훗카이도

여기 계시는 분들 좀 이상하더군요?
서구세력의 부당한 침략계획에는 상당한 분노를 보이면서
왜 자신들의 잘못에는 그렇게 너그러운지(아니 오히려 칭찬을 하더군요...)

일본이 서구세력의 아시아 식민지화 정책에서 아시아를 지켰다구요?
그럼 왜 그들과 비교도 안돼는 잔인한 통치를 했나요?
(아 잘 모르시겠군요..-.-;)
예전에 어떤 심포지엄에서 일본분이 발표하셨는데
그분이 일본 재수학원에서 역사를 강의하실때
명성황후 시해에 대해서 아는사람 있냐고 물었더니
한두명을 제외하구 전무했다구 하더군요
실제 일본사람들의 의견들이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해 자세한내막
(실제 정채실행 과정등...)에 대해서 거의 모르기 때 문이라고
하더군요

왜 여러분 의견대로 일본이 아시아를 지켰는데도 불구하고
여러국가들이 이를 가는지를 아시는지요?
그냥 언론의 조작?
절대 아닙니다  제가아는 어떤 일본분은
한국에 와서 처음 알게된 부분이 많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자신의 나라임에도 상당이 화가나고 부끄럽다고
그랬습니다...(어떤 사람이 봐도 일제시대에 대해 공부하면 상당히 화가납니다) 

미국에서도 일제시대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방송됐는데
반향이 컸다구 합니다

아 글구 언론이 반일을 주도하는게 아니라
대다수의 한국인 그렇게 생각하구 있습니다

또 언론이 선동한다구 쫓아가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잘못을 하면
비판을 받죠(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실제 조선일보가 그렇습니다.(북한관계에 너무 보수적이어서...)

오히려 일본언론이나 정부등이 제발 솔직해졌으면 합니다
실제로 국제적으로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죠...

뭐 그건 그렇다치고

여기 자료는 상당이 빈약한 자료입니다
질문있거나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게시판에 글 남겨 주세요
(조약내용이라던가..사진이라던가 하는거...)

국권의 피탈

1) 과 정

▷1894. 청.일 전쟁 → 시모노세키 조약

▷1904∼1905. 러.일 전쟁

▶1904. 2. 항일 의정서 체결 → 황무지 개발권 요구 → “보안회” 반대로 무효

▶1904. 제 1차 한.일 협약 → 고문 정치 (재정 : 메가다, 외교 : 스티븐슨)

                            ※ 기타 군사, 학무, 경무 고문도 파견

▶1905. 을사조약(제 2차 한.일 협약) → 외교권 박탈 ; 통감 정치

▷1907. 군대 해산 →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1909. 기유 각서 → 사법권, 경찰권 박탈

▷1910. 경술 국치


※ 열강의 묵인 (⇒ 당시 제국주의 정책의 일환에서 한반도의 식민지화를 이해할 필요 !!!)

▷1902. 제 1차 영.일 동맹

▷1905. 제 2차 영.일 동맹 (영국 ; 인도 = 일본 ; 조선)

▷1905. 카쓰라-태프트 조약 (미국 ; 필리핀 = 일본 ; 조선)

간도와 독도

1) 간 도

? 백두산 정계비 건립 ; 숙종 38년(1712) 청의 목극등과 조선의 이의복.박권 체결

? 1883년 서북경략사 어윤중 파견

? 백두산 정계비 비문 해석 문제 ; 서쪽은 압록강, 동쪽은 토문강을 경계로 한.중 국경 설정

    - 여기서 토문강을 송화강 상류로 주장.(청은 두만강으로 해석)

? 간도협약(1909) ; 청.일은 을사조약 이후 일본은 만주 안봉선 철도 부설권을 대가로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

2) 독 도 ; 러.일 전쟁 중에 독도를 불법으로 일본 영토에 편입

※ 통감부는 간도는 청으로, 독도를 일본으로 편입


일제의 식민통치

1) 조선총독부 ; 식민 통치의 중추 기관, 현역 대장으로 총독 파견

2) 중추원 ; 한국인 회유를 위한 명목상의 기구(10년간 한 차례 정식 회합도 없었음)

3) 통치 형태

? 헌병 경찰 통치(1910년대)

  ; 무단 식민통치 → 독립 운동가의 색출.처단. 관리,교원에게 칼 착용.

  ; 민족 독립 운동 말살 → “105인 사건”으로 민족 지도자 체포, 투옥

? 문화 통치(1920년대)

  ; 3.1 운동 이후 한민족 단결력과 악화된 국제 여론으로 식민지 지배 체제의 변화

  ; 현역 군인 조선 총독 → 문관도 임명 가능(실제 임명되지 못함)

  ; 헌병 경찰제 → 보통 경찰제

  ; 오히려 경찰의 수와 장비, 유지비는 이전보다 크게 증가

? 민족 말살 통치(1930년대 이후)

  ; 20년대 후반 세계적 경제 공황 타개 수단으로 일본은 경제적 블록화 추진

  ; 병참 기지화 정책, 민족 말살 통치, 인적 자원 수탈


항일 결사의 조직 및 독립 운동 기지 건설


1) 의병의 무장 투쟁 전통 계승

2) 중심 세력 변화 ; 도시의 중산층, 개화 지식인

3) 항일 결사 조직 ; 독립 의군부(1912), 광복회(1913), 조선 국권 회복단(1915)


  ※ 독립 의군부 ; 고종의 밀지를 받은 임병찬이 조직, 총독부에 국권 반환 청구서 제출

  ※ 조선 국권 회복단 ; 경북 유생들이 詩會를 가장하여 조직, 단군 숭배


4) 독립 운동 기지의 건설

? 신민회가 선구적 임무 역할

? 주요 독립 운동 기지 ; 간도 삼원보(이회영, 이상룡), 밀산부 한흥동(이상설)

                      → 서전서숙, 신흥 학교 설립

5)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1914) ;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이상설, 이동휘)


  ※ 한성정부(1919. 4.) ; 천도교, 기독교, 유.뷸교의 대표가 인천만국공원에서 회합

                        ; 13도 대표가 모여 한성임시정부의 수립 선포(국내 조직)


3.1 운동의 태동 및 확산


1) 배 경 ; 제 1차 대전 후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원칙에 자극 받음.

