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 성곽(城郭)
* 성곽 : 적군의 침입을 막기 위해 흙이나 돌 또는 벽돌 등의 재료를 이용해 높이 쌓아 올린 담
  - 성 : 내성
  - 곽 : 외성
  → 내성과 외성을 구분하지 않고 보통 “성”이라고 부름
 
◈ 성곽 유적의 의미
* 성곽 유물의 의미
  - 성의 형태와 규모를 통해 당시 주변 세력들의 규모를 파악할 수 있음
* 낮은 기술 수준의 소규모의 성과 높은 수준의 대규모 성을 쌓은 축성주체와 그 성을 공격하는 세력은 큰 차이를 보임
* 성을 중심으로 공방하였던 세력의 발전수준을 알려주는 주요한 문화유산임
 
◈ 성곽의 기원
* B.C 1~2세기 경 높은 지대에 집단 거주하던 사람들이 마을을 지키기 위해 주변에 둑을 쌓거나 구덩이(환호;環壕)를 파놓으면서 시작
* 둑이나 구덩이 같은 원시적인 방어시설은 소규모 인원의 전투에서 방어하는 쪽에 큰 효과를 줌
* 사회발전에 따라 대규모의 전투가 벌어지면서부터 나무를 이용한 목책성과 토성, 산성 등이 본격적으로 등장

(환호 방어시설 - 부여 송국리 유적 - KBS HD 역사스페셜 화면)
 
 

◈ 성곽의 종류

* 성의 축성 재료에 따른 분류

  1. 나무 : 목책성
  2. 흙 : 토성
  3. 돌 : 석성
  4. 흙과 돌 : 토석혼축성
  5. 벽돌 : 전축성
  6. 돌과 벽돌 : 전석혼축성

 

 

 

 

1. 목책성 : 목책을 둘러 방어 시설을 한 것으로 성곽의 가장 원초적인 형태
  -『삼국지』위지동이전 : 부여의 작성책(作城柵), 진한의 유성책(有城柵)
  - 고구려 태조왕 16년(98) 두만강 연안에 책성(柵城), 신라 일성왕 4년(137) 강릉 부근에 오책(五柵)을 설치한 기록
  - 조선시대에도 활용 : 행주산성은 이중으로 된 책성이었음
  - 긴급히 성을 만들어 방어해야 할 필요가 있을 때 책성을 이용함

 

▲백제 몽촌토성(3C)과 목책

 

(환호와 목책 방어시설 복원 상상도 - KBS HD 역사스페셜 화면)

 

(임진왜란 행주산성 전투 상상도)

(목책과 같은 원리를 이용한 현대의 바리케이트)

 

 

 

2. 토성 : 석성과 함께 우리 나라 성곽의 주류를 이루고 있음
  - 석재의 운반이 어려운 지형에서 축조
  - 고대 삼국시대(고구려 평양성, 백제 풍납토성, 몽촌토성, 신라 반월성 등)부터 고려 말까지 널리 유행, 조선 초 한양도성도 토성이었음
  - 후대에 석축으로 개조하는 경우가 많음

 

(토성-제주 항파두리 항몽유적지)
 

(토성-경주 신라 반월성)

 

 

 

3. 석성 : 돌을 쌓아 성벽을 만드는 방식으로 우리나라 성곽의 주류
  - 삼국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 축조
  - 처음부터 석축으로 하는 경우도 있으며, 토성을 개축한 경우(남한산성 등)도 있음


4. 토석혼축성 : 흙과 돌을 함께 사용하여 성벽을 만든 성곽
  - 석축인 경우에도 우리나라 산성은 대부분 바깥쪽에는 석축, 안쪽에는 토축을 이루는 경우가 많음

 (석성-단양 온달산성)
 

 
 
 
5. 전축성 : 벽돌을 주재료로 하여 축성한 것
  - 한국에는 벽돌로만 지은 성은 없음
  - 임란 후 기존 석성이 문제점을 드러내 벽돌 사용에 대한 의견이 대두됨
  - 숙종 때 강화산성, 정조 때 수원 화성 축조 시 일부를 벽돌로 축조함
 (전축성 - 우즈베키스탄 부하라 전축성 모습)
 
(전축성 - 중국 만리장성 모습)
 
 
 
 
 

6. 석전혼축성 : 돌과 벽돌을 함께 사용한 것으로 한국에는 완전한 전축성은 없고 대부분 석성에 벽돌을 일부 사용한 것.

