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요리의 발달을 살펴 보려면 요리 기구를 조사해 보면 특정 시대의 요리 수준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요리 기구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 봅니다.
料理の發達プロセスを確認するには調理道具を調べてみると、特定の時代の料理のレベルを知ることができます。
今日は、調理器具について簡単に説明します


150년전 출토된 土鍋(150年前の土鍋)
土鍋
現在のような形の土鍋が一般庶民の間で使われるようになったのは、意外にも最近のことで、江戸から明治の頃なのです。
현재와 같은 모양의 뚝배기가 일반 서민 사이에서 사용되게 된 것은, 의외로 최근의 일로,에도에서 메이지 시절입니다.
土鍋に現在のような蓋がついたのは、ごく最近のことで、それまでは木の蓋が使われていました。焼き物の蓋は、明治の頃に初めてついたのではないかと思われます。生活様式の変化で、土鍋が食卓にも上るようになって、見た目の問題からも蓋の必要が出てきた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生活の焼き物である鍋に装飾が施されたり、彩色がされるようになってきたのもこの頃です。
뚝배기에 지금과 같은 뚜껑이 붙은 것은 극히 최근의 일로, 그 전까지는 나무 뚜껑을 사용했습니다. 도자기 뚜껑은 메이지 무렵에 처음 붙은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생활 양식의 변화로, 뚝배기가 식탁에 오르는있게, 외형의 문제도 뚜껑 필요가 나온 것은 아닐까요. 생활 도자기이다 냄비에 장식되고, 채색이되도록되어 온 것도이 무렵입니다.
 
 
七輪
このころの「しちりん」は全国各地で作ることのできた陶器製のものが多かったと 思われます。
現在の石川県珠洲市(能登半島)の珪藻土製品は、江戸時代初期1615年頃から、 竈(かまど)や焜炉に利用したのが始まりと言われ、珪藻土製の「しちりん」は、 明治時代以後に爆発的に普及したようです。
이 시절 곤로는 전국 각지에서 만들 수 있었던 도자기 재질의 것이 많았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이시카와현 스즈시 (노토 반도)의 규조토 제품은에도 시대 초기 1615 년경부터 부뚜막이나 焜炉에 이용한 것이 시초라고하며 규조토제의 곤로는 메이지 시대 이후 폭발적으로 보급되었습니다.

七輪(しちりん)
 持ち歩きのできる土製のこんろで、家庭用炊飯用具である。七輪が普及し始めるのは、江戸時代の中頃からで、明治から大正時代にはどこの家庭でも使用されるようになった。
가지고 걷고있는 오지 스토브에서 가정용 취사 도구이다. 곤로가 대중 시작하는, 에도시대 중반부터이며, 메이지부터 다이쇼 시대에 어느 가정에서도 사용하도록되었다.

고구려 고분 출토 철제 부뚜막(高句麗古墳出土鉄製のかまどの)

かまど「韓竈」
戦前の農家の台所は非常に使いづらく、不便でした。煙突のない古来の竈に薪をくべて火をおこし、井戸から汲んできた水を低い流し中に注ぎ、膝を床につけたままの姿勢で食材や食器を洗うなど、立ったり、しゃがんだりの重労働が強いられていました。煙突のない竈から土間の中に飛ぶ煙やすすは非衛生的・非健康的でもありました。戦後になると農村住宅においても、水道や古来の竈から煙突のついた文化竈、立ったまま作業ができる流しとその横にやはり立ったままで調理ができる料理台などが必要だということになり、生活改善運動が展開されました。
전쟁 농가의 부엌은 아주 사용하기 어렵고 불편했습니다. 굴뚝없는 부뚜막에 장작을 사용하여 불을 부흥, 우물에서 길어온 물을 낮은 수채 사이 따르고 무릎을 바닥에 붙인 채로 자세 식재와 식기를 씻는 등 서 있고, 쭈그리고의 중노동하도록 강요했습니다. 굴뚝없는竈에서 토방 속에 나는 연기와 그을음은 비위생적 비 건강도있었습니다.전후가되면 농촌 주택에서도 수도나 노년竈에서 굴뚝이 달린 문화竈서 계속 작업을 할 수 수채와 그 옆에 역시 서있는 채로 요리가있는 요리 대 등이 필요하다는되고 생활 개선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燔鐵은 그 재료나 형태면에서 가마솥뚜껑과 유사하고 또, 최근까지도 농촌 산간지방에서는 燔鐵 대신 솥 뚜껑에 지짐을 했던 것으로 미루어 대략 鐵釜가 상용된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 사이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신라시대로부터의 명절 중양절(음력 9월9일)에, 반죽한 쌀가루를 산과 들로 가지고 나가서 주변의 국화잎을 뜯어 지짐을 구워 먹었다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燔鐵は、それらの材料や形の面で釜のふたのようにし、また、最近まで農村部の山岳地帯では、燔铁の代わりに釜のふたにチヂミをしたものと判断して約铁釜に入れられた三国時代から統一新羅時代の間に作られたと推定される。このような事実は、新羅時代からの祝日重陽節(旧暦9月9日)に、練り粉を山々に持って出て、周辺の菊の葉が破れてチヂミを焼いて食べたものでも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
 
