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

 

四年 正月 上與惠后受朝南桃 宴太君彡君於高井
4년(AD129년) 1월 상은 惠后(혜후)와 함께 南桃(남도)에서 조회를 받았다. 高井(고정)에서 太君(태군)과 彡君(삼군)을 위한 연회를 열었다.

(2,3,4,5,6월 기사 생략)

七月 吉門與發良妻甘生 逃歸卞山 初甘生與吉門有私 願歸于吉門 聖父不許 而妻發良 甘生乃誘干時曰 “我夫骨好 而性柔 汝夫骨賤 而性急 我當爲汝易之” 干時年幼 而順良 以其言告于吉門 吉門大喜 遂與發良會飮 因其醉 使干時薦之 發良酒醒 而悔之 謝罪于吉門 吉門笑曰 “入枕之花不貪 非丈夫也 旣貪之花反之 非豪傑也 兄妻雖老與我有私 可以易之” 發良曰 “我旣犯罪 敢不如命 但恐聖父不許” 吉門乃與甘生不告 而去 聖父大怒 欲伐吉門 時達門有寵於聖父 而泣救之 史聖亦止之 乃以干時爲京路軍母 行吉鮑祠 而命吉門反甘生 甘生托病 不歸自爲吉門妻 聖父奏曰 “臣之子女恃臣之功 而荒亂者 願上治之 無赦“ 上曰 “朕之兄弟也 雖亂何妨”
7월 吉門(길문)은 發良(발량)의 처 甘生(감생)과 함께 卞山(변산)으로 도망하여 돌아갔다. 처음에 甘生(감생)은 吉門(길문)과 사통한 적이 있어, 吉門(길문)에게 시집하기를 원했지만, 聖父(성부)는 허락하지 않고 發良(발량)에게 시집보냈다. 甘生(감생)은 이에 干時(간시)를 유혹하며 말하길, “나의 남편은 骨好(골호)이고 성격이 유순하나, 그대의 남편은 骨賤(골천)이고 성격이 급합니다. 나는 그대을 위해 남편을 바꾸는 것이 마땅합니다.” 라고 하였다. 干時(간시)는 나이가 어리고 順良(순량, 량순)하였다. 그녀의 말을 吉門(길문)에게 고하니, 吉門(길문)은 크게 기뻐하며 마침내 發良(발량)과 만나 술을 마셨다. 취한 틈을 타 干時(간시)를 시켜 잠자리를 하게 하였다. 發良(발량)은 술이 깨어서 후회하며, 吉門(길문)에게 사죄하니, 吉門(길문)은 웃으면서 말하길 “잠자리에 들어간 꽃을 탐하지 않는 것은 丈夫(장부)가 아니며, 이미 탐한 꽃을 물리치는 것도 豪傑(호걸)이 아닙니다. 형의 처는 비록 늙었지만 나와 사통한 적이 있으니 바꿀 만합니다.” 라고 하였다. 發良(발량)이 말하길 “나는 이미 죄를 지었으니, 감히 명을 따르지 않겠냐만은, 다만 聖父(성부)께서 허락하지 않을까 두렵다.” 라고 하였다. 吉門(길문)은 이에 甘生(감생)과 함께 알리지 않고 떠나가니, 聖父(성부)는 크게 노하여 吉門(길문)을 벌하고자 하였다. 이때 達門(달문)이 聖父(성부)에게 총애를 받고 있었는데 울면서 요청하였다. 史聖(사성) 또한 이를 그만두라고 하였다. 이에 干時(간시)를 京路軍母(경로군모)로 삼았고, 鮑祠(포사)에서 혼례를 하였고, 吉門(길문)에게 명하여 甘生(감생)을 되돌리라고 하였으나, 甘生(감생)은 병을 핑계로 돌아가지 않고 스스로 吉門(길문)의 처가 되었다. 聖父(성부)가 진언하길 “臣(신)의 자녀들은 臣(신)의 功(공)을 믿고, 荒亂(황란)한 자들이니, 원컨데 상께서 그들을 다스리고 용서치 마시길 바랍니다.” 라고 하였다. 상이 말하길 “짐의 형제들이다. 비록 난리를 피웠지만 어찌 훼방을 놓겠는가” 라고 하였다.

 

有私을 私通으로.. 한문 잘 하는 사람이 얘기하더군요. 합리적이라 생각해요.
有私 뒤에서 끊어읽기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제사.. 해석이 자연스러워졌습니다


婆娑尼師今記(罷仕引っ越しタブー) 4年 7月.

 

四年 正月 上與惠后受朝南桃 宴太君彡君於高井
4년(AD129년) 1월 상은 惠后(혜후)와 함께 南桃(남도)에서 조회를 받았다. 高井(고정)에서 太君(태군)과 彡君(삼군)을 위한 연회를 열었다.