 
 
(석전혼축성 - 경기도 수원 화성)
 
 
 
 
 

 성곽의 종류

* 성의 목적에 따른 분류

  1. 행정적인 성

  2. 군사적인 성

 

1. 행정적인 성 : 성곽의 제 1차적인 기능인 군사적인 목적만을 위한 것이 아니라 평상시 행정적인 측면이 중시되면서 유사시를 대비한 성곽으로 도성이나 읍성이 대표적


2. 군사적인 성 : 일반적인 성곽축조의 목적으로 군사적인 방어시설물의 역할을 하는 것

  - 평상시의 거주 여부에 따라 대피성(待避城), 상주성(常駐城)으로 구분

 

 

◈ 성곽의 종류

* 성의 거주 주체에 따른 분류

  1. 도성

  2. 궁성

  3. 읍성

  4. 행재성

 

 

1. 도성 : 왕이 평시 거주하는 행정의 중심지에 내곽인 궁성(宮城)과 외곽인 나성(羅城)을 갖춘 형태

(19세기 동국여도 가운데 도성도 부분)

 

 

2. 궁성 : 왕이 거처하는 곳에 궁궐과 관청건물들을 성벽이나 담장으로 둘러싸는데 이를 통틀어 궁성이라 부름

  -

궁성은 도성이 없는 곳에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도성 내에만 있는 것은 아님

 

 

 

 

3. 읍성 : 군.현 주민의 보호와 군사적, 행정적인 기능을 함께 하는 성.
  - 고려 말 일본인의 침입에 대비해 읍성을 축조한 것을 시초로 보고 있으며 조선시대에 많이 축조됨

  - 평지에 쌓는 경우는 드물고 대게 배후의 산등성이를 포용하여 평지와 산기슭을 함께 감싸면서 축조(평산성이라 부름).
  - 조선시대 『동국여지승람』에는 읍성이 179개소가 등장.

(읍성-낙안읍성)

 

 

(읍성 - 해미읍성)

 

 

 

4. 행재성 : 도성 외에 왕이 상주하지는 않으나 국방상, 행정상 중요한 지역에 임시로 가서 머물 수 있도록 만든 성으로 이궁(離宮)이 있는 곳

  - 수원의 화성이 대표적

 

(행재성 - 수원 화성행궁)


sj, s

〓 城郭(城郭)
* 城郭 : 敵軍の侵入を阻むために土や石または煙瓦などの材料を利用して高く積んで上げた垣
  - 性 : 耐性
  - 郭 : 外姓
  → 耐性と外姓を区分しないで普通 ¥"性¥"と呼びかけ
 
〓 城郭遺跡の意味
* 城郭遺物の意味
  - 誠意形態と規模を通じて当時周辺勢力たちの規模を把握することができる
* 昼は技術水準の小規模の成果高い水準の大規模城を積んだ築城主体とその城を攻撃する勢力は大きい差を見える
* 性を中心に攻防した勢力の発展水準を知らせてくれる主な文化遺産
 
〓 城郭の起源
* B.C 1‾2世紀頃高い地帯に集団居住した人々が村を守るために周辺に堤防を積むとか窪み(歓呼;環壕)をほっておきながら手始め
* 堤防や窪みみたいな原始的な防御施設は小規模人員の戦闘で防御する方に大きい效果をズーム
* 社会発展によって大規模の戦闘が起ってから木を利用した木柵性と土星, 酸性などが本格的に登場

(歓呼防御施設 - 付与宋国利遺跡 - KBS HD 歴史スペシャル画面)
 
 

〓 城郭の種類

* 誠意築城材料による分類

  1. 木 : 木柵性
  2. 土 : 土星
  3. 石 : 石聖
  4. 土と石 : トソックホンツックソング
  5. 煙瓦 : 電蓄性
  6. 石と煙瓦 : ゾンソックホンツックソング

 

 

 

 

1. 木柵性 : 木柵をかけて防御施設をしたことで城郭の一番原初的な形態
  -『三国志』ウィジドングイゾン : 付与のザックソングチェック(作城柵), 辰韓のユソングチェック(有城柵)
  - 高句麗太祖王 16年(98) 豆満江沿岸にチェックソング(柵城), 新羅一声王 4年(137) 江陵近所にオチェック(五柵)を設置した記録
  - 朝鮮時代にも活用 : 幸州山城は二重になったチェックソングなら
  - ギングブヒ性を作って防御しなければならない必要がある時チェックソングを利用する

 

▲百済夢村土城(3C)と木柵

 

(歓呼と木柵防御施設復元想像図 - KBS HD 歴史スペシャル画面)

 

(壬辰の乱幸州山城戦闘想像図)

(木柵のような原理を利用した現代のパリケート)

 

 

 

2. 土星 : 石聖とともに我が国の城郭の主流をなしている
  - 石材の運びが難しい地形で築造
  - 古代三国時代(高句麗平壌城, 百済風納土城, 夢村土城, 新羅半月城など)から高麗末まで広く流行, 朝鮮超漢陽都城も土星なら
  - 後代に石垣で改造する場合が多い

 

(土星-済州ハングパドリハンモン遺跡地)
 
(土星-慶州新羅半月城)

 

 

 

3. 石聖 : 石を積んで城壁を作る方式で我が国の城郭の主類
  - 三国時代から朝鮮後期まで築造
  - はじめから石垣にする場合もあり, 土星を改築した場合(南漢山城など)もあったら

