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1 독립선언문
1. 吾等(오등)은 玆(자)에 我(아) 朝鮮(조선)의 獨立國(독립국)임과 朝鮮人(한국인)의 自主民(자주민)임을 宣言(선언)하노라. 此(차)로써 世界萬邦(세계 만방)에 告(고)하야 人類平等(인류 평등)의 大義(대의)를 克明(극명)하며, 此(차)로써 子孫萬代(자손만대)에 誥(고)하야 民族自存(민족 자존)의 政權(정권)을 永有(영유)케 하노라.
2. 半萬年(반만년) 歷史(역사)의 權威(권위)를 仗(장)하야 此(차)를 宣言(선언)함이며, 二千萬(이천만) 民衆(민중)의 誠忠(성충)을 合(합)하야 此(차)를 佈明(포명)함이며, 民族(민족)의 恒久如一(항구여일)한 自由發展(자유발전)을 爲(위)하야 此(차)를 主張(주장)함이며, 人類的(인류적) 良心(양심)의 發露(발로)에 基因(기인)한 世界改造(세계개조)의 大機運(대기운)에 順應幷進(순응병진)하기 爲(위)하야 此(차)를 提起(제기)함이니, 是(시)ㅣ 天(천)의 明命(명명)이며, 時代(시대)의 大勢(대세)ㅣ며, 全人類(전 인류) 共存 同生權(공존 동생권)의 正當(정당)한 發動(발동)이라, 天下何物(천하 하물)이던지 此(차)를 沮止抑制(저지 억제)치 못할지니라.
3. 舊時代(구시대)의 遺物(유물)인 侵略主義(침략주의), 强權主義(강권주의)의 犧牲(희생)을 作(작)하야 有史以來(유사이래) 累千年(누천 년)에 처음으로 異民族(이민족) 箝制(겸제)의 痛苦(통고)를 嘗(상)한 지 今(금)에 十年(십 년)을 過(과)한지라. 我(아) 生存權(생존권)의 剝喪(박상)됨이 무릇 幾何(기하)ㅣ며, 心靈上(심령상) 發展(발전)의 障애(장애)됨이 무릇 幾何(기하)ㅣ며, 民族的(민족적) 尊榮(존영)의 毁損(훼손)됨이 무릇 幾何(기하)ㅣ며, 新銳(신예)와 獨創(독창)으로써 世界文化(세계문화)의 大潮流(대조류)에 寄與補裨(기여보비)할 奇緣(기연)을 遺失(유실)함이 무릇 幾何(기하)ㅣ뇨.
4. 噫(희)라, 舊來(구래)의 抑鬱(억울)을 宣暢(선창)하려 하면, 時下(시하)의 苦痛(고통)을 파탈하려하면 장래의 협위를 삼제하려 하면, 民族的(민족적) 良心(양심)과 國家的(국가적) 廉義(염의)의 壓縮銷殘(압축소잔)을 興奮伸張(흥분신장)하려 하면, 各個(각개) 人格(인격)의 正當(정당)한 發達(발달)을 遂(수)하려 하면, 可憐(가련)한 子弟(자제)에게 苦恥的(고치적) 財産(재산)을 遺與(유여)치 안이하려 하면, 子子孫孫(자자손손)의 永久完全(영구완전)한 慶福(경복)을 導迎(도영)하려 하면, 最大急務(최대급무)가 民族的(민족적) 獨立(독립)을 確實(확실)케 함이니, 二千萬(이천만) 各個(각개)가 人(인)마다 方寸(방촌)의 刃(인)을 懷(회)하고, 人類通性(인류통성)과 時代良心(시대양심)이 正義(정의)의 軍(군)과 人道(인도)의 干戈(간과)로써 護援(호원)하는 今日(금일), 吾人(오인)은 進(진)하야 取(취)하매 何强(하강)을 挫(좌)치 못하랴. 退(퇴)하야 作(작)하매 何志(하지)를 展(전)치 못하랴.