강판 (薑板)
 
鐵鍋
  
石鍋
 
 
鍮器鍋
 
전립투(氈笠套)
伽耶  神仙爐
神仙爐


江戸時代の食生活 21 - 料理期で

요리의 발달을 살펴 보려면 요리 기구를 조사해 보면 특정 시대의 요리 수준을 알 수 있습니다.
오늘은 요리 기구에 대해서 간단하게 살펴 봅니다.
料理の發達プロセスを確認するには調理道具を調べてみると、特定の時代の料理のレベルを知ることができます。
今日は、調理器具について簡単に説明します


150년전 출토된 土鍋(150年前の土鍋)
土鍋
現在のような形の土鍋が一般庶民の間で使われるようになったのは、意外にも最近のことで、江戸から明治の頃なのです。
현재와 같은 모양의 뚝배기가 일반 서민 사이에서 사용되게 된 것은, 의외로 최근의 일로,에도에서 메이지 시절입니다.
土鍋に現在のような蓋がついたのは、ごく最近のことで、それまでは木の蓋が使われていました。焼き物の蓋は、明治の頃に初めてついたのではないかと思われます。生活様式の変化で、土鍋が食卓にも上るようになって、見た目の問題からも蓋の必要が出てきたのではないでしょうか。生活の焼き物である鍋に装飾が施されたり、彩色がされるようになってきたのもこの頃です。
뚝배기에 지금과 같은 뚜껑이 붙은 것은 극히 최근의 일로, 그 전까지는 나무 뚜껑을 사용했습니다. 도자기 뚜껑은 메이지 무렵에 처음 붙은 것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생활 양식의 변화로, 뚝배기가 식탁에 오르는있게, 외형의 문제도 뚜껑 필요가 나온 것은 아닐까요. 생활 도자기이다 냄비에 장식되고, 채색이되도록되어 온 것도이 무렵입니다.
 
 
七輪
このころの「しちりん」は全国各地で作ることのできた陶器製のものが多かったと 思われます。
現在の石川県珠洲市(能登半島)の珪藻土製品は、江戸時代初期1615年頃から、 竈(かまど)や焜炉に利用したのが始まりと言われ、珪藻土製の「しちりん」は、 明治時代以後に爆発的に普及したようです。
이 시절 곤로는 전국 각지에서 만들 수 있었던 도자기 재질의 것이 많았다고 생각됩니다.
현재 이시카와현 스즈시 (노토 반도)의 규조토 제품은에도 시대 초기 1615 년경부터 부뚜막이나 焜炉에 이용한 것이 시초라고하며 규조토제의 곤로는 메이지 시대 이후 폭발적으로 보급되었습니다.

七輪(しちりん)
 持ち歩きのできる土製のこんろで、家庭用炊飯用具である。七輪が普及し始めるのは、江戸時代の中頃からで、明治から大正時代にはどこの家庭でも使用されるようになった。
가지고 걷고있는 오지 스토브에서 가정용 취사 도구이다. 곤로가 대중 시작하는, 에도시대 중반부터이며, 메이지부터 다이쇼 시대에 어느 가정에서도 사용하도록되었다.