2) 2.8 독립 선언(1919) ; 도쿄의 한국인 유학생 중심으로 독립요구서 선포.

3) 3.1 독립 선언 ; 민족 대표 33인 독립 선언서 낭독


4) 3.1 운동의 성격

  대중화, 일원화, 비폭력 3대 원칙하에서 전개

    ⇒ 그러나 객관적 정세의 불리, 1차 대전 전승국(일본)의 식민지에는 민족자결주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5) 3.1 운동의 결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 4.)  ? 일제 통치 전략 변경 (무단통치 → 문화통치)


6) 3.1 운동의 한계

  ? 국제 정세의 불리 ; 민족 자결주의의 이해 부족    ? 무저항의 소극성 

  ? 비조직적 투쟁방법    ? 농민층 동원 미비


7) 3.1 운동의 역사적 의미

? 잇단 만주 길림의 무오독립선언, 미국에서의 독립 선언식

? 거족적 민족 운동

? 아시아 민족 운동의 선구 ; 중국의 5.4 운동, 인도 무저항 운동, 중동 반제국주의 운동에 영향

? 무장 투쟁의 필요성 대두

? 민주 사회 지향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1) 배 경 ; 3.1 운동 이후 보다 강력한 단일 정부의 필요성 인식


 

※ 임정 수립시의 각 지역별 임시정부 상황

국내의 한성 정부(1919. 4. 23)

연해주의 대한 국민 의회(1919. 2. 대통령 ; 손병희)

만주의 군정부(1920. 김좌진의 북로군정서 개편)

2) 수 립 ; 한성 정부의 법통 계승 → 상하이에 수립(1919. 9.)

3) 임시 정부의 헌정 ; 민주주의에 입각한 근대적 임시 헌법

? 구성 - 임시 의정원(입법), 국무원(행정), 법원(사법)

        → 한국 최초의 3권 분립에 입각한 민주 공화정체 정부

? 개헌 과정

  제 1차(대통령 지도제) → 제 2차(국무령 중심의 내각 책임 지도제) → 제 3차(국무 위원 중심제)

  → 제 4차(주석지도 체제) → 제 5차(주석, 부주석 체제)

? 광복 운동의 전개

㉠ 연통제 ; 국내외 연결하는 비밀 행정 조직망

㉡ 군자금 모금 ; 이륭 양행(만주), 백산 상회(부산), 애국 공채 발행

㉢ 교통국 설치 ; 국내외를 연결하는 통신망(각 군.면에 1개 교통국·교통소 설치)

㉣ 파리 강화 희의에 독립 호소 ; 김규식을 외교 총장으로 파견

㉤ 미국에 구미 위원부 설치 ; 이승만 중심의 외교 활동 전개

㉥ 독립 신문 간행, 사료 편찬소 설치

㉦ 기타 ; 김구의 애국단 조직(1926), 한국 광복군 통합


국내의 독립 전쟁


1) 무장 항일 투쟁 전개 ; 천마산대의 활약

2) 애국지사들의 활동

? 의열단 - 김원봉 중심(1919) ; 김상옥,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등

? 애국단 - 김구 중심(1926) ; 이봉창, 윤봉길, 조명하 등


3) 6.10 만세 운동(1926)

? 배 경 ; 1920년대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의 대립으로 독립 운동에 혼선 야기

? 전 개 ; 순종 인산에 대규모 시위 운동 ⇒ 민족 유일당 운동 추진의 계기

? 신간회 조직 (1927)


4)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한.일 학생 간의 충돌 ⇒ 3.1 운동 이후 최대의 항일 민족 운동

독립 전쟁의 방향


1) 거족적인 3.1 운동 이후 무장 독립 전쟁의 조직적인 전개가 급선무임을 인식


2) 봉오동 전투(1920. 7.) : 대한 독립군(홍범도)과 군무 도독부군, 안무의 국민회군의 합세


3) 청산리 대첩(1920. 10.)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의 활약


독립 전쟁의 시련


1) 간도 참변(1920) ; 일제의 보복으로 간도의 한국인 무차별 학살

2) 대한 독립 군단 조직 ; 서일 총재로 하여 소련 적색군과 연합위해 소련 영토로 이동

3) 자유시 참변(1921) ; 적색군의 배신

4) 3부 성립 ; 민정기관(한민족의 자치 집행), 군정 기관(독립군 훈련과 작전 수행) 겸비

          : 육군 주만 참의부(임시 정부 직할 부대)·정의부(남만주 일대)·신민부(북만주 일대)

5) 미쓰야 협정(1925) ; 일제와 만주 군벌의 합세 → 독립군 탄압 가중


※ 미쓰야 협정

-중.일 양국은 만주에 사는 한국인 호구 조사를 실시하고, 한국인의 무기 소지를 금지.

-중국 당국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를 색출. 이를 일본에 인도한다.

6) 한국 광복군의 결성(1940)

? 중.일 전쟁(1937) 이후 일본과의 전면전 임박을 그 배경으로 하여, 신흥 무관 학교 출신의 독립군을 중심으로 충칭에서 창설 → 이후 김원봉의 조선 의용대 흡수와 중국 국민당 정부의 협조아래 군사력 증강.