5. 丙子修好條規(병자 수호 조규) 以來(이래) 時時種種(시시종종)의 金石盟約(금석맹약)을 食(식)하얏다 하야 日本(일본)의 無信(무신)을 罪(죄)하려 안이 하노라. 學者(학자)는 講壇(강단)에서, 政治家(정치가)는 實際(실제)에서, 我(아) 祖宗世業(조종세업)을 植民地視(식민지시)하고, 我(아) 文化民族(문화민족)을 土昧人遇(토매인우)하야, 한갓 征服者(정복자)의 快(쾌)를 貪(탐)할 뿐이오, 我(아)의 久遠(구원)한 社會基礎(사회기초)와 卓락(탁락)한 民族心理(민족심리)를 無視(무시)한다 하야 日本(일본)의 少義(소의)함을 責(책)하려 안이 하노라. 自己(자기)를 策勵(책려)하기에 急(급)한 吾人(오인)은 他(타)의 怨尤(원우)를 暇(가)치 못하노라. 現在(현재)를 綢繆(주무)하기에 急(급)한 吾人(오인)은 宿昔(숙석)의 懲辯(징변)을 暇(가)치 못하노라.
6. 今日(금일) 吾人(오인)의 所任(소임)은 다만 自己(자기)의 建設(건설)이 有(유)할 뿐이오, 決(결)코 他(타)의 破壞(파괴)에 在(재)치 안이하도다. 嚴肅(엄숙)한 良心(양심)의 命令(명령)으로써 自家(자가)의 新運命(신운명)을 開拓(개척)함이오, 決(결)코 舊怨(구원)과 一時的(일시적) 感情(감정)으로써 他(타)를 嫉逐排斥(질축배척)함이 안이로다. 舊思想(구사상), 舊勢力(구세력)에 기미(기미)된 日本(일본) 爲政家(위정가)의 功名的(공명적) 犧牲(희생)이 된 不自然(부자연), 又(우) 不合理(불합리)한 錯誤狀態(착오상태)를 改善匡正(개선광정)하야, 自然(자연),又(우) 合理(합리)한 政經大原(정경대원)으로 歸還(귀환)케 함이로다.
7. 當初(당초)에 民族的(민족적) 要求(요구)로서 出(출)치 안이한 兩國倂合(양국병합)의 結果(결과)가,畢竟(필경) 姑息的(고식적) 威壓(위압)과 差別的(차별적) 不平(불평)과 統計數字上(통계숫자상) 虛飾(허식)의 下(하)에서 利害相反(이해상반)한 兩(양) 民族間(민족간)에 永遠(영원)히 和同(화동)할 수 없는 怨溝(원구)를 去益深造(거익심조)하는 今來實積(금래실적)을 觀(관)하라. 勇明果敢(용명과감)으로써 舊誤(구오)를 廓正(확정)하고,眞正(진정)한 理解(이해)와 同情(동정)에 基本(기본)한 友好的(우호적) 新局面(신국면)을 打開(타개)함이 彼此間(피차간) 遠禍召福(원화소복)하는 捷徑(첩경)임을 明知(명지)할 것 안인가.
8. 또 二千萬(이천만) 含憤蓄怨(함분축원)의 民(민)을 威力(위력)으로써 拘束(구속)함은 다만 東洋(동양)의 永久(영구)한 平和(평화)를 保障(보장)하는 所以(소이)가 안일 뿐 안이라, 此(차)로 因(인)하야 東洋安危(동양안위)의 主軸(주축)인 四億萬(사억만) 支那人(지나인)의 日本(일본)에 對(대)한 危懼(위구)와 猜疑(시의)를 갈스록 濃厚(농후)케 하야, 그 結果(결과)로 東洋(동양) 全局(전국)이 共倒同亡(공도동망)의 悲運(비운)을 招致(초치)할 것이 明(명)하니, 今日(금일) 吾人(오인)의 朝鮮獨立(조선독립)은 朝鮮人(한국인)으로 하여금 邪路(사로)로서 出(출)하야 東洋(동양) 支持者(지지자)인 重責(중책)을 全(전)케 하는 것이며, 支那(지나)로 하여금 夢寐(몽매)에도 免(면)하지 못하는 不安(불안),恐怖(공포)로서 脫出(탈출)케 하는 것이며, 또 東洋平和(동양평화)로 重要(중요)한 一部(일부)를 삼는 世界平和(세계평화), 人類幸福(인류행복)에 必要(필요)한 階段(계단)이 되게 하는 것이라. 이 엇지 區區(구구)한 感情上(감정상) 問題(문제)ㅣ리오.
