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조선시대 금을 이용하여 만든 금박 장식의 의복은 

왕실이나 상류층의 전용으로  민간에는 허용하지 않았다 


그런데  조선후기 유물을 보면 왕실이나 양반 가문의 복식 외에   일반 서민들의 복식에도 

부분적으로 금박 장식이 발견되고 있다 




1935년 김광균 결혼식 


신부는 드림 댕기를 하고 있다 


근대 1910년  드림댕기 

석주선 기념관 





금박 문양은  혼례식이나  명절 등 특별한 날에 입는 의복에  건강 長壽   복을기원하는 

문양으로 장식하였다 

서민층에서의   금박 문양은  주로 댕기 종류에 많이  발견된다  댕기는 머리를 묶을 때 장식하는 것이다



조선시대에는 官營工匠에 금박을 만드는 金箔匠 . 금박을 직물에 찍는  도다익장(都多益匠)을 두어 다양한 금박 문양을

생산하였다 



1533년에는  傳敎에 따라 성절사 (명나라에  사신으로 가는 사절단  )편에   훈금법(燻金法)이나 묘금법(猫金法)을 

전수받고  왔다 라는 기록이 있다 

훈금법은 은박으로 금 빛을 내는  것이다


또 비싼 금 대신에 자황으로 금박을 찍었다는 악학궤범의 기록이 있고 

1505년에 花金都多益과 花雌都多益을 신분에 따라 사용하였다는 기록이 있다 


假金제작 방법에 대해서는 

오주연문장전산고 (五洲衍文長箭散稿)에 의하면 

은박 1냥에  松子 7전 소황 3전을 섞어 그을리면 금색으로 변해 假金을 만들 수 있다 라고 하였다 


 조선왕실에서는   금박을 付金이라고 하였다 


왕실의  복식 유물의   圓衫  댕기 당의 등에 금박   무늬가 남아있다 


사찰에서는  불상 보살상의 改金이나 단청 寫經에 쓰였고 칠기에는 금니를 새겼다 


조선  중기 후기에 일반 서민도 혼례식에서 원삼이나 활옷을 입을 수 있게 허용되면서 


점차 일반 서민들도  혼례식에서  머리를 장식하는 댕기에 금박으로 문양을 새겨 화려하게 장식할 수 있었다

조선후기 민간인들의 결혼 사진에서  新婦가  화려한 댕기를 하고 있는 사진을 볼 수 있다 






17세기  李端夏의  부인의 도투락 댕기  ( 유물 )


댕기는 여성들의 긴 머리를 묶어 장식하는  끈이다


이 댕기는  李端夏1625년~1689년)의 

부인이 대례복을 입고 큰 머리를  할 때 사용한  도투락 댕기이다  

자주색 바탕에 금박으로 무늬를 찍었다 












도투락  댕기( 복원 )


김덕환(金德煥) 금박장  작품 



댕기에 대한 기록으로 고려도경에 의하면 


결혼하지 않은 여자들이 붉은 비단으로 머리를 묶고 나머지 머리카락을  아래로 내린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댕기는 조선시대에 와서 한층 더 다양해졌다 