? 활약 ; 태평양 전쟁 발발로 대일.대독 선전 포고문 발표, 연합국 일원으로 참전

        ; 영군군과 연합 작전 수행

        ; 국내 진입 작전 계획중(지청천, 이범석 중심)


※ 일제의 식민지 경제 정책의 시대적 변화

┌ 1910년대 : 토지 조사 사업 → 토지 약탈, 산업 침탈

│ 1920년대 : 산미 증식 계획 → 식량 수탈

└ 1930년대 : 병참 기지화 정책.민족 말살 정책 → 남면 북양 정책


토지의 약탈


1) 토지 조사 사업의 실시

? 1910년대 이전 : 일본인의 토지 소유 인정 법률 제정

? 토지 조사령 발표(1912∼1918)


※ 토지 조사령의 의도와 그 기만성

-근대적 소유권이 인정되는 토지 제도 확립한다고 선전

-조사에 대한 홍보 자체 기피

-기한부 신고제의 허구성 ; 짧은 신고 기간과 신고 철차의 복잡성

-公共 토지의 소유권 미상 악용

? 동양 척식 주식 회사(1908)

  ; 총독부로부터 넘겨 받은 토지를 한국에 이주해 온 日人에게 헐 값으로 불하


2) 토지 조사 사업의 결과

? 농민의 토지 소유권 및 경작권 상실

? 지주에게 유리한 기한부 계약에 의한 소작농으로 전락

? 고리대에 시달리고,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연해주 등지로 이주


산업의 침탈


1) 일제의 식민지 경제 정책 ; 원료.식량 공급지 및 상품 시장으로서의 이중 착취


2) 조선 총독부의 경제 착취 정책

? 농업, 임업, 어업, 광업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철저히 착취

? 각종 기간 산업 독점 - 철도, 항만, 통신, 항공, 도로 경영

? 전매 사업 독점 - 담배, 인삼, 소금

? 산업 경제권 통제 - 금융 조합, 농공 은행 설치

? 회사령 - 민족 기업의 성장 억제 ; 허가제(1910) → 신고제(1920)


3) 임 업 ; 산림령(1911)에 따른 임야 조사 사업 실시, 국·공유림 등 전 산림의 50%이상 점탈

4) 어 업 ; 일제의 어업령(1911) 발표와 빼앗긴 어업권의 회복과 그 수호를 위한 한국 어민의 항쟁

5) 광 업 ; 전국의 지하자원 조사 → 일본 재벌에 양도

        ; 한국인의 광산 경영 - 일본인 광구 수의 1/5에 불과

식량의 수탈


1) 배 경 ; 일본의 공업화 진행에 따른 식량 부족 해결책


2) 산미 증식 계획(1920∼1933)

? 1920년부터 15년 계획 수립  ? 미곡 수탈량이 증산량을 훨씬 초과


3) 결 과 ; 한국 농민의 몰락

? 유랑민, 화전민으로 전락 → 만주, 연해주 등지로 이주

? 수리 조합비, 비료 대금, 곡물 운반비 등 이중 부담

? 소작 쟁의의 격화


병참 기지화 정책


1) 공업 원료 증산 정책의 시행

  ; 1930년대 산미 증식 계획의 난관 봉착에서 기인 → 남면 북양 정책(공업 원료 확보)

2) 병참 기지화 정책 (집안의 밥그릇까지 뺏어갔다구 합니다..사진 있습니다..쇠덩이는 다 뺏어갔다구...울 할머니도 이런일을 격으셨다구 합니다..)

? 동 기 ; 만주 사변, 중.일 전쟁으로 중국과 전쟁 상태 돌입

? 목 적 ; 일제의 대륙 침략을 위한 한반도의 병참 기지화 → 한반도 경제의 식민지화

소작 쟁의


1) 성 격 ; 농민들의 생존권 투쟁 → 일제에 항거하는 민족 운동으로 변화

2) 소작 쟁의

? 1920년대 : 소작권 이전이나 고율의 소작료에 대한 반대 투쟁(생존권 투쟁 차원)

? 1930년대 : 항일 민족 운동의 성격


  ※ 1930년대 소작 쟁의와 노동 쟁의가 절정에 이르는 배경

    -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과 민족 말살 정책의 실시로 노동력 착취가 극심


3) 조직적인 전개 ; 조선 농민 총동맹 결성(1927), 전국 각지에 농민 조합 결렬


노동 쟁의


1) 성 격 ; 반제, 반일 투쟁으로서의 정치적 성격

2) 절 정 ; 1930년대 이후

? 일제의 착취 극심 - 대륙 침략 전쟁을 위한 착취 극심

? 노동 조합의 결성 - 조선노동총연맹회(1922), 조선노동총연맹(1927)

? 원산 노동자 총파업


민족 기업의 성장


1) 배 경 ; 3.1 운동 이후 민족 산업 육성과 경제적 자립 도모

2) 민족 기업의 유형 ; 지주 출신 기업 및 서민 출신 기업 등장

3) 민족계 은행 설립 ; 경남 합동은행, 경일 은행, 호남 은행

4) 민족 기업의 위축 ; 1930년대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 흡수


물산 장려 운동


1) 성 격 ; 민족 산업 육성으로 민족 경제의 자립을 기하려는 민족 운동

2) 활동 중심 단체

? 조선 물산 장려회 ; 조만식이 평양에서 결성(1923) - “내 살림 내 것으로”

? 자작회 ; 학생들이 주도

3) 활동 내용 ; 일본 상품 배격과 국산품 애용, 소비 절약, 근검 저축, 생활 개선, 금주.금연운동 추진

신간회와 근우회


1) 민족 유일당 운동

? 배 경 -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으로 인한 농민,노동자,청년 운동의 활발

? 민족 독립 운동에 있어서 사상적인 이념의 차이로 갈등 노출

? 목 적 -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의 단일화된 민족 운동 추진


2) 신간회 결성(1927)

? 기본 강령 ; 민족의 단결과 정치적,경제적 각성 촉구, 기회주의자 배격

? 활 동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에 조사단 파견


※ 신간회 결성의 배경

-일부 민족주의 계열의 타협적 독립 준비론 대두

-사회주의 진영의 정우회 선언(민족주의와의 연합)

-민족 유일당 분위기(국외의 삼군부로 통합)

3) 근우회 결성(1927) ; 김활란 등을 중심으로 여성계의 민족 유일당으로 조직되고, 여성 노동자의 이익 옹호와 신생활 개선을 행동 강령으로 함.