9. 아아, 新天地(신천지)가 眼前(안전)에 展開(전개)되도다. 威力(위력)의 時代(시대)가 去(거)하고 道義(도의)의 時代(시대)가 來(내) 하도다. 過去(과거) 全世紀(전세기)에 鍊磨長養(연마장양)된 人道的(인도적) 精神(정신)이 바야흐로 新文明(신문명)의 曙光(서광)을 人類(인류)의 歷史(역사)에 投射(투사)하기 始(시)하도다. 新春(신춘)이 世界(세계)에 來(내)하야 萬物(만물)의 回蘇(회소)를 催促(최촉)하는도다. 凍氷寒雪(동빙한설)에 呼吸(호흡)을 閉蟄(폐칩)한 것이 彼一時(피일시)의 勢(세)ㅣ라 하면 和風暖陽(화풍난양)에 氣脈(기맥)을 振舒(진서)함은 此一時(차일시)의 勢(세)ㅣ니, 天地(천지)의 復運(복운)에 際(제)하고 世界(세계)의 變潮(변조)를 乘(승)한 吾人(오인) 아모 주躇(주저)할 것 업스며, 아모 忌憚(기탄)할 것 업도다. 我(아)의 固有(고유)한 自由權(자유권)을 護全(호전)하야 生旺(생왕)의 樂(낙)을 飽享(포향)할 것이며, 我(아)의 自足(자족)한 獨創力(독창력)을 發揮(발휘)하야 春滿(춘만)한 大界(대계)에 民族的(민족적) 精華(정화)를 結紐(결뉴)할지로다.
10.吾等(오등)이 滋(자)에 奪起(분기)하도다. 良心(양심)이 我(아)와 同存(동존)하며 眞理(진리)가 我(아)와 幷進(병진)하는도다. 男女老少(남녀노소) 업시 陰鬱(음울)한 古巢(고소)로서 活潑(활발)히 起來(기래)하야 萬彙군象(만휘군상)으로 더부러 欣快(흔쾌)한 復活(복활)을 成遂(성수)하게 되도다. 千百世(천 백세) 祖靈(조령)이 吾等(오등)을 陰佑(음우)하며 全世界(전세계) 氣運(기운)이 吾等(오등)을 外護(외호)하나니, 着手(착수)가 곳 成功(성공)이라. 다만, 前頭(전두)의 光明(광명)으로 驀進(맥진)할 따름인뎌.
公約三章(공약 삼 장)
-. 今日(금일) 吾人(오인)의 此擧(차거)는 正義(정의), 人道(인도),生存(생존),尊榮(존영)을 爲(위)하는 民族的(민족적) 要求(요구)ㅣ니, 오즉 自由的(자유적) 精神(정신)을 發揮(발휘)할 것이오, 決(결)코 排他的(배타적) 感情(감정)으로 逸走(일주)하지 말라.
-. 最後(최후)의 一人(일인)까지, 最後(최후)의 一刻(일각)까지 民族(민족)의 正當(정당)한 意思(의사)를 快(쾌)히 發表(발표)하라.
-. 一切(일체)의 行動(행동)은 가장 秩序(질서)를 尊重(존중)하야, 吾人(오인)의 主張(주장)과 態度(태도)로 하여금 어대까지던지 光明正大(광명정대)하게 하라.
( `(Å)´) 지금 생각하면 머리 회전이 빨랐던 때 였던 것 같은..
