만 이에 불만을 품은 모노노베노 대련이 이시카와정사를 급습, 불전을 불사르고 훼불한 것이다. 그는 소가노 세력으로부터 파멸당한다.
◇‘사이쿠다니 유적’에서 발굴된 우물터(왼쪽)와 우물터의 가상 그림. |
이 시기는 백제 위덕왕(威德王·554∼·598) 때이다. 같은 해 11월엔 나니와의 구다라고리에다 시텐노지를 착공하게 된다. 현재 시텐노지에서 해마다 11월 3일 실시하는 ‘시텐노지 왓소 마쓰리’(四天王寺ワッソ祭·연재 45회 참조)는 백제 불교가 일본 오사카 백제 왕실에 건너온 것을 기념하는 데서 비롯됐다. 이때 주목해야 할 것은 587년 백제 불상 등을 세운 소가노 우마코 대신이 일본 최초의 ‘여승 수행자’ 3명을 이시카와정사에 불러들인 일이다.
여승 3명은 아스카 왕실의 백제인 불공 고관(鞍作村主)인 시메 다쓰토(司馬達等 6세기)의 딸 시마(嶋) 등 귀공녀였다. “시마는 젠신노아마(善信尼·선신니)라고 불렸으며 나머지 두 소녀는 젠조노아마(禪藏尼·선장니)와 에젠노아마(惠善尼·혜선니)로 호칭했다”(‘부상략기’)고 전해진다. 이들은 백제 사신 은솔 수신(恩率 首信)을 통해 본국 백제왕의 윤허를 받고 588년 백제로 유학을 떠난 지 3년 만인 590년 3월 귀국했다고 ‘일본서기’는 전한다. 이들은 아스카 도유라지(豊浦寺) 터전(현재)에 입주했다. 당시 도유라지에는 등극 전인 가시키야히메(뒷날의 스이코여왕·592∼628 재위) 공주가 살고 있었다. 사찰 명칭은 사쿠라이노데라(櫻井寺) 또는 고겐지(向原寺) 등 여러 이름으로 바뀌었다.
◇홍윤기 한국외대 교수 |
최근 백제 비구니 절터 일대를 취재한 일본 기자의 탐방 기사 중 지난 6일자의 한 대목을 소개한다.
“나라시대에 이 주변은 구다라노(百濟野)로 불렸다. 660년 조선반도에서 신라에 망한 백제인들이 건너와 살며 개척한 도래인의 땅이다. 나라시대로부터 헤이안시대에 걸쳐 구다라고리가 설치돼 있었으며, 히가시스미요시구에는 미나미구다라 소학교, 구다라대교, 화물역인 구다라역이 있다. 히라노강(平野川)은 구다라강으로 불리기도 했다.” (다음에 계속)
한국외대 교수
볷{묉덇궻`럖묈띲궼
뚀묆뛱맠뭤뼹궕 갻긐_깋긚갽(뷨띙뢊갋뷨띙뒗)궬궯궫. 1922봏럱뿿궸귝귡궴, 볷{궕듰뜎귩떗_궢궫 1910봏귏궳궸궢궲귖궞궻뭤덃궸궼 갻뷨띙|궚궕궺갽(뷨띙똕갋뷨띙똓)궴 갻긎^긐_깋깛갽(뻢뷨띙뫚갋뻢뵆맕뫚), 갻~긥~긐_깋깛갽(볦뷨띙뫚갋긥긫긞긏[`긅깛) 궶궵궕뛎궘뫔띪궢궫. 뱦떈`긤긜긕긎깈
쀰럍둾롌귽긘깗^깏Shinichi궳(먐뱊륪덇쁚)궼 갾뷨띙|궚궕궺궻 갻|궚궕궺갽궴궋궎뙻뾲궼듰뜎뚭궻 갻뫚갽궳
맯궣궫뙸갿궴뼻귞궔궸궢궫귟궢궫.