※ 일제가 신간회와 근우회를 합법적 단체로 인정한 속셈

    ; 합법화로 한국인의 지하 운동을 노출시키고 감시, 나아가 민족 내부 분열을 노린 고등술책


청소년 운동


1) 목 표 ; 사회 개선 추구, 자주 독립의 기초 이룩

2) 활 동 ; 지식의 향상, 심신 단련, 사회 교화와 생활 개선

3) 청년 단체의 분열과 수습 ;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에 따른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로 분열

  ⇒ 조선 청년 총동맹 조직(1924)

4) 소년 운동 ; 천도교 청년회의 소년부 설립, 조선 소년 연합회

5) 일제의 탄압 ; 중.일 전쟁 발발 후 한국의 청소년 운동 금지


문맹 퇴치 운동


1) 배 경 ; 일제의 우민화 정책에 따른 문맹자 증가(전 한국인의 80%)

2) 민족 언론의 활동 ; [조선 일보]의 문자 보급 운동

                  ; [동아 일보]의 생활 개선 운동과 문화 생활 운동 전개(브나로드 운동)


  ※ 브나로드(Vnarod) 운동

    ; “브나로드”라는 말은 원래 러시아어로 “민중 속으로”라는 의미이다.

    ; 민중의 생활 개선과 문화 생활을 계몽하려는 의도에서 그 어원을 활용한 것이다.

  식민지 문화 정책


1) 교육 정책

? 목 표 ; 우민화 교육을 통한 한국인의 황국 신민화

? 시 책 ; 일본어 학습 강요, 사립 학교나 서당 등 민족주의 교육 기관 억압

        ; 식민통치에 유용한 실업 교육 강요

? 중.일 전쟁 이후 ; 내선 일체, 일선 동조론, 황국 신민화 → 우리말 교육과 역사 교육 금지


2) 언론 정책 ; 언론,집회,결사의 자유 박탈, 신문 폐간


3) 민족사의 왜곡

? 일제의 식민 통치 합리화를 위한 왜곡 시도

? 단군 조선의 부정, 일선 동조론, 임나 일본부설

? 식민 사관의 정립 - 정체론, 타율론, 반도 사관으로 제기

? 식민 사관 날조기관 - 조선사 편수회, 고적 조사 위원회, 청구 학회 등

4) 종교 탄압 ; 크리스트교, 불교, 천도교, 대종교의 탄압


한글 진흥 운동(국어 연구)


1) 조선어 연구회(1921) ; 이윤재, 최윤배 등이 국문 연구소를 계승하여 조직

                        → 한글 연구 및 한글 보급, “한글” 잡지 발간

2) 조선어 학회(1931∼1942) ; 한글 교육 및 한글 맞춤법 통일안·표준어의 제정, 우리말 큰 사전의 편찬(일제 방해로 실패) ⇒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해체


한국사의 연구


※ 민족주의 사학자의 활동

? 고대사 연구를 통한 국사의 정통성 강조

? 서양 근대 사학 방법론 도입 ; 사료 비판 및 고증법 수용

? 국사의 대중화에 기여

? 영웅사관을 통한 민족 얼과 민족 정신 강조

1) 민족주의 사학자

? 신채호

  {독사신론} / {조선상고사}(역사는 我와 非我의 투쟁) / {조선사연구초}(묘청의 난을 높이 평가)

    / 조선삼걸전 저술(을지문덕, 최영, 이순신전) / 낭가사상(화랑도) 강조

? 박은식

  {한국통사}(나라는 形, 역사는 神. 魄은 죽었으나, 魂만 있다면 다시 살아날 것이다.

  ⇒ 魂 사상 강조

? 정인보 : {조선사 연구}


2) 진단 학회 조직(1934)

  일본 어용 학자들의 조직인 청구 학회에 반발하여 이병도, 이윤재, 손진태 등이 조직

    → 실증적인 한국학 연구, {진단 학보} 발간.

 


일제시대....일본이 아시아를 지켰다?