3.1 벲뿧먬뙻빒
1. 뚡뱳(뚙뱳)궼 深(믦뽜)궸 됦() 뮝멞(뮝멞)궻 벲뿧뜎(벲뿧뜎)궓궞귡궞궴궴 뮝멞릐(뮝멞릐)궻 렔롥뼬(렔롥뼬)궳궇귡궞궴귩 먬뙻(먬뙻)궥귡. 뜜(롎)궴궢궲 맊둉뼔뻄(맊둉뼔뺴)궸 뜍(뚉)돷뽰 릐쀞빟뱳(릐쀞빟뱳)궻 묈`(묈`)귩 뜋뼻(뜋뼻)궢궲, 뜜(롎)궴궢궲 럔뫕뼔묆(럔뫕뼔묆)궸 t(뚉)돷뽰 뼬뫎렔뫔(뼬뫎렔뫖)궻 맠뙛(맠뙛)귩 뎘뾎(쀌뾎)궥귡귝궎궸궥귡.
2. 뵾뼔봏(뵾뼔봏) 쀰럍(쀰럍)궻 뙛댭(뙛댭)귩 샏(뤞)돷뽰 뜜(롎)귩 먬뙻(먬뙻)긪궳궇귟, 볫먪뼔(뿕먯궬궚) 뼬뢔(뼬뢔)궻 맼뭺(맟뭿)귩 뜃(뜃)돷뽰 뜜(롎)귩 겕뼻(|~깈깛긐)긪궳궇귟, 뼬뫎(뼬뫎)궻 뛒땦@덇(`볷]귟)덇 렔뾕뵯밯(렔뾕뵯밯)귩 댴(뤵)돷뽰 뜜(롎)귩 롥뮗(롥뮗)긪궳궇귟, 릐쀞밒(릐쀞밒) 쀇륲(쀇륲)궻 뵯쁈(뵯쁈)궸 딈덓(딳덓)덇 맊둉둂몾(맊둉둂몾)궻 묈@^(묈@^)궸 룈돒쏍릋(룈돒빘릋)됂딖 댴(뤵)돷뽰 뜜(롎)귩 믯딳(궢뿧궲)긪궬궔귞, 맓(렄) 밮(븓뭤)궻 뼻뼺(뼺뼹)궳, 렄묆(렄묆)궻 묈맖(묈맖)궳궇귟, 멣릐쀞(멣릐쀞) 떎뫔 벏맯뙛(떎뫔믫(뻺)뙒)궻 맫뱰(맠})덇 뵯벍(뵯벍)궴, 밮돷돺븿(밮돷됖븿)띦궧궲궋궫궔 뜜(롎)귩 윘~}맕(멽~}맕)맇궳궖궶궔귣궎.
3. 땶렄묆(땶렄묆)궻 댿븿(댿븿)궳궇귡 륬뿪롥`(륬뿪뒗궻), 떗뙛롥`(떗뙛뒗궻)궻 錫맮(]맮)귩 띿(띿)돷뽰 뾎럍댥뿀(뾎럍댥뿀) 쀝먪봏(쀝먪봏)궸룊귕궲 댶뼬뫎(댶뼬뫎) 狩맕(롫맕)궻 믃뗪(믅뜍)귩 룱(뤵)듰럣 뜞(뗠)궸 봏(봏)귩 됡(궴)듰럣궬궴. 됦() 맯뫔뙛(맯뫔뙛)궻 뵇몉(뻪뤜)궸궶귡궞궴궕}궩 딎돺(딎돺)궳궇귟, 륲쀬뤵(륲쀬뤵) 뵯밯(뵯밯)궻 뤳럔(뤳둙)궸궶귡궞궴궕}궩 딎돺(딎돺)궳궇귟, 뼬뫎밒(뼬뫎밒) 뫖뎗(긙깈깛깂깛긐)궻 싇뫗(싇뫗)궸궶귡궞궴궕}궩 딎돺(딎돺)궳궇귟, 륷뎤(륷릐)궴 벲몁(벲룯)궴궢궲 맊둉빒돸(맊둉빒돸)궻 묈뮞뿬(뫮뤖쀞)궸 딋^뺚彦(딋^{긮[)궥귡 딉뎼(@뎼)귩 댿렪(댿렪)궥귡궞궴궕}궩 딎돺(딎돺)긦깈.