고구려 고분 출토 철제 부뚜막(高句麗古墳出土鉄製のかまどの)

かまど「韓竈」
戦前の農家の台所は非常に使いづらく、不便でした。煙突のない古来の竈に薪をくべて火をおこし、井戸から汲んできた水を低い流し中に注ぎ、膝を床につけたままの姿勢で食材や食器を洗うなど、立ったり、しゃがんだりの重労働が強いられていました。煙突のない竈から土間の中に飛ぶ煙やすすは非衛生的・非健康的でもありました。戦後になると農村住宅においても、水道や古来の竈から煙突のついた文化竈、立ったまま作業ができる流しとその横にやはり立ったままで調理ができる料理台などが必要だということになり、生活改善運動が展開されました。
전쟁 농가의 부엌은 아주 사용하기 어렵고 불편했습니다. 굴뚝없는 부뚜막에 장작을 사용하여 불을 부흥, 우물에서 길어온 물을 낮은 수채 사이 따르고 무릎을 바닥에 붙인 채로 자세 식재와 식기를 씻는 등 서 있고, 쭈그리고의 중노동하도록 강요했습니다. 굴뚝없는竈에서 토방 속에 나는 연기와 그을음은 비위생적 비 건강도있었습니다.전후가되면 농촌 주택에서도 수도나 노년竈에서 굴뚝이 달린 문화竈서 계속 작업을 할 수 수채와 그 옆에 역시 서있는 채로 요리가있는 요리 대 등이 필요하다는되고 생활 개선 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燔鐵은 그 재료나 형태면에서 가마솥뚜껑과 유사하고 또, 최근까지도 농촌 산간지방에서는 燔鐵 대신 솥 뚜껑에 지짐을 했던 것으로 미루어 대략 鐵釜가 상용된 삼국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 사이에 만들어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이러한 사실은 신라시대로부터의 명절 중양절(음력 9월9일)에, 반죽한 쌀가루를 산과 들로 가지고 나가서 주변의 국화잎을 뜯어 지짐을 구워 먹었다는 것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燔鐵は、それらの材料や形の面で釜のふたのようにし、また、最近まで農村部の山岳地帯では、燔铁の代わりに釜のふたにチヂミをしたものと判断して約铁釜に入れられた三国時代から統一新羅時代の間に作られたと推定される。このような事実は、新羅時代からの祝日重陽節(旧暦9月9日)に、練り粉を山々に持って出て、周辺の菊の葉が破れてチヂミを焼いて食べたものでも確認することができる。
 
강판 (薑板)
 
鐵鍋
  
石鍋
 
 
鍮器鍋
 
전립투(氈笠套)
伽耶  神仙爐
神仙爐


TOTAL: 933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1272
No Image
시사판에는 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kemukemu1 2009-10-28 1829 0
1271
No Image
타케시마는 일본령입니다. kemukemu1 2009-10-28 1721 0
1270
No Image
Al-Jazari Marich 2009-10-28 4631 0
1269
No Image
조선시대의 과학기술 -흠경각옥루 Marich 2009-10-28 3086 0
1268
No Image
조선시대의 과학과 기술 - 흠경각 옥....... Marich 2009-10-28 1925 0
1267
No Image
다이린지 주지 사이토, 29년째 안중근 ....... gandarf2 2009-10-27 1625 0
1266
No Image
문녹의 역으로 수상 수송은 있을 수 ....... 2009-10-27 1920 0
1265
No Image
일본 전쟁범죄자가 모두 처단되지 않....... gandarf2 2009-10-27 2228 0
1264
No Image
고종의 안중근 구하기 gandarf2 2009-10-27 2043 0
1263
No Image
어느 일본인의 망상 Marich 2009-10-27 2274 0
1262
No Image
조선시대의 과학기술-천문 1 Marich 2009-10-27 3376 0
1261
No Image
조선시대의 과학과 기술 - 천문 1 Marich 2009-10-27 3259 0
1260
No Image
창씨개명과 상호주의, 이름이란. 2009-10-27 3232 0
1259
No Image
바로 오늘입니다 gandarf2 2009-10-26 2064 0
1258
No Image
3세기 실크로드에서 이어진 torabora47 2009-10-26 2158 0
1257
No Image
왜왕의 이미지 dufjqns 2009-10-26 2111 0
1256
No Image
소박한 의문 hideki_kangeki 2009-10-26 3207 0
1255
No Image
한국의 금속 가공 기술 Marich 2009-10-26 4039 0
1254
No Image
한국의 금속 가공 기술(한글판) Marich 2009-10-26 2804 0
1253
No Image
일본이 부러운 rainyseason  2009-10-25 227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