긐_깋긚`돞렭궳
덇롰궻떝덄뮮뒸궳궇귡
궕긲`긩|긲~긩|긆긮긣(맻빒롵)귩렩귟뛱궶궯궫뷨띙릐돞릐뵊럐궼 갻뚀뜞뢜갽(905)궳묈띲`귩 갻긥긦깗긚갽(볩봥뮼갋볩봨릛)궬궴띍룊궸뙸궢궫.
묈띲볦뫀붖됗둢궳궇귡 갻볩봥갽(볩봥, 갻긥긦궴갽궳귖됊궋. )궸궩궻뭤뼹궕럄궯궲궋귡.
귏궫뷢롌궕@귟뢯궢궫 1098봏긐_깋긚뚀뭤}궸귖뙸띪묈띲럖볙^귪뭷궳궇귡뷨띙룊(땦뫞쁚뮠) 뭤덃궕뷨띙뿢(땦뫞쁚뿢)궸뼾딯궠귢궲궋귡.
뷨띙룊뱦볦궻뺴궸댧궢궫 갻긘긡깛긩|궬갽(럏밮돞럾갋럏밮돞럷)궼뚀묆 갻뷨띙룛몀뜽@갽(뷨띙볬럾) 댿먘뵯@궳딁궕봽귢궫룋궬.
긘긡깛긩|긙궼뚀묆뷨띙궔귞뱊궯궲뿀궫 갻긦긚깛긐(볬몀)갽궴궋궎딎뫝궻돞뫎귏궫궼딲뫎뢯릆룛몀궫궭궕긐_깋긚궻긥긦깗긚궸궇귡뷨띙릐`돞렭듖뒐 갻뷨긙긃긦롊갽궸뺡궢궶궕귞`릐궫궭궸븾떝귩뛎궘`궑궫룋궬. 1996봏 12뙉 갻긖귽긏_궬궔귞댿먘뵯@궻뮧뜽갽귩믅궣궲딁궕봽귢궫.
궢궔궢뷨긙긃긦롊댿먘궼뙸띪궩궻뼹럄궕귌궴귪궵럄궯궲궋궶궋. 륷궢궋벞쁇궴 35둏댧궻귺긬[긣뙕먠뛊럷궳뜉돶궬궚궕빓궞궑귡. 묈띲럖빒돸띭떐됵궻Sakurai긭긗깇긌(랎덁땦봙)궼 갾뚀묆뷨띙룛몀궻딈붦궳뱰렄궻뷨띙딇귩듵귪궳둫롰댿븿궴덁뚈궻뤾궕뵯뙥궠귢궫궞궻뭤덃궼 2002봏궔귞럑귏궯궫둎뵯궳먎궻먘궕귌궴귪궵럄궯궲궋궶궋갿궴먋궢궕궯궫.
갻긖귽긏_궬궔귞댿먘갽궳뢯뱘궠귢궫댿븿 100]_궻뭷궳덇븫궼뙸띪묈띲쀰럍뵊븿듲긘깈[깑[긊깋긚몝뮻쀱묇궻뭷궸먄궔궸뭫궔귢궲궋귡.
뱰렄뒶멣궶`뫴궸뵯@궠귢궫뱘딇궼 30]_궳궇귟, 2뙿궻궔귕(뮳똞 26cm, 뛼궠 18cm)궸궼뷨띙룛몀궫궭궻뜽@뼹뤝궳궇귡 갻뷨띙궬궔귞갽(뷨띙볬)궴 갻긫긞긏긦갽(뷨볬)궴궋궎뻨럻궕궇궡귘궔궬. 귏궫 5뙿궻궓랱(뮳똞 16`20뇈)궻믨뽋궸귖궞궻귝궎궶뻨럻궕룕궔귢궲궋귡.