4. (딆)궬궴, 땶뿀(땶뿀)궻 }웆(}궎궰)귩 먬뮜(먩룯)궢귝궎궴럙궑궽, 렄돷(럹돷)궻 뗪믃(뗪믃)귩긬^깑궢귝궎궴럙궑궽룶뿀궻떧댭귩랳믺궢귝궎궴럙궑궽, 뼬뫎밒(뼬뫎밒) 쀇륲(쀇륲)궴 뜎됄밒(뜎됄밒) 쀵`(봑댰)궻 댊뢫惡럄(댊뢫뤑럄갋띂럄)귩 떩빋륧뮗(떩빋릆궻뤶)궢귝궎궴럙궑궽, 둫뙿(둫뙿) 릐둰(릐둰)궻 맫뱰(맠})덇 뵯(뵯묪)귩 릩(릣)궢귝궎궴럙궑궽, 됀쀷(닧귢)덇 럔믫(렔맕)궸 뗪뭦밒(귏귚밒) 띭럀(띭럀)귩 댿^(뾎])맇댝댲궸궢귝궎궴궥귢궽, 럔럔뫕뫕(럔럔뫕뫕)궻 뎘땦뒶멣(뎘땦뒶멣)덇 똠븶(똹븵)귩 벑}(벞뎑)궢귝궎궴럙궑궽, 띍묈}뼮(띍묈}뼮)궕 뼬뫎밒(뼬뫎밒) 벲뿧(벲뿧)귩 둴렳(둴렳)궥귡귝궎궸긪궬궔귞, 볫먪뼔(뿕먯궬궚) 둫뙿(둫뙿)궕 릐(귽깛)궟궴궸 뺴맇(뺴맇)궻 릒(귽깛)귩 됿(됷)궴, 릐쀞믅맜(릐쀞믅맜)궴 렄묆쀇륲(렄묆쀇륲)궕 맫`(맫`)궻 똓(똓)궴 릐벞(덙벑)궻 뒻쒢(듓됡)궴궢궲 뚯뎴(긼깗깛)궥귡 뜞볷(뜞볷), 뚡릐(뚮봃)궼 릋(`깛)돷뽰 롦(긟귻)긪긽 돺떗(돷~)귩 띇(뜺)맇궘궗궢귝궎궔. 뫿(긣긄)돷뽰 띿(띿)긪긽 돺럘(됂럧)귩 밯(럡궼)맇궘궗궢귝궎궔.
5. 빖럔뢇뛆엸딮(뷲롌롧뚯엸딮) 댥뿀(댥뿀) 렄렄롰롰(렄렄궫귂궫귂)궻 뗠먐뼼뽵(뗠먐뼼뽵)귩 륣(렜)긪깂긞_돷뽰 볷{(볷{)궻 뼰륪(븧륿)귩 띬(띬)궢귝궎궴댝댲궥귡. 둾롌(둾롌)궼 뛳뭗(뛳뭗)궳, 맠렊됄(맠렊됄)궼 렳띧(렳띧)궳, 됦() 멵@맊떾(뢢맊떾)귩 륚뼬뭤럨(륛뼬럚렑)궴, 됦() 빒돸뼬뫎(빒돸뼬뫎)귩 뱘뻻릐뗷(긣긽귽깛긂)돷뽰, 긪깛긊긞 맚븵롌(맚븵롌)궻 됻(긏긃)귩 宴(뤸귟)궥귡궬궚궳궥, 됦()궻 땦돀(~뎴)덇 롊됵딈멳(롊됵딈멳)궴 묒뒁(^긞긏깋긞긏)덇 뼬뫎륲뿚(뼬뫎륲뿚)귩 뼰럨(뼰럨)궥귡궴뙻궎궴 볷{(볷{)궻 룺`(룺`)궥귡궞궴귩 먖({)궢귝궎궴댝댲궥귡. 렔뚅(렔빁)귩 랉쀣(`긃긞긏깏깈)궥귡궻궸 }(땳)덇 뚡릐(뚮봃)궼 뫜(뫜궻)궻 뎲뽢(긂긅깛뾆)귩 됇(둢)맇궘궗궥귡. 뙸띪(뙸띪)귩 ax(롥뼮)궥귡궻궸 }(땳)덇 뚡릐(뚮봃)궼 뢧먎(뢧[)궻 뮚뺊(긙깛긐긮깈깛)귩 됇(둢)맇궘궗궥귡.