여기 계시는 분들 좀 이상하더군요? 서구세력의 부당한 침략계획에는 상당한 분노를 보이면서 왜 자신들의 잘못에는 그렇게 너그러운지(아니 오히려 칭찬을 하더군요...) 일본이 서구세력의 아시아 식민지화 정책에서 아시아를 지켰다구요? 그럼 왜 그들과 비교도 안돼는 잔인한 통치를 했나요? (아 잘 모르시겠군요..-.-;) 예전에 어떤 심포지엄에서 일본분이 발표하셨는데 그분이 일본 재수학원에서 역사를 강의하실때 명성황후 시해에 대해서 아는사람 있냐고 물었더니 한두명을 제외하구 전무했다구 하더군요 실제 일본사람들의 의견들이 일제의 식민통치에 대해 자세한내막 (실제 정채실행 과정등...)에 대해서 거의 모르기 때 문이라고 하더군요 왜 여러분 의견대로 일본이 아시아를 지켰는데도 불구하고 여러국가들이 이를 가는지를 아시는지요? 그냥 언론의 조작? 절대 아닙니다 제가아는 어떤 일본분은 한국에 와서 처음 알게된 부분이 많다고 하더군요 그리고 자신의 나라임에도 상당이 화가나고 부끄럽다고 그랬습니다...(어떤 사람이 봐도 일제시대에 대해 공부하면 상당히 화가납니다) 미국에서도 일제시대에 대한 다큐멘터리가 방송됐는데 반향이 컸다구 합니다 아 글구 언론이 반일을 주도하는게 아니라 대다수의 한국인 그렇게 생각하구 있습니다 또 언론이 선동한다구 쫓아가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잘못을 하면 비판을 받죠(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실제 조선일보가 그렇습니다.(북한관계에 너무 보수적이어서...) 오히려 일본언론이나 정부등이 제발 솔직해졌으면 합니다 실제로 국제적으로도 많은 비판을 받고 있죠... 뭐 그건 그렇다치고 여기 자료는 상당이 빈약한 자료입니다 질문있거나 자료가 필요하신 분은 게시판에 글 남겨 주세요 (조약내용이라던가..사진이라던가 하는거...) 국권의 피탈 1) 과 정 ▷1894. 청.일 전쟁 겏 시모노세키 조약 ▷1904∼1905. 러.일 전쟁 ▶1904. 2. 항일 의정서 체결 겏 황무지 개발권 요구 겏 "보안회" 반대로 무효 ▶1904. 제 1차 한.일 협약 겏 고문 정치 (재정 : 메가다, 외교 : 스티븐슨) 겍 기타 군사, 학무, 경무 고문도 파견 ▶1905. 을사조약(제 2차 한.일 협약) 겏 외교권 박탈 ; 통감 정치 ▷1907. 군대 해산 겏 한.일 신협약(정미 7조약) ▷1909. 기유 각서 겏 사법권, 경찰권 박탈 ▷1910. 경술 국치 겍 열강의 묵인 (곆 당시 제국주의 정책의 일환에서 한반도의 식민지화를 이해할 필요 !!!) ▷1902. 제 1차 영.일 동맹 ▷1905. 제 2차 영.일 동맹 (영국 ; 인도 = 일본 ; 조선) ▷1905. 카쓰라-태프트 조약 (미국 ; 필리핀 = 일본 ; 조선) 간도와 독도 1) 간 도 @ 백두산 정계비 건립 ; 숙종 38년(1712) 청의 목극등과 조선의 이의복.박권 체결 놞 1883년 서북경략사 어윤중 파견 놟 백두산 정계비 비문 해석 문제 ; 서쪽은 압록강, 동쪽은 토문강을 경계로 한.중 국경 설정 - 여기서 토문강을 송화강 상류로 주장.(청은 두만강으로 해석) 놠 간도협약(1909) ; 청.일은 을사조약 이후 일본은 만주 안봉선 철도 부설권을 대가로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 2) 독 도 ; 러.일 전쟁 중에 독도를 불법으로 일본 영토에 편입 겍 통감부는 간도는 청으로, 독도를 일본으로 편입 일제의 식민통치 1) 조선총독부 ; 식민 통치의 중추 기관, 현역 대장으로 총독 파견 2) 중추원 ; 한국인 회유를 위한 명목상의 기구(10년간 한 차례 정식 회합도 없었음) 3) 통치 형태 @ 헌병 경찰 통치(1910년대) ; 무단 식민통치 겏 독립 운동가의 색출.처단. 관리,교원에게 칼 착용. ; 민족 독립 운동 말살 겏 "105인 사건"으로 민족 지도자 체포, 투옥 놞 문화 통치(1920년대) ; 3.1 운동 이후 한민족 단결력과 악화된 국제 여론으로 식민지 지배 체제의 변화 ; 현역 군인 조선 총독 겏 문관도 임명 가능(실제 임명되지 못함) ; 헌병 경찰제 겏 보통 경찰제 ; 오히려 경찰의 수와 장비, 유지비는 이전보다 크게 증가 놟 민족 말살 통치(1930년대 이후) ; 20년대 후반 세계적 경제 공황 타개 수단으로 일본은 경제적 블록화 추진 ; 병참 기지화 정책, 민족 말살 통치, 인적 자원 수탈 항일 결사의 조직 및 독립 운동 기지 건설 1) 의병의 무장 투쟁 전통 계승 2) 중심 세력 변화 ; 도시의 중산층, 개화 지식인 3) 항일 결사 조직 ; 독립 의군부(1912), 광복회(1913), 조선 국권 회복단(1915) 겍 독립 의군부 ; 고종의 밀지를 받은 임병찬이 조직, 총독부에 국권 반환 청구서 제출 겍 조선 국권 회복단 ; 경북 유생들이 럪섔를 가장하여 조직, 단군 숭배 4) 독립 운동 기지의 건설 @ 신민회가 선구적 임무 역할 놞 주요 독립 운동 기지 ; 간도 삼원보(이회영, 이상룡), 밀산부 한흥동(이상설) 겏 서전서숙, 신흥 학교 설립 5) 대한 광복군 정부 수립(1914) ; 연해주의 블라디보스토크(이상설, 이동휘) 겍 한성정부(1919. 4.) ; 천도교, 기독교, 유.뷸교의 대표가 인천만국공원에서 회합 ; 13도 대표가 모여 한성임시정부의 수립 선포(국내 조직) 3.1 운동의 태동 및 확산 1) 배 경 ; 제 1차 대전 후 미국 대통령 윌슨의 민족 자결주의 원칙에 자극 받음. 2) 2.8 독립 선언(1919) ; 도쿄의 한국인 유학생 중심으로 독립요구서 선포. 3) 3.1 독립 선언 ; 민족 대표 33인 독립 선언서 낭독 4) 3.1 운동의 성격 대중화, 일원화, 비폭력 3대 원칙하에서 전개 곆 그러나 객관적 정세의 불리, 1차 대전 전승국(일본)의 식민지에는 민족자결주의 원칙이 적용되지 않는다. 5) 3.1 운동의 결과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1919. 4.) 