(2,3,4,5,6월 기사 생략)

七月 吉門與發良妻甘生 逃歸卞山 初甘生與吉門有私 願歸于吉門 聖父不許 而妻發良 甘生乃誘干時曰 “我夫骨好 而性柔 汝夫骨賤 而性急 我當爲汝易之” 干時年幼 而順良 以其言告于吉門 吉門大喜 遂與發良會飮 因其醉 使干時薦之 發良酒醒 而悔之 謝罪于吉門 吉門笑曰 “入枕之花不貪 非丈夫也 旣貪之花反之 非豪傑也 兄妻雖老與我有私 可以易之” 發良曰 “我旣犯罪 敢不如命 但恐聖父不許” 吉門乃與甘生不告 而去 聖父大怒 欲伐吉門 時達門有寵於聖父 而泣救之 史聖亦止之 乃以干時爲京路軍母 行吉鮑祠 而命吉門反甘生 甘生托病 不歸自爲吉門妻 聖父奏曰 “臣之子女恃臣之功 而荒亂者 願上治之 無赦“ 上曰 “朕之兄弟也 雖亂何妨”
7월 吉門(길문)은 發良(발량)의 처 甘生(감생)과 함께 卞山(변산)으로 도망하여 돌아갔다. 처음에 甘生(감생)은 吉門(길문)과 사통한 적이 있어, 吉門(길문)에게 시집하기를 원했지만, 聖父(성부)는 허락하지 않고 發良(발량)에게 시집보냈다. 甘生(감생)은 이에 干時(간시)를 유혹하며 말하길, "나의 남편은 骨好(골호)이고 성격이 유순하나, 그대의 남편은 骨賤(골천)이고 성격이 급합니다. 나는 그대을 위해 남편을 바꾸는 것이 마땅합니다." 라고 하였다. 干時(간시)는 나이가 어리고 順良(순량, 량순)하였다. 그녀의 말을 吉門(길문)에게 고하니, 吉門(길문)은 크게 기뻐하며 마침내 發良(발량)과 만나 술을 마셨다. 취한 틈을 타 干時(간시)를 시켜 잠자리를 하게 하였다. 發良(발량)은 술이 깨어서 후회하며, 吉門(길문)에게 사죄하니, 吉門(길문)은 웃으면서 말하길 "잠자리에 들어간 꽃을 탐하지 않는 것은 丈夫(장부)가 아니며, 이미 탐한 꽃을 물리치는 것도 豪傑(호걸)이 아닙니다. 형의 처는 비록 늙었지만 나와 사통한 적이 있으니 바꿀 만합니다." 라고 하였다. 發良(발량)이 말하길 "나는 이미 죄를 지었으니, 감히 명을 따르지 않겠냐만은, 다만 聖父(성부)께서 허락하지 않을까 두렵다." 라고 하였다. 吉門(길문)은 이에 甘生(감생)과 함께 알리지 않고 떠나가니, 聖父(성부)는 크게 노하여 吉門(길문)을 벌하고자 하였다. 이때 達門(달문)이 聖父(성부)에게 총애를 받고 있었는데 울면서 요청하였다. 史聖(사성) 또한 이를 그만두라고 하였다. 이에 干時(간시)를 京路軍母(경로군모)로 삼았고, 鮑祠(포사)에서 혼례를 하였고, 吉門(길문)에게 명하여 甘生(감생)을 되돌리라고 하였으나, 甘生(감생)은 병을 핑계로 돌아가지 않고 스스로 吉門(길문)의 처가 되었다. 聖父(성부)가 진언하길 "臣(신)의 자녀들은 臣(신)의 功(공)을 믿고, 荒亂(황란)한 자들이니, 원컨데 상께서 그들을 다스리고 용서치 마시길 바랍니다." 라고 하였다. 상이 말하길 "짐의 형제들이다. 비록 난리를 피웠지만 어찌 훼방을 놓겠는가" 라고 하였다.

 

有私을 私通으로.. 한문 잘 하는 사람이 얘기하더군요. 합리적이라 생각해요.
有私 뒤에서 끊어읽기로 변경이 되었습니다.
이제사.. 해석이 자연스러워졌습니다



TOTAL: 9448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988
No Image
타케시마=독도는 일본의 영토입니다 ....... kemukemu1 2009-09-21 10039 0
987
No Image
일본은 숨쉬듯 역사를 날조하는 Wildboy 2009-09-21 14163 0
986
No Image
한국은 어째서 역사를 날조 합니까? 銀河 2009-09-21 12922 0
985
No Image
에도시대의 식생활 15 - 양봉 Marich 2009-09-21 10978 0
984
No Image
고증, 타케시마=독도는 일본의 영토입....... kemukemu1 2009-09-21 15386 0
983
No Image
랄라라라~ 경태곰돌씨a 2009-09-21 8838 0
982
No Image
일본의 교과서 namgaya33 2009-09-21 10715 0
981
No Image
원인은 이것인가! hideki_kangeki 2009-09-21 9219 0
980
No Image
그런 나라의 모신사를 참배한 각국 군....... yamato 2009-09-21 11140 0
979
No Image
목동과 늑대 hideki_kangeki 2009-09-20 9480 0
978
No Image
대만에서 신이 된 일본 군인 酒井のりぴこ 2009-09-20 10075 0
977
No Image
일제 통치하 조선. yamato 2009-09-20 10862 0
976
No Image
일본 독자적인 지붕 「히노키피즙」 栄養市民 2009-09-19 11084 0
975
No Image
사렘씨에게의 회답 chanburu 2009-09-19 9661 0
974
No Image
어느A 조선인의 겨울 방학의 숙제. yamato 2009-09-19 9363 0
973
No Image
이 그림은 무엇입니까? 酒井のりぴこ 2009-09-19 10498 0
972
No Image
에도시대의 식생활 14 - 양계 Marich 2009-09-19 10645 0
971
No Image
일제의 위안부 한국의 위안부 搔‹ 2009-09-19 10633 0
970
No Image
re:한글은 일본이 보급시킨 것은 사실....... サレム 2009-09-19 9764 0
969
No Image
re:일제 시대의 한글의 신문(1943년 이....... yamato 2009-09-19 1088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