떈뱒{뿧묈둾럍둾됆궕긤깗긌긢[긙(뽩쁢믳볫) 떝롻궼 갾궞궭귞궳 갻뷨긙긃긦롊갽궻뫔띪궕뱘딇뽋궻뷢빒럻(뵎궯궲)궴뒧궫궭궻뵯@궳둴봃궠귢궫궞궴궼뷄륂궸돽뭠궕묈궖궋뷨띙븾떝궻궞궻뤵궶궘묈궖궋뎓떯쀍귩뿧뤪궥귡갿궴 갾벫궸뷨띙룛몀궻렳븗뼹멟궕룕궔귢궫긥긻(뽜뒼) 믅뛱뤪뼻룕궕뵯@궠귢궫궞궴궼뷄륂궸뭾뽞궥귡궸뭠궥귡궞궴궳, 뱰렄궞궭귞궸궼뭞몀귩듵귕궫덇붗뭞맜궫궭믅뛱궕뗕~궠귢궫궞궴궴뙥궑귡갿궴뙻궯궫.
뽜뒼궸럊귦귢궫럻궼 갻긖깛긐긲@긦긳긥긳깗깛긐긐궬갽(뤵쁝볬븗볦븫돞땦럛)궶궻궸, 갻룿됓갽궼룛몀궻뼹멟궳 갻땶뭤갽궼궓븗궠귪궻뼹멟궸릢믦궠귢귡궴궕긤깗긌떝롻궕먣뼻궢궫. 궢궔궢뷢롌궼룿됓궬궔귞(뤵쁝볬)궕 갻뷨띙돞뫎궳궇귡됗럞됄뽩룛몀귘몀륟궻둏땳궕뤵몀뿵갽궳뙥섙궢궫궋. 뱰렄궻몀뿵궼돞뫎귘딲뫎됄뽩궻렔맕궬궚궕궶귡궞궴궕궳궖궫궢, 궩궻뤵궸됌(쁝갋묈쁝)궠귪궼 6맊딬룊뷨띙묉25묆븧봋돞(501`523 띪댧) 돞렭궻돖맰(돞맗)궬궯궫궻궳(쁀띦 43됷랷뤖) 뷨긙긃긦롊궸뱊궯궫띍뛼댧몀뿵궴궋궎릢믦궕됀궬.
걻갻긖귽긏_궬궔귞댿먘갽 뵯@뙸뤾궼 35둏댧궻뛼몏귺긬[긣뛊럷궕맰귪궳궋귡. |
궞귢궴떎궸뽜뒼궼룛몀궫궭궬궚궻뷨긙긃긦롊뜽@뢯볺귟뾭믅뛱뤪뼻룕궴뙻궎귝귟궼릆빁뤪뼻룕궳궇귡 갻뜂봵갽궳궼궶궋궔궴뙻궎. 뜂봵궸룕궔귢궲궋귡궓븗궠귪궻릆빁궼뷨띙볦븫뭤덃귩듖뒐궢궫돞뫎땶뭤(땦럛)궳궇궯궫궢 갻돞갽궴궋궎럻궼 갻돞뫎갽귩뤝궑귡궞궴궳궇귡궞궴궕궳궖귡궔귞궬. 떈뱒묈둾럍둾됆UedaMasaaki(뤵밹맫뤊) 떝롻귘궼귟뷢롌궸몭궯궫롨럣궳궞궻귝궎궶뿧뤾귩뼻귞궔궸궢궫럷궕궇귡.