놞 일제 통치 전략 변경 (무단통치 겏 문화통치) 6) 3.1 운동의 한계 @ 국제 정세의 불리 ; 민족 자결주의의 이해 부족 놞 무저항의 소극성 놟 비조직적 투쟁방법 놠 농민층 동원 미비 7) 3.1 운동의 역사적 의미 @ 잇단 만주 길림의 무오독립선언, 미국에서의 독립 선언식 놞 거족적 민족 운동 놟 아시아 민족 운동의 선구 ; 중국의 5.4 운동, 인도 무저항 운동, 중동 반제국주의 운동에 영향 놠 무장 투쟁의 필요성 대두 놡 민주 사회 지향 대한 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1) 배 경 ; 3.1 운동 이후 보다 강력한 단일 정부의 필요성 인식 겍 임정 수립시의 각 지역별 임시정부 상황 국내의 한성 정부(1919. 4. 23) 연해주의 대한 국민 의회(1919. 2. 대통령 ; 손병희) 만주의 군정부(1920. 김좌진의 북로군정서 개편) 2) 수 립 ; 한성 정부의 법통 계승 겏 상하이에 수립(1919. 9.) 3) 임시 정부의 헌정 ; 민주주의에 입각한 근대적 임시 헌법 @ 구성 - 임시 의정원(입법), 국무원(행정), 법원(사법) 겏 한국 최초의 3권 분립에 입각한 민주 공화정체 정부 놞 개헌 과정 제 1차(대통령 지도제) 겏 제 2차(국무령 중심의 내각 책임 지도제) 겏 제 3차(국무 위원 중심제) 겏 제 4차(주석지도 체제) 겏 제 5차(주석, 부주석 체제) 놟 광복 운동의 전개 ㉠ 연통제 ; 국내외 연결하는 비밀 행정 조직망 ㉡ 군자금 모금 ; 이륭 양행(만주), 백산 상회(부산), 애국 공채 발행 ㉢ 교통국 설치 ; 국내외를 연결하는 통신망(각 군.면에 1개 교통국·교통소 설치) ㉣ 파리 강화 희의에 독립 호소 ; 김규식을 외교 총장으로 파견 ㉤ 미국에 구미 위원부 설치 ; 이승만 중심의 외교 활동 전개 ㉥ 독립 신문 간행, 사료 편찬소 설치 ㉦ 기타 ; 김구의 애국단 조직(1926), 한국 광복군 통합 국내의 독립 전쟁 1) 무장 항일 투쟁 전개 ; 천마산대의 활약 2) 애국지사들의 활동 @ 의열단 - 김원봉 중심(1919) ; 김상옥, 김익상, 김지섭, 나석주 등 놞 애국단 - 김구 중심(1926) ; 이봉창, 윤봉길, 조명하 등 3) 6.10 만세 운동(1926) @ 배 경 ; 1920년대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의 대립으로 독립 운동에 혼선 야기 놞 전 개 ; 순종 인산에 대규모 시위 운동 곆 민족 유일당 운동 추진의 계기 놟 신간회 조직 (1927) 4)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 한.일 학생 간의 충돌 곆 3.1 운동 이후 최대의 항일 민족 운동 독립 전쟁의 방향 1) 거족적인 3.1 운동 이후 무장 독립 전쟁의 조직적인 전개가 급선무임을 인식 2) 봉오동 전투(1920. 7.) : 대한 독립군(홍범도)과 군무 도독부군, 안무의 국민회군의 합세 3) 청산리 대첩(1920. 10.) :김좌진의 북로 군정서군의 활약 독립 전쟁의 시련 1) 간도 참변(1920) ; 일제의 보복으로 간도의 한국인 무차별 학살 2) 대한 독립 군단 조직 ; 서일 총재로 하여 소련 적색군과 연합위해 소련 영토로 이동 3) 자유시 참변(1921) ; 적색군의 배신 4) 3부 성립 ; 민정기관(한민족의 자치 집행), 군정 기관(독립군 훈련과 작전 수행) 겸비 : 육군 주만 참의부(임시 정부 직할 부대)·정의부(남만주 일대)·신민부(북만주 일대) 5) 미쓰야 협정(1925) ; 일제와 만주 군벌의 합세 겏 독립군 탄압 가중 겍 미쓰야 협정 -중.일 양국은 만주에 사는 한국인 호구 조사를 실시하고, 한국인의 무기 소지를 금지. -중국 당국은 한국의 독립 운동가를 색출. 이를 일본에 인도한다. 6) 한국 광복군의 결성(1940) @ 중.일 전쟁(1937) 이후 일본과의 전면전 임박을 그 배경으로 하여, 신흥 무관 학교 출신의 독립군을 중심으로 충칭에서 창설 겏 이후 김원봉의 조선 의용대 흡수와 중국 국민당 정부의 협조아래 군사력 증강. 놞 활약 ; 태평양 전쟁 발발로 대일.대독 선전 포고문 발표, 연합국 일원으로 참전 ; 영군군과 연합 작전 수행 ; 국내 진입 작전 계획중(지청천, 이범석 중심) 겍 일제의 식민지 경제 정책의 시대적 변화 꽒 1910년대 : 토지 조사 사업 겏 토지 약탈, 산업 침탈 꽑 1920년대 : 산미 증식 계획 겏 식량 수탈 꽕 1930년대 : 병참 기지화 정책.민족 말살 정책 겏 남면 북양 정책 토지의 약탈 1) 토지 조사 사업의 실시 @ 1910년대 이전 : 일본인의 토지 소유 인정 법률 제정 놞 토지 조사령 발표(1912∼1918) 겍 토지 조사령의 의도와 그 기만성 -근대적 소유권이 인정되는 토지 제도 확립한다고 선전 -조사에 대한 홍보 자체 기피 -기한부 신고제의 허구성 ; 짧은 신고 기간과 신고 철차의 복잡성 -뚺떎 토지의 소유권 미상 악용 놟 동양 척식 주식 회사(1908) ; 총독부로부터 넘겨 받은 토지를 한국에 이주해 온 볷릐에게 헐 값으로 불하 2) 토지 조사 사업의 결과 @ 농민의 토지 소유권 및 경작권 상실 놞 지주에게 유리한 기한부 계약에 의한 소작농으로 전락 놟 고리대에 시달리고, 화전민이 되거나 만주.연해주 등지로 이주 산업의 침탈 1) 일제의 식민지 경제 정책 ; 원료.식량 공급지 및 상품 시장으로서의 이중 착취 2) 조선 총독부의 경제 착취 정책 @ 농업, 임업, 어업, 광업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철저히 착취 놞 각종 기간 산업 독점 - 철도, 항만, 통신, 항공, 도로 경영 놟 전매 사업 독점 - 담배, 인삼, 소금 놠 산업 경제권 통제 - 금융 조합, 농공 은행 설치 놡 회사령 - 민족 기업의 성장 억제 ; 허가제(1910) 겏 신고제(1920) 3) 임 업 ; 산림령(1911)에 따른 임야 조사 사업 실시, 국·공유림 등 전 산림의 50%이상 점탈 4) 어 업 ; 일제의 어업령(1911) 발표와 빼앗긴 어업권의 회복과 그 수호를 위한 한국 어민의 항쟁 5) 광 업 ; 전국의 지하자원 조사 겏 일본 재벌에 양도 ; 한국인의 광산 경영 - 일본인 광구 수의 1/5에 불과 식량의 수탈 1) 배 경 ; 일본의 공업화 진행에 따른 식량 부족 해결책 2) 산미 증식 계획(1920∼1933) @ 1920년부터 15년 계획 수립 놞 미곡 수탈량이 증산량을 훨씬 초과 3) 결 과 ; 한국 농민의 몰락 @ 유랑민, 화전민으로 전락 겏 만주, 연해주 등지로 이주 놞 수리 조합비, 비료 대금, 곡물 운반비 등 이중 부담 놟 소작 쟁의의 격화 병참 기지화 정책 1) 공업 원료 증산 정책의 시행 ; 1930년대 산미 증식 계획의 난관 봉착에서 기인 겏 남면 북양 정책(공업 원료 확보) 2) 병참 기지화 정책 (집안의 밥그릇까지 뺏어갔다구 합니다..