도투락 댕기는 예장용 댕기 중에 하나이다 


조선시대 혼례식에서 新婦가  머리에 족두리나  화관을 쓰고 쪽진 머리 뒤에 도투락 댕기를 길게 늘어뜨리는데 

도투락 댕기는  (뒤 댕기)라고 부르기도 한다 






도투락 댕기는 보통 180cm  길이에  10~12cm 너비의 크기로 만들어  중앙을 제비부리로 접어 두 가닥이 되게 한다 

댕기 정수리에 학이나 부귀 등의 금박을 올리고  위쪽에는 석옹황이나 옥판을 달고 

중간에 박쥐 동자 난초 등의 금박 무늬를 넣고  하단에는 壽 .福 글자로 마무리 한다 


혼례용 댕기에 동자 (童子)무늬를 넣는 이유는 자손번창을 기원하는 의미다 






엘리자베스 키스  작품 1921년 




남바위 


방한용 모자이다 



오른쪽 어머니와 딸의 방한용 모자는 풍차(風遮)이고 왼쪽 아들이 쓴 방한용 모자는 남바위이다 

어머니와  딸이 쓴 風遮는  나비 꽃 등 무늬가   금박되어 있고  호박(琥珀)이나  옥으로 꿰어 만든 줄로 장식되어 있다


모자 아래에  얼굴을 감싸는 볼끼가 붙어 있으면  풍차(風遮)이고 

볼끼가 없으면 남바위 라고 한다 






복건(幞巾) 20세기초 

 이 복건은 왕자가 쓰던 복건이다 왕자가 돌복(태어나서 처음 맞이하는 생일에 입은 옷)으로 착용했던 복건이다 

검은색 용문단 (龍紋緞) 위에 금박을 올리고 보석으로 장식하였다 

정면 상부 중앙에는 감로수 병 속에 담긴 긴 불로초와 壽福康寧이라고 길상 문자를 금박했고 

감로수 밑에는 囍 글자를 조각한 비취를 부착했고 양쪽에 두 마리씩 봉황을 금박했다 


오른쪽 끈 위에는 壽福壽福 .아래에는  蒼松君子之節이라고 금박했고  안쪽 아래에는 落落長松夏雲 이라고 금박하였다 


왼쪽 끈 위에는 福壽福 .萋萋芳草春錄

안쪽 아래에는 錄竹烈女之情 이라고 금박되어 있다 


후면 상부 중앙에는 학 무늬. 측면 좌측에는 壽福和風甘雨瑞日祥雲 우측에는 壽福門心皆水物我同春 이라고 

付金(금박)하였다 


하부 양쪽 모서리에는  각각 1개의 편복문과  불로초  무늬를 부금했고 그 사이에 孝悌忠信을  부금(付金)햇다 






엘리자베스 키스 작품  소년 




조선시대 금 장식의 유형 시기별 출현율을 보면 

직금(織金法)이  35.58%로  제일 높고  금사자수(金絲刺繡)는 34.97%  印金은 29.45%순서이다 


그런데 15세기 16세기의  출토된 금 장식의 복식 유물 중에 직금이 사용된 옷은 95%로 월등히 높지만 

이후 점점 줄어든 반면 금사자수  기법이나 인금(印金)이 사용된 복식은 

조선 후기로 갈수록 그 비중이 높아져 갔다 


조선시대 金장식 기법을 사용한 복식 유물 중에 출토된 자료는 29.37%이고  소장(所藏)자료는 68.29%로 

所藏자료가 훨씬 많다 


출토 복식 자료는 대부분 16세기 이전  것으로 일반 양반의 복식 자료이고 