궬궚궳궶궘 1997봏긖귽긏_궬궔귞댿먘뵯@뮧뜽뙸뭤먣뼻됵궳 갾궞궭귞궼뱰렄돞{ 갻긥깛긫긐깛긐갽(볩봥{) _귽긎깈긏긢깛(뫞뗂밶) 멣둷궔귞뱦볦뺴귉귦궦궔 2뇉 뿇궭궫긚긗긏궵궓귟(롩맃묈쁇)궸댧궥귡갿궴뙻궎_궕뭾뽞궠귢궫. 뱰렄뵯@롥띊궬궯궫묈띲럖떝덄댬궼 갾뷨띙궬궔귞, 긫긞긏긦긖궴룕궔귢궫볖쀇렄묆뱘딇궕뵯뙥궠귢궫궞궴궼뷨띙럮궴궴귖궸궞궭귞긖귽긏_궬궔귞댿먘귖 갻뷨띙긆궠귪갽(뷨띙돞럞갋뷨띙돞궠귪)궸귝궯궲똮뎑궠귢궫롊덒궳럙귦귢귡갿궴뺪뜍궢궫.
걻뵯@궠귢궫뷨띙렜뒕뼂궻듩궴귺긌궴.(덇붥뤵) 긦긖(볬럾)궴궋궎뻨럻궕룕궔귢궲궋귡륣딇(궻뭷)궴댿븿궕뺎듖궠귢궫묈띲뵊븿듲 |
긖귽긏_궬궔귞댿먘궳궼뷨긙긃긦롊귩뛩뚀둾먒궸뿧뤪궥귡뫝릶궻뻨럻뱘딇귩듵귕궲뒧돫뜧묈뻸궳뿼뺴뼎귩륕귡뷨띙렜}깛긐긜(`~)궴뒧궫궭귖뢯뱘궠귢궫.
귏궫륕귟뾭뗠렓쀖궴긐깏긚긃긞쁱쀖, 뽜맶뗺궴궴귖궸뱰묆룷뵽궴룷뵽뭫븿궶궵뱰렄뷨긙긃긦궫궭궻뻃궔궶맯뒋귆귟귩뼻귞궔궸궢궲궘귢귡뫝뾩궶댿븿궕쀫귢뿇궭궲맊릐귩떶뭋궠궧궫. 벫궸룛몀궫궭궕럊궯궫덁뚈궻뤾(1.7~1.5m, [궘 2.0m)귖뵯@궠귢궫궕궞궻덁뚈궻뤾궳궼뤐, 뙻뾲, 멿, ^, 궋귦궢띇궋궲귖뢯뱘궠귢궫.
뷨띙룛몀궫궭궕긂긃긥궬궴뷨띙똚돞렭궸뱊궯궫궴궋궎쀰럍딯^궼렅궻귝궎궬. 갾긮^긚깗깛긐(븇쓠E572`585 띪댧) 6봏(577봏) 10뙉궸, 뷨띙뜎궔귞돞뫎궳궇귡뫱빶돞(묈빶돞)궕똮_귩렃궯궲뿀궫. 벏렄궸뿥럗(뿥럗)갋긵깒[깛긣(멦럗)갋볬(붶땥볬)갋뗠롋(뗕럗)갋]긳깑긕깛긐(몾븾뛊)갋]긖긕깛긐(몾럾뛊) 궶궵 6릐귖뱊궯궲뿀궫. 붯귞궼긥긦궴궻뫱빶돞럷(묈빶돞럾)궸뺡궥귝궎궸궶궯궫.갿([}똊뿪딯])
딯^궸귝귢궽뚀묆볷{궻뷨띙릐`돞궬궯궫긮^긚깗깛긐궼{뜎뷨띙궔귞돞뫎뫱빶돞궴궴귖궸룛몀궫궭귖뤅뫲궢궫. ]긳깑긕깛긐궶궵뜽@뙕뭱됄궫궭궼궞귢귞궻궫귕궸긥긦궴돞{뭤덃궸듰뜎뙕뭱뾩렜궻뜽@귩뙕궲궲븾몴귖뮃몾궢궲볺땹궥귡귝궎궸궢궫. 묈띲럖떝덄댬궼띍룊뷨띙붶땥궬궔귞뜽@뙕뿧렄딖귩 7맊딬, 뷅뮰(뷅뮰갋593`645)렄묆궸릢믦궠귢귡궴럙궯궫. 귖궭귣귪궩궻띍룊궻룛몀궕묿궶궻궔뿊벞궼궶궋궕귖궢궔궢궫귞긖귽긏_궬궔귞댿먘궳뜂봵궕뵯@궠귢궫 갻룿됓궬궔귞갽궔귖뭢귢궶궋.