4. トソックホンツックソング : 土と石を一緒に使って城壁を作った城郭
  - 石垣の場合にも我が国の酸性は大部分外側には石垣, 内側にはトツックを成す場合が多い
 (石聖-丹陽オンダルサンソング)
 
 
 
 
5. 電蓄性 : 煙瓦を主材料にして築城したこと
  - 韓国には煙瓦にだけ建てた性はいない
  - 壬乱後既存石聖が問題点を現わして煙瓦使用に対する意見が頭をもたげ
  - 肅宗の時強化酸性, 情調の時水原華城築造時一部を煙瓦で逐造する
 (電蓄性 - ウズベキスタンでぶだから電蓄性姿)
 
(電蓄性 - 中国万里長城姿)
 
 
 
 
 

6. ソックゾンホンツックソング : 石と煙瓦を一緒に使ったことで韓国には完全な電蓄性はなくて大部分石聖に煙瓦を一部使ったこと.

 
 
(ソックゾンホンツックソング - 京畿道水原華城)
 
 
 
 
 
 城郭の種類

* 誠意目的による分類

  1. 行政的な性

  2. 軍事的な性

 

1. 行政的な性 : 城郭の第 1次的な機能である軍事的な目的のみのためではなく普段行政的な側面が重視されながら有事時を備えた城郭で都城や邑城が代表的


2. 軍事的な性 : 一般的な城郭築造の目的に軍事的な防御施設物の役目をすること

  - 日ごろの居住可否によって待避性(待避城), 常住性(常駐城)で仕分け

 

 

〓 城郭の種類

* 誠意居住主体による分類

  1. 都城

  2. 宮城

  3. 邑城

  4. ヘングゼソング

 

 

1. 都城 : 王が平時居住する行政の中心地に内廓である宮城(宮城)と外郭である羅城(羅城)を取り揃えた形態

(19世紀東国でも中都城も部分)

 

 

2. 宮城 : 王が住む所に宮廷と官庁建物たちを城壁や垣根で取り囲むのにこれをひっくるめて宮城だから呼びかけ

  - 宮城は都城がない所にもあり得るから必ず都城内にだけいるのではなさ

 

 

 

 

3. 邑城 : 郡.県住民の保護と軍事的, 行政的な機能を一緒にする性.
  - 高麗ではない倭寇の侵入に備えて邑城を逐造したことを始めに見ているし朝鮮時代にたくさん築造される

  - 平地に積む場合は珍しくて大体背後の尾根を包容して平地と山すそを一緒にくるみながら築造(ピョングサンソングだから呼びかけ).
  - 朝鮮時代 『東国輿地勝覧』には邑城が 179ヶ所が登場.

(邑城-ナックアン邑城)

 

 

(邑城 - 海美邑城)

 

 

 

4. ヘングゼソング : 都城外に王が常在しないが国防相, 行政上重要な地域に臨時に行ってとどまるように作った性で離宮(離宮)がある所

  - 水原の火星が代表的

 

(ヘングゼソング - 水原火星仮宮)


TOTAL: 9077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777
No Image
대폭소^ o^14명의 구미인이 본 100....... ネット右翼 2009-08-06 29480 0
776
No Image
일본원숭이드라 인정할건인정해 GODSUN 2009-08-06 14289 0
775
No Image
한일 기본 조약 01 2009-08-06 16551 0
774
No Image
성곽의 역사, 한국 성곽의 종류 wjddlsrb1159 2009-08-04 16591 0
773
No Image
일본왕 Wildboy 2009-08-02 25113 0
772
No Image
일본왕 dooble 2009-08-02 14259 0
771
No Image
일본 위안부 결의안 유엔 상정 오바마....... cutebulleta 2009-08-01 14316 0
770
No Image
노랑 후미오 선생님초시공공녀설 fmdoll 2009-07-30 16944 0
769
No Image
일한번역 게시판이라는 것은 koyoi 2009-07-29 13902 0
768
No Image
명향 denka 2009-07-29 12894 0
767
No Image
이곳이 망한 줄 알았지만... cutebulleta 2009-07-28 14567 0
766
No Image
세계 제일의 혐한민족 ネット右翼 2009-07-28 30770 0
765
No Image
오선화 hanedai 2009-07-28 14656 0
764
No Image
중화 30 사슴 트리오를 노벨상을 잡히....... hideki_kangeki 2009-07-27 14246 0
763
No Image
미묘 hideki_kangeki 2009-07-27 13919 0
762
No Image
거울안의 자신 hideki_kangeki 2009-07-27 14303 0
761
No Image
사라진 나무의 관 fmdoll 2009-07-26 16915 0
760
No Image
일본과 한국, 고분의 규모의 차이 guns2 2009-10-18 14383 0
759
No Image
조선 지지, 대한 지지와 일본해 Sea of....... Boussole Jukdo 2009-07-25 18437 0
758
No Image
다다미와 韓紙장판 namgaya33 2009-07-25 14993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