6. 뜞볷(뜞볷) 뚡릐(뚮봃)궻 룋봀(뽴뽞)궼궫궬 렔뚅(렔빁)궻 뙕먠(뙕먠)궕 뾎(뽿)궥귡궬궚궳궥, 뙂(궖귕)@ 뫜(뫜궻)궻 봨됹(봨됹)궸 띪(둈)맇댝댲궬궶. 뙲晨(뙲앺)덇 쀇륲(쀇륲)궻 뼺쀟(뼺쀟)궴궢궲 렔됄(렔됄)궻 륷^뼺(릆^릐)귩 둎묗(둎묗)긪궳궥, 뙂(궖귕)@ 땶뎲(~뎴)궴 덇렄밒(덇렄밒) 뒾륃(뒾륃)궴궢궲 뫜(뫜궻)귩 렫봱먍(긙깑긟긞긏긹`긅긞긏)궥귡궞궴궕뭷궬궶. 땶럙몒(땶럙몒), 땶맖쀍(땶맖쀍)궸딠뼞(딠뼞)궸궶궯궫 볷{(볷{) 댴맠됄(긂귻]깛긐궕)궻 뚻뼹밒(뚻뼹밒) 錫맮(]맮)궸궶궯궫 븉렔멢(븉렔멢), 뼌(덭) 븉뜃뿚(븉뜃뿚)덇 랋뚮륉뫴(롨댾궋륉뫴)귩 둂멠떑맫(둂멠떑맫)돷뽰, 렔멢(렔멢),뼌(덭) 뜃뿚(뜃뿚)덇 맠똮묈뙱(륃똧묂덒)궳 딞듧(딞듧)궥귡귝궎궸긪궬궶.
7. 뱰룊(띍룊)궸 뼬뫎밒(뼬뫎밒) 뾴땫(뾴땫)궴궢궲 뢯(뢯)맇댝댲궶 뿼뜎빘뜃(뿼뜎빘뜃)궻 뙅됈(뙅됈)궕,뷡妖(뷢뛨) 뚃뫃밒(뚃뫃) 댭댊(댭댊)궴 뜼빶밒(뜼빶밒) 븉빟(븉빟)궴 뱷똶릶럻뤵(뱷똶릶럻뤵) 땿륕(땿륕)궻 돷(돷)궔귞 뿕둙몜뵿(뿚됶몜뵿)덇 뿼(뾯) 뼬뫎듩(뼬뫎듩)궸 뎘돀(뎘돀)긭 쁝벏(쁝벏)궳궖궶궋 뎲뛞(긂긅깛뗦)귩 땸뎧[몾(땺뎧륲멺)궥귡 뜞뿀렳먑(긐깒긘깑]긞긏)귩 듡(듖)궢궶궠궋. 뾇뼻됈듃(뾇뼹됈듃)궴궢궲 땶뚮(귅귡귏궋귏궥)귩 둭맫(둴믦)궴,^맫({뱰)덇 뿚됶(뿚됶)궴 벏륃(벏륃)궸 딈{(딈{)덇 뾈뛆밒(뾈뛆밒) 륷떿뽋(륷떿뽋)귩 뫥둎(뫥둎)궥귡궞궴궕 붯뜜듩(붯뜜듩) 돀됎룫븶(돀됎룫븶)궥귡 뤇똞(뤇똞)궳궇귡궞궴귩 뼻뭢(뼹뭤)궥귡궞궴궳궶궋궔.