긖귽긏_궬궔귞댿먘볙뷨띙붶땥궬궔귞럾궻먘궔귞벖뺴귉귦궦궔 400m 뿣귢궫룋궸궼뷨띙뜽@궸릢믦궠귢귡벞됊긘깞@궬(뱦긑렽럾)뢯궲귖궇귡. 뚀묆뷨띙궳궼붶땥궬궔귞뜽@귩덇붗궓럾궴쀗뜃귦귢궫궞궴궳릢궢궲뙥뱰귩궰궚궲뙥귡.
궞귢궸뫮궢궲떈뱒묈둾궻긂긄궢궶궠궋}긣(뤵뙱^릐) 떝롻궼 갾궓럾귩붶땥궬궔귞뜽@궴궴귖궸뙕뭱궥귡궞궴궼뷨띙궻뜽@맕뱗귩뽎뺥궢궫귝궎궸뙥궑궲, 뜞뱗뱘딇뵯@궼뜽@맕귖뙟땰궸딲뢣궶럱뿿궸궶귡궞궴갿궴뙻궯궫.
뷨띙뙕뭱됄궫궭궕뷨띙돞뫎뫱빶돞궸븊궋궲긂긃긥깋궸뱊궯궲븾몴귩띿궯궲뜽@귩뙕뭱궢궲붯귞궕렃궯궲뛱궘븾똮궳븾떝귩븴뛎궘븓떝궢궫궞궴궼뫝뾩궶쀰럍럱뿿궸뛩뤪궠귢궲궋귡. 벫궸 577봏뫱빶돞럷뙕뿧궼 538봏궸뷨띙묉26묆맰돖궕긂긃긥궬궴뮧맢궸븾몴궴똮_, 븉뗰귩몭궯궲궘귢궫댥뿀 40봏귆귟궸맟궢궫됻땽궬궴궥귡궸뭠궥귡.
궢궔궢댥뚣 10봏귆귟궻 587봏, `돞렭궻똓럷뭆뱰뒸긾긩|긩|긹긩|륺궶궻(븿븫롧돫갋?`587) 뫮쁀궕뷨띙븾떝궸뵿딒귩궇궛궲긲긃긳깑럷뙊귩귘귞궔궥. `돞렭궻띍뛼묆귦귟귘릳븾봦(릳븾봦)궳궇귡긂긢긘깛(덭묈륿) 룷됄뻦땷봭궢궲(멻됦봭럔갋?`626)궼 587봏 9뙉, 뷨띙돞렭궔귞`돞렭궳몭궯궲궘귢궫뽱腕뺤랥먐몴궴븾몴귩귺긚긇^깛긐궻먐먯뷨띙쁉뼮궬궴(먐먯뷨띙뫚)궸궇귡렔묔궸럅궑궲븾밫귩뙕궲궫. 궞귢궕귏궠궸 갻먐먯륃럷갽(먐먯맱q)궬. 궢궔궢궞궞궸븉뼖귩됶궘궞궴궼긾긩|긩|긹긩|뫮쁀궕먐먯륃럷귩}뢕, 븾밫귩봕귘궢궲긲긃긳깑궢궫궻궬. 붯궼룷됄뻦맖쀍궔귞봨뽅궠귢귡.