所藏자료는 19세기 이후 것으로  대부분 왕실 복식 자료이다 


17~18세기 金장식 복식 유물은  그 數가  현저히 낮은데 이것은 임진왜란 병자호란 등 전란 때문으로 보이다 


19세기 이후 金장식 유물 중에 印金法 즉 금박 장식의 유물이 많은데  왕실의 所藏자료가 제일 많다 

금박의 의복은 세탁을 하면 금박이  쉽게 훼손되기 때문에 

왕실에서는 국가의 중요 행사가 있을 때 착용하는 예복으로서  세탁을 잘 하지 않은 것으로 사용했기 때문이다 


금박은 훼손 우려 사치 등 이유로 민간에는 허용하지 않았지만 

조선 중기 후기에  일반 서민들도  혼례복으로 원삼이나 활옷을 일을 수 있게 허용되면서 

머리를  장식하는 댕기 등 부분적으로 금박을 했던 것이 발견되고 있다 



金箔話 2

朝鮮時代金を利用して作った金箔飾りの衣服は

王室や上流層の専用で民間には許容しなかった


ところで朝鮮後期遺物を見れば王室や両班家門の複式外に一般庶民たちの複式にも

部分的に金箔飾りが発見されている




1935年金光菌結婚式


花嫁はドリームてがらをしている


近代 1910年ドリームてがら

石柱船記念館





金箔文様は婚礼式や節日など特別な日に着る衣服に健康 長寿 ボックウルギワンする

文様で飾った

庶民層での金箔文様は主にてがら種類にたくさん発見されるてがらは頭を縛る時飾ることだ



朝鮮時代には 官営工匠に金箔を作る 金箔匠 . 金箔を織物に取るドダイックザング(都多益匠)を置いて多様な金箔文様を

生産した



1533年には 伝教によってソングゾルサ (明に使臣に行く使節団 )便にフングムボブ(燻金法)やミョグムボブ(猫金法)を

伝授受けて来たという記録がある

フングムボブは銀箔で金光を出すことだ


また高い金代りに雌黄で金箔を取ったというアックハックグェボムの記録があって

1505年に 花金都多益と 花雌都多益を身分によって使ったという記録がある


仮金製作方法に対しては

オズヨンムンザングゾンサンゴ (五洲衍文長箭散稿)によれば

銀箔 1両に 松子 7戦ソファング 3戦を交ぜて日焼けさせば金色に変わって 仮金を作ることができてと言った


朝鮮王室では金箔を 付金と言った


王室の複式遺物の 円衫 てがら唐依などに金箔柄が残っている


査察では仏像菩薩像の 改金や丹青 写経に使われたし漆器には金歯を刻んだ


朝鮮中期後期に一般庶民も婚礼式で円禳やホアルオッを着ることができるように許容されながら


徐徐に一般庶民たちも婚礼式で頭を飾るてがらに金箔で文様を刻んで派手に飾ることができた

朝鮮後期民間人たちの結婚写真で 新婦が派手なてがらをしている写真を見られる






17世紀 李端夏の否認のトトゥラクてがら ( 遺物 )


てがらは女性たちの長い髪を縛って飾る紐だ


がてがらは 李端夏1625年‾1689年)の

奥さんが大礼服を着て大きい頭をする時使ったトトゥラクてがらだ

紫色地色に金箔で柄を取った












幼い女の子のてがら( 復元 )