8. 귏궫 볫먪뼔(뿕먯궬궚) 듵빇~뎲(긪긳깛긟긞긏깗깛)궻 뼬(뼬)귩 댭쀍(댭쀍)궴궢궲 뛖뫆(뛖뫆)궥귡궞궴궼궫궬 뱦뾪(뱦뾪)궻 뎘땦(뎘땦)덇 빟쁝(빟쁝)귩 뺎뤳(뺎뤳)궥귡 룋댥(룷댶)궕궓궞귞궶궋궬궚띦궧궶궘, 뜜(롎)궳 덓(귽깛)돷뽰 뱦뾪댝딅(뱦뾪댝딅)궻 롥렡(롥렡)궳궇귡 럏돪뼔(긖긆긞긏궬궚) 럛볗릐(긙긥궳궇귡)궻 볷{(볷{)궸 뫮(묇)덇 딅쒟(궖궙)궴 癬^(렄궻)귩긊깑긚깓긞긏 봝뚾(봝뚾)궥귡귝궎궸돷뽰, 궩궻 뙅됈(뙅됈)궳 뱦뾪(뱦뾪) 멣떿(멣뜎)궕 떎|벏뻊(떎|벏뻊)궻 붱^(뷄^)귩 뤅뭭(뤅뭭)궥귡궞궴궕 뼻(릐)궢궫귞, 뜞볷(뜞볷) 뚡릐(뚮봃)궻 뮝멞벲뿧(뮝멞벲뿧)궼 뮝멞릐(뮝멞릐)궸궴궯궲 롒쁇(궳)궴궢궲 뢯(뢯)돷뽰 뱦뾪(뱦뾪) 럛렃롌(럛렃롌)궳궇귡 뢣먖(뢣먖)귩 멣(럡궼)궥귡귝궎궸궥귡궞궴궳궇귟, 럛볗(똮궯궲)궸 뼯썔(뼯썔)궸귖 (뽋)궥귡궞궴궕궳궖궶궋 븉댝(븉댝),떚|(떚|)궴궢궲 묮뢯(묮뢯)궥귡귝궎궸궥귡궞궴궳궇귟, 귏궫 뱦뾪빟쁝(뱦뾪빟쁝)궳 뢣뾴(뢣뾴)뙽귟 덇븫(덇븫)귩궥귡 맊둉빟쁝(맊둉빟쁝), 릐쀞뛍븶(릐쀞뛍궧)궸 뷠뾴(뷠뾴)덇 둏뭝(둏뭝)궸궶귡귝궎궸궥귡궻궬궔귞. 궞궻긆긞긙 뗦뗦(뗣뗣)덇 뒾륃뤵(뒾륃뤵) 뽦묋(뽦묋)깏긆.
9. 궇궇, 륷밮뭤(륷밮뭤)궕 듻멟(댝멣)궸 밯둎(밯둎)궸궶귟. 댭쀍(댭쀍)궻 렄묆(렄묆)궕 땸(궞궴)궴 벞`(벞`)궻 렄묆(렄묆)궕 뿀(볙) 궢. 됡땸(됡땸) 멣맊딬(`긿[^[@)궸 쁁뻶뮮{(뙟뻶뤾궠귪)궸궶궯궫 릐벞밒(릐벞밒) 맱_(맱_)궕뜞궞궩 륷빒뼻(륷빓뼹)궻 룎뚹(룎뚹)귩 릐쀞(릐쀞)궻 쀰럍(쀰럍)궸 뱤롅(벉럐)됂딖 럑(렄)궢. 륷뢶(륷뢶)궕 맊둉(맊둉)궸 뿀(볙)돷뽰 뼔븿(뼔븿)궻 됷멻(됵룋)귩 띊몿(띊몿)긪긧깛긤궬. 뷮뒭먤(뷮뒭먤)궸 뚁땪(뚁땪)귩 빧耶(빧뽯)궢궫궞궴궕 붯덇렄(긯귽깑긘)궻 맖(띘)궬궴뙻궑궽 쁝븮뭛뾸(됪븮뿉궠귪)궸 딠뼩(딠뼩)귩 륶삷(뮸룕)궥귡궞궴궼 뜜덇렄(롏볷궻렄)궻 맖(띘)궓멟, 밮뭤(밮뭤)궻 븳^(븶^)궸 띧(럡궻)궴 맊둉(맊둉)궻 빾뮞(빾몾)귩 뤸(룦)덇 뚡릐(뚮봃) 귺[}[뒗O(SO)궥귡궞궴귺긞긵긚궳궇귟, 귺[}[ 딏쒆(딏쒆)궥귡궞궴븠궋. 됦()궻 뚂뾎(뚂뾎)덇 렔뾕뙛(렔뾕뙛)귩 뚯멣(뛆먰)돷뽰 맯돖(맯돖)궻 뒁(뒁궢귒)귩 뻆떇(뻆떇)궥귡궼궦궳궇귟, 됦()궻 렔뫉(렔뫉)덇 벲몁쀍(벲몁쀍)귩 뵯딐(뵯딐)돷뽰 뢶뼖(뢶뼖)덇 묈둉(묈똶)궸 뼬뫎밒(뼬뫎밒) 맱됗(륈돸)귩 뙅뷧(긎깈깑긦깄|)긪깑긙궬궶.