사진 있습니다..쇠덩이는 다 뺏어갔다구...울 할머니도 이런일을 격으셨다구 합니다..) @ 동 기 ; 만주 사변, 중.일 전쟁으로 중국과 전쟁 상태 돌입 놞 목 적 ; 일제의 대륙 침략을 위한 한반도의 병참 기지화 겏 한반도 경제의 식민지화 소작 쟁의 1) 성 격 ; 농민들의 생존권 투쟁 겏 일제에 항거하는 민족 운동으로 변화 2) 소작 쟁의 @ 1920년대 : 소작권 이전이나 고율의 소작료에 대한 반대 투쟁(생존권 투쟁 차원) 놞 1930년대 : 항일 민족 운동의 성격 겍 1930년대 소작 쟁의와 노동 쟁의가 절정에 이르는 배경 - 일제의 병참 기지화 정책과 민족 말살 정책의 실시로 노동력 착취가 극심 3) 조직적인 전개 ; 조선 농민 총동맹 결성(1927), 전국 각지에 농민 조합 결렬 노동 쟁의 1) 성 격 ; 반제, 반일 투쟁으로서의 정치적 성격 2) 절 정 ; 1930년대 이후 @ 일제의 착취 극심 - 대륙 침략 전쟁을 위한 착취 극심 놞 노동 조합의 결성 - 조선노동총연맹회(1922), 조선노동총연맹(1927) 놟 원산 노동자 총파업 민족 기업의 성장 1) 배 경 ; 3.1 운동 이후 민족 산업 육성과 경제적 자립 도모 2) 민족 기업의 유형 ; 지주 출신 기업 및 서민 출신 기업 등장 3) 민족계 은행 설립 ; 경남 합동은행, 경일 은행, 호남 은행 4) 민족 기업의 위축 ; 1930년대 일제의 탄압으로 해체, 흡수 물산 장려 운동 1) 성 격 ; 민족 산업 육성으로 민족 경제의 자립을 기하려는 민족 운동 2) 활동 중심 단체 @ 조선 물산 장려회 ; 조만식이 평양에서 결성(1923) - "내 살림 내 것으로" 놞 자작회 ; 학생들이 주도 3) 활동 내용 ; 일본 상품 배격과 국산품 애용, 소비 절약, 근검 저축, 생활 개선, 금주.금연운동 추진 신간회와 근우회 1) 민족 유일당 운동 @ 배 경 - 1920년대 초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으로 인한 농민,노동자,청년 운동의 활발 놞 민족 독립 운동에 있어서 사상적인 이념의 차이로 갈등 노출 놟 목 적 - 민족주의 진영과 사회주의 진영의 단일화된 민족 운동 추진 2) 신간회 결성(1927) @ 기본 강령 ; 민족의 단결과 정치적,경제적 각성 촉구, 기회주의자 배격 놞 활 동 ; 광주 학생 항일 운동(1929)에 조사단 파견 겍 신간회 결성의 배경 -일부 민족주의 계열의 타협적 독립 준비론 대두 -사회주의 진영의 정우회 선언(민족주의와의 연합) -민족 유일당 분위기(국외의 삼군부로 통합) 3) 근우회 결성(1927) ; 김활란 등을 중심으로 여성계의 민족 유일당으로 조직되고, 여성 노동자의 이익 옹호와 신생활 개선을 행동 강령으로 함. 겍 일제가 신간회와 근우회를 합법적 단체로 인정한 속셈 ; 합법화로 한국인의 지하 운동을 노출시키고 감시, 나아가 민족 내부 분열을 노린 고등술책 청소년 운동 1) 목 표 ; 사회 개선 추구, 자주 독립의 기초 이룩 2) 활 동 ; 지식의 향상, 심신 단련, 사회 교화와 생활 개선 3) 청년 단체의 분열과 수습 ; 사회주의 사상의 유입에 따른 민족주의계와 사회주의계로 분열 곆 조선 청년 총동맹 조직(1924) 4) 소년 운동 ; 천도교 청년회의 소년부 설립, 조선 소년 연합회 5) 일제의 탄압 ; 중.일 전쟁 발발 후 한국의 청소년 운동 금지 문맹 퇴치 운동 1) 배 경 ; 일제의 우민화 정책에 따른 문맹자 증가(전 한국인의 80%) 2) 민족 언론의 활동 ; [조선 일보]의 문자 보급 운동 ; [동아 일보]의 생활 개선 운동과 문화 생활 운동 전개(브나로드 운동) 겍 브나로드(Vnarod) 운동 ; "브나로드"라는 말은 원래 러시아어로 "민중 속으로"라는 의미이다. ; 민중의 생활 개선과 문화 생활을 계몽하려는 의도에서 그 어원을 활용한 것이다. 식민지 문화 정책 1) 교육 정책 @ 목 표 ; 우민화 교육을 통한 한국인의 황국 신민화 놞 시 책 ; 일본어 학습 강요, 사립 학교나 서당 등 민족주의 교육 기관 억압 ; 식민통치에 유용한 실업 교육 강요 놟 중.일 전쟁 이후 ; 내선 일체, 일선 동조론, 황국 신민화 겏 우리말 교육과 역사 교육 금지 2) 언론 정책 ; 언론,집회,결사의 자유 박탈, 신문 폐간 3) 민족사의 왜곡 @ 일제의 식민 통치 합리화를 위한 왜곡 시도 놞 단군 조선의 부정, 일선 동조론, 임나 일본부설 놟 식민 사관의 정립 - 정체론, 타율론, 반도 사관으로 제기 놠 식민 사관 날조기관 - 조선사 편수회, 고적 조사 위원회, 청구 학회 등 4) 종교 탄압 ; 크리스트교, 불교, 천도교, 대종교의 탄압 한글 진흥 운동(국어 연구) 1) 조선어 연구회(1921) ; 이윤재, 최윤배 등이 국문 연구소를 계승하여 조직 겏 한글 연구 및 한글 보급, "한글" 잡지 발간 2) 조선어 학회(1931∼1942) ; 한글 교육 및 한글 맞춤법 통일안·표준어의 제정, 우리말 큰 사전의 편찬(일제 방해로 실패) 곆 조선어 학회 사건으로 해체 한국사의 연구 겍 민족주의 사학자의 활동 @ 고대사 연구를 통한 국사의 정통성 강조 놞 서양 근대 사학 방법론 도입 ; 사료 비판 및 고증법 수용 놟 국사의 대중화에 기여 놠 영웅사관을 통한 민족 얼과 민족 정신 강조 1) 민족주의 사학자 @ 신채호 {독사신론} / {조선상고사}(역사는 됦와 뷄됦의 투쟁) / {조선사연구초}(묘청의 난을 높이 평가) / 조선삼걸전 저술(을지문덕, 최영, 이순신전) / 낭가사상(화랑도) 강조 놞 박은식 {한국통사}(나라는 `, 역사는 _. 饒은 죽었으나, 뜲만 있다면 다시 살아날 것이다. 곆 뜲 사상 강조 놟 정인보 : {조선사 연구} 2) 진단 학회 조직(1934) 일본 어용 학자들의 조직인 청구 학회에 반발하여 이병도, 이윤재, 손진태 등이 조직 겏 실증적인 한국학 연구, {진단 학보} 발간.