걻갻긖귽긏_궬궔귞댿먘갽궳뵯@궠귢궫덁뚈궻뤾(뜺뫀)궴덁뚈궻뤾궻돹몒둋. |
궕렄딖궼뷨띙댭벩돞(댭벩돞갋554`갋598) 렄궳궇귡. 벏봏 11뙉궸궼긥긦궴궻뷨띙|궚궕궺궸긘긡깛긩|긙귩뭶뛊궥귡귝궎궸궶귡. 뙸띪긘긡깛긩|긙궳뻽봏 11뙉 3볷렳{궥귡 갻럏밮돞럾깗긞}긚깏갽(럏밮돞럾깗긞띟갋쁀띦 45됷랷뤖)궼뷨띙븾떝궕볷{묈띲뷨띙돞렭궸뱊궯궲뿀궫궞궴귩딯봑궥귡궞궴궔귞럑귏궯궫. 궞궻렄뭾뽞궢궶궚귢궽궶귞궶궋궞궴궼 587봏뷨띙븾몴궶궵귩뿧궲궫룷됄뻦땷봭궢궲묆귦귟궕볷{띍룊궻 갻룛몀뢇뛱롌갽 3릐귩먐먯륃럷궸뚁귂볺귢궫럷궬.
룛몀 3릐궼뷅뮰돞렭궻뷨띙릐븾떉뛼뒸(댣띿뫚롥)궳궇귡긘긽_긚긣(럌봭쓶 6맊딬)궻뼷긘}(뱢) 궶궵긐귻긕깛긐긦깈궬궯궫. 갾긘}궼[깛긘깛긩|귺}(멠륪볬갋깛긘깛긦)궴뚁궽귢궫궢럄귟볫릐궻룺룛궼[깛]긩|귺}(멦몺볬갋깛긗깛긐긦)궴긄[깛긩|귺}(똟멠볬갋긭긃깛긦)궳뤝궢궫갿(갻긳긖깛긐깏긿긞긏긎갽)궳`귦귡. 궞귢귞궼뷨띙뢟귪궬긂깛깑롷륪(돳뿦 롵륪)귩믅궣궲{뜎뷨띙돞궻덏떀귩롷궚궲 588봏뷨띙궳뿯둾귩뛱궯궲궔귞 3봏귆귟궻 590봏 3뙉딞뜎궢궫궴 갻볷{룕딬갽궼`궑귡. 궞귢귞궼뷅뮰밾뽿궬궯궲(뻃뎋럾) 딈붦(뙸띪)궸볺땹궢궫. 뱰렄밾뽿깋[긙궸궼뱋뗂멣릐궕긘긌깂긭긽(뼌궻볷궻긚귽긓룛돞갋592`628 띪댧) 뚺뢆궕뢟귪궳궋궫. 뜽@뼹뤝궼긖긏깋귽긩|긢궬궴(랎덁럾) 귏궫궼뚉뙍럌(뛀뙱럾) 궶궵뫝궘궻뼹멟궸빾귦궯궫.
걻긼깛갋깇깛긎듰뜎둖묈떝롻 |
띍뗟뷨띙붶땥궬궔귞럾궻먘덇뫱귩롦띫궢궫볷{딯롌궻뭈뻂딯럷궻뭷궳땸귡 6볷븊궚궻덇룕궖볺귢렄귩뤢됳궥귡.
갾볖쀇렄묆궸궞궻뢂뺃궼긐_깋긩|(뷨띙뽰)궴뚁궽귢궫. 660봏뮝멞뵾뱡궳륷뾽궸뽅귂궫뷨띙릐궫궭궕뱊궯궲뿀궲뺡궢궶궕귞둎묗궢궫뱸뿀릐궻뭤궬. 볖쀇렄묆궔귞빟댝렄묆궸궔궚궲뷨띙|궚궕궺궕먠뭫궠귢궲궋궫궢, 긭궕긘긚~깉긘긐궸궼Minami뷨띙룷둾뛝, 뷨띙묈떞, 됞븿뽴궳궇귡뷨띙뽴궕궇귡. 긭깋긩|긊깛긐(빟뽰먯)궼긐_깋긊깛긐궴뚁궽귢궫귟궢궫.갿 (렅궸덙궖뫏궖)
듰뜎둖묈떝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