10.뚡뱳(뚙뱳)궕 렆(믦뽜)궸 묭딳(빁딖)궢. 쀇륲(쀇륲)궕 됦()궴 벏뫔(벏뫔)궢궲 ^뿚(^뿚)궕 됦()궴 쏍릋(빘릋)긪긧깛긤궬. 뭞룛쁖룺(쁖롟뭞룛) 귺긞긵긘 덦웆(덦웆)덇 뚀몕(뜍멼)궴궢궲 뒋뵮(뒋뵮)긭 딳뿀(뵁궎궴뙻궎)돷궼 뼔쐀궬궺뤭(}깛긲귻긐깛긖깛긐)궳긤긳깓 뗒됻(뗒됻)덇 븳뒋(븸됓귩)귩 맟릩(맰롿)궥귡귝궎궸궶귟. 먪뷨맊(먪뷨띘) 멵쀬(엸쀟)궕 뚡뱳(뚙뱳)귩 덦뾅(덦뾅)궢궲 멣맊둉(멣맊둉) 딠^(@^)궕 뚡뱳(뚙뱳)귩 둖뚯(둖뜇)덇궰궬궔귞, 뭶롨(뭶롨)궕룋 맟뚻(맟뚻)궴. 궫궬, 멟벆(멟벆)궻 뚹뼻(뚹뼻)궳 }릋(궽궘릋)궥귡^깑귽깛긢귻긆.
뚺뽵랳뤞(뚺뽵뢟귒뤞)
-. 뜞볷(뜞볷) 뚡릐(뚮봃)궻 뜜땽(`@긕)궼 맫`(맫`), 릐벞(덙벑),맯뫔(맯뫔),뫖뎗(긙깈깛깂깛긐)귩 댴(뤵)궥귡 뼬뫎밒(뼬뫎밒) 뾴땫(뾴땫)궓멟, 긆긛긞긏 렔뾕밒(렔뾕밒) 맱_(맱_)귩 뵯딐(뵯딐)궥귡궼궦궳궥, 뙂(궖귕)@ 봱뫜밒(봱뫜밒) 뒾륃(뒾륃)궳 덊몪(덇뢂)궥귡궶.
-. 띍뚣(띍뚣)궻 덇릐(덇릐)귏궳, 띍뚣(띍뚣)궻 덇뜌(덇뜌)귏궳 뼬뫎(뼬뫎)궻 맫뱰(맠})덇 댰럙(댰럙)귩 됻(긏긃)긭 뵯(뵯)궢궶궠궋.
-. 덇먛(덇뫬)궻 뛱벍(뛱벍)궼덇붥 뭲룜(뭲룜)귩 뫖뢣(뫖뢣)돷뽰, 뚡릐(뚮봃)궻 롥뮗(롥뮗)궴 뫴뱗(뫴뱗)궸긆긢긇긙긤깛긙 뚹뼻맫묈(뚹뼻맫묈)궥귡귝궎궸궢궶궠궋.
( `(곾)걣) 뜞럙궑궽벆됷]궕몓궔궯궫렄궳궇궯궫귝궎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