TOTAL: 935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475 新世紀おめでとうございます。 SOL 2001-01-01 873 0
474 御知らせ a194119 2000-12-28 913 0
473 納豆がほしいんですか nnatto 2000-12-25 1108 0
472 ドン、ゲットしました。 a194119 2000-12-22 821 0
471 面白いけど、ちょっと大 a194119 2000-12-21 833 0
470 re : ノスタルジア a194119 2000-12-19 751 0
469 일제시대....일ዥ....... amu80 2000-12-17 2844 0
468 re : とても食べたいんですが、最近見....... akaho 2000-12-17 1855 0
467 re : re : 「ポン菓子」ってやつですね....... いそたけ 2000-12-16 1028 0
466 交流 ppappa 2000-12-16 730 0
465 re : ドォ tama-j 2000-12-16 984 0
464 とても食べたいんですが、最近見か....... a194119 2000-12-16 1095 0
463 re : 知らなかったです a194119 2000-12-16 1970 0
462 re : re : re : re : かにですか? はいタ....... akaho 2000-12-10 900 0
461 re : re : re : かにですか? a194119 2000-12-09 2232 0
460 re : re : ほっけ&こまい akaho 2000-12-09 1057 0
459 re : ほっけ&こまい a194119 2000-12-09 909 0
458 re : 釧路に行きました。 kjsato 2000-12-05 750 0
457 釧路に行きました。 akaho 2000-12-05 950 0
456 福岡に行ってきました kjsato 2000-12-04 201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