ギムドックファン(金徳煥)金箔場作品



てがらに対する記録で高麗道警によれば


結婚しない女達が赤い絹で頭を縛って残り髪の毛に下に付くと記録されている


てがらは朝鮮時代に来ていっそうもっと多様になった

トトゥラクてがらは礼葬用てがらの中に一つだ


朝鮮時代婚礼式で 新婦が頭にゾックドリや花冠を使ってチォックジン頭後にトトゥラクてがらを長く垂らすのに

トトゥラクてがらは (後てがら)と呼んだりする






トトゥラクてがらは普通 180cm 長さに 10‾12cm 幅の大きさで作って中央をつばめくちばしで折って二本になるようにする

てがら脳天に鶴や富貴などの金箔をあげて上側にはソックオングファングや玉板をつけて

中間にコウモリ童子蘭などの金箔柄を入れて下端には 寿 .福 字で仕上げる


婚礼用てがらに童子 (童子)柄を入れる理由は子孫繁昌を祈る意味だ






エリザベトキス作品 1921年




ナムバイ


防寒用帽子だ



右側お母さんと娘の防寒用帽子は風車(風遮)で左側息子がかぶった防寒用帽子はナムバイだ

お母さんと娘の使った 風遮は蝶花など柄が金箔されていてカボチャ(琥珀)や玉で通して作った竝びで飾られている


帽子の下に顔をくるむボルキが付いていれば風車(風遮)で

ボルキがなければナムバイと言う






道服にそろえる頭巾の一つ(巾) 20世紀初め

が道服にそろえる頭巾の一つは王子が使った道服にそろえる頭巾の一つだ王子がドルボック(生まれて初めて迎える誕生日に着た服)で着した道服にそろえる頭巾の一つだ

黒い色竜門団 (竜紋緞) 上に金箔をあげて宝石で飾った

正面上部中央には甘露数瓶の中に盛られた長い不老草と 寿福康寧だと吉祥文字を金箔したし

甘露数下には 〓 字を彫刻した矢翠を附着したし両方に二匹ずつ鳳凰を金箔した


右側紐の上には 寿福寿福 .下には 蒼松君子之節だと金箔したし内側の下には 落落長松夏雲 と金薄荷だった


左側紐の上には 福寿福 .芳草春録

内側の下には 録竹烈女之情 と金箔されている


後なら上部中央には鶴柄. 側面左側には 寿福和風甘雨瑞日祥雲 右側には 寿福門心皆水物我同春 と

付金(金箔)した


下部両方角にはそれぞれ 1個の便服文科不老草柄を賦金したしその間に 孝悌忠信を賦金(付金)ヘッダ






エリザベトキス作品少年




朝鮮時代金飾りの類型時期別出現率を見れば

織金(織金法)が 35.58%で一番高くて金紗自首(金糸刺繍)は 34.97% 印金は 29.45%手順だ


ところで 15世紀 16世紀の出土された金飾りの複式遺物の中に織金の使われた服は 95%で数等高いが

以後ますます減った一方金紗自首技法や印金(印金)の使われた複式は

朝鮮後期に行くほどその比重が高くなって行った


朝鮮時代 金飾り技法を使った複式遺物の中に出土された資料は 29.37%で所長(所蔵)資料は 68.29%で

所蔵資料がもっと多い


出土複式資料は大部分 16世紀以前ので一般両班の複式資料で

所蔵資料は 19世紀以後ので大部分王室複式資料だ


17‾18世紀 金飾り複式遺物はその 数がめっきり低いのにこれは壬辰の乱丙子胡乱など戦乱のためと見える


19世紀以後 金飾り遺物の中に 印金法 すなわち金箔飾りの遺物が多いのに王室の 所蔵資料が一番多い

金箔の衣服は洗濯をすれば金箔が易しく毀損されるから

王室では国家の重要行事がある時着する礼服として洗濯がお上手ではなかったことで使ったからだ


金箔は毀損憂慮贅沢など理由で民間には許容しなかったが

朝鮮中期後期に一般庶民たちも婚儀の時着る礼服で円禳やホアルオッを仕事をことがあるように許容されながら

頭を飾るてがらなど部分的に金箔をしたことが発見されている




TOTAL: 9090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8270
No Image
식사회 (3) nippon1 2023-08-06 1460 0
8269
No Image
고기는이(nikujyaga)(일본의 전통적인 가....... nnemon2 2023-08-03 2583 0
8268
No Image
마카로니라티코(핀란드의 전통 요리) ....... nnemon2 2023-07-30 2232 0
8267
No Image
전통 혼례복 원삼 (3) namgaya33 2023-07-29 1466 0
8266
No Image
전통 혼례복 활옷 (12) namgaya33 2023-07-28 1558 0
8265
No Image
금박 이야기 2 namgaya33 2023-07-25 1430 0
8264
No Image
금박 이야기 namgaya33 2023-07-25 1217 0
8263
No Image
조선시대 모담 (毛毯) namgaya33 2023-07-24 1175 0
8262
No Image
조선시대 보자기 (3) namgaya33 2023-07-24 1601 0
8261
No Image
Giuseppe Recco(17世紀のイタリアの画....... (4) nnemon2 2023-07-17 2364 0
8260
No Image
2023 도오의 여행 2번째 (4) nippon1 2023-07-17 1467 0
8259
No Image
샤르티바르시체이(리투아니아의 전통....... nnemon2 2023-07-15 2791 0
8258
No Image
히라츠카(hiratsuka) 칠석(tanabata) 축제 nnemon2 2023-07-11 1679 0
8257
No Image
뱀장어 먹는 복날(일본의 전통적인 습....... nnemon2 2023-07-11 2465 0
8256
No Image
비네그렛트(프랑스의 전통적인 sauce) ....... nnemon2 2023-07-09 2089 0
8255
No Image
슈닛트르(오스트리아등의 전통 요리) ....... nnemon2 2023-07-03 3142 0
8254
No Image
포타주·생제르맹(파리 도시권의 전통....... nnemon2 2023-06-30 1789 0
8253
No Image
돈겐(20 세기 초두에 활약하고 있던 화....... nnemon2 2023-06-30 1818 0
8252
No Image
순백색비단떡(후쿠이현의 전통적인 ....... nnemon2 2023-06-26 2176 0
8251
No Image
네모진 나무(masugata) 성(castle)·현신의 ....... nnemon2 2023-06-26 2525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