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문화소개 Relationship

방향

철향 또는 철방향이라 부르는 방향은, 장방형으로 만든 철판 16매를 아래,위 횡철에 각각 8매씩 매달고, 각퇴로 쳐서 소리낸다. 조선초기부터 향악에 편성되었고, 그뒤 당악과 고취에 계속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아악기인 편종, 편경으로 대신하고, 종묘제향에만 사용한다.

 

 

 

 위로

특경

특종과 같이 한개의 큰 경을 틀에 매달고, 각퇴로 쳐서 소리낸다. 조선 세종 때에는 가경이라고도 하였다.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 등에서 음악이 그칠 때 사용되며, 조선 세종 때에는 등가와 헌가에 편성되다가, 성종 때에는 등가에 황종 특경만이 사용되었다.

 

 

 

 위로

편경

흰 기러기가 받치고 있는 나무틀에 “ㄱ”자 모양의 경석을 8개씩 두 단으로 매달고, 각퇴로 쳐서 소리낸다. 두께가 두꺼울수록 음이 높아진다. 편종과 같이 12율 4청성을 소리내는데, 경석이 맑을수록 멀리 들리며 음빛깔이 청아하다. 또한 음높이가 변동이 없어, 편경이 편성되는 모든 음악에서 조율의 기본이 된다. 문묘제례악, 종묘제례악과 관악합주인 보허자, 낙양춘, 유황곡, 정동방곡, 여민락만, 본령, 해령 등에 편종과 함께 편성된다.
편종과 함께 고려시대에 중국에서 전래된 악기로 조선 세종때 경기도 남양주군에서 경석이 발견되어, 박연을 중심으로 하여 편경이 제작되기 시작하였다.

 

 

 

 위로

거문고

오동나무판 위에 6줄(문현, 유현, 대현, 괘상청, 괘하청, 무현)을 명주실로 만들어 걸고 3줄(유현, 대현, 괘상청)은 16개의 괘위에, 3줄(문현, 괘하청, 무현)은 3개의 안족 위에 얹어 놓고 술대로 밀거나 뜯어서 연주한다. 소점과 대점의 강약과 왼손의 장력에 의한 미분음으로 인하여 소리가 깊고 무거워 남성적인 악기로 여겨져 왔다. 거문고는 대편성의 관현합주인 여민락, 평조회상 등과 세악편성인 영산회상, 천년만세, 보허사 등과 산조 등에 사용된다.

거문고는 5세기 이전에 고구려에서 발생한 우리나라의 고유한 대표적인 악기이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중국 진나라 사람이 칠현금을 고구려에 보내왔는데 그것을 왕산악이 본모양은 그대로 두고, 우리에게 맞도록 따로 만들어 새로 작곡한 곡조를 연주하니 검은 학이 날아와 춤을 추었다 하여 현학금이라 이름하고, 후에 거문고로 되었다고 한다. 그후 거문고는 통일신라 이후에 신라에 전해졌고 옥보고를 비롯하여 손명득, 귀금, 안장, 청장, 극상, 극종 이후로 널리 보급되었다. 통일신라 삼현중의 하나이다.

 

 

 

 위로

가야금

오동나무판 위에 명주실로 만든 12줄을 안족(기러기발)으로 받쳐 놓고 연주한다. 가야금은 정악을 연주하는 정악가야금(법금, 풍류가야금)과 산조가야금의 두 종류가 있다. 정악가야금은 손가락으로 밀거나 퉁겨 소리내고, 산조가야금은 줄과 줄 사이가

좁기 때문에 빠른 음악을 연주하기가 쉽고 손가락으로 뜯거나 퉁겨 소리낸다. 가야금은 음빛깔이 가볍고 아름답기 때문에 여성적인 악기라 한다.
정악가야금은 여민락, 평조회상 등의 대편성 관현합주곡과 영산회상, 천년만세, 보허사 등의 세악편성에 사용되고, 산조가야금은 산조, 시나위 등에 사용된다. 현재 사용되는 가야금은 이 두 종류 이외에, 더 넓은 음역과 음빛깔을 구사하기 위해 개량된 가야금이 있다.
  통일신라의 삼현에 속하는 가야금은 가야국의 가실왕이 당나라의 악기를 보고 만들었다. 일본에는 신라 사람에 의하여 전해졌기 때문에 신라금(시라기고도)이라고 부른다. 현재 일본 나라의 정창원에 신라금이 전해지고 있다.

 

 

 

 위로

아쟁

오동나무판 위에 7줄의 명주실을 안족(기러기발)으로 받쳐 놓고, 껍질을 벗긴 개나리 가지에 송진을 칠하여 줄에 문질러서 소리낸다. 말총 활대에서 업는 소리 보다 장중하고 억센 음빛깔을 갖고 있다. 국악기 가운데서는 저음 악기에 속하므로 대편성
의 관현 합주시에 빼 놓을 수 없다.

보허자, 낙양춘, 삼현영산회상, 동동과 같은 관악합주, 여민락,   평조회상 같은 대편성의 관현합주에 편성된다. 고려시대에는 당악에만 편성되었고, 조선 성종 이후로는 당악과 향악에 함께 사용되었다.

 

 

 

 위로

대쟁

쟁은 13줄로 되어 있고, 대쟁은 15줄로 되어 있다. 오동나무판 위에 명주실로 만든 줄을 안족으로 받쳐 놓고 연주한다. 정악 가야금 보다 조금 더 큰 대쟁은 저음악기로서, 무겁고 웅장한 느낌을 준다.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들어온 쟁은 중국의 속악에 쓰이던 악기로서 조선 성종 때까지도 당악에만 사용되다가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다

 

 

 

 위로

오동나무판 위에 7줄을 걸어 놓고 연주한다. 안족이 없는 대신 검은 복판 한편에 휘라고 부르는 휜 자개 13개가 박혀 있어 음의 위치를 알려 준다. 

 

 

 

 

 위로

오동나무판 위에 25줄을 안족으로 받치고 윤현을 기준으로 하여 아래쪽 12줄은 오른손 식지로, 윗쪽 12줄은 왼손 식지로 동시에 연주하여 완전 8도의 화음을 낸다.

 

 

 

 

 위로

양금

다른 현악기가 명주실로 되어 있는 반면에 양금은 철사줄로 되어 있다. 사다리 꼴의 울림통 위에 두 개의 괘가 줄을 받치고 있어, 괘를 중심으로 좌, 우, 중간의 세 부분으로 나뉘어져 있다. 가는 철사줄 4줄이 한 벌을 이루고, 14벌로 되어 있으며, 모두 18개의 음을 조율해서 쓸 수 있다

금속성의 가볍고 맑은 음빛깔을 가진 악기로서, 일정한 높이의 철사줄을 쳐서 소리를 내기 때문에 농현주법은 불가능한 대신, 채를 굴려서 연주하는 트레몰로 주법이 중요하게 쓰인다. 양금은 음량이 작기 때문에 영산회상, 천년만세, 보허사 같은 세악 편성과 단소와의 병주에 사용된다. 조선 영조때 명나라를 거쳐 우리나라에 들어온 양금은 구라철사금 또는 서양금이라 불리기도 한다.

 

 

 

 위로

해금

대나무로 만든 공명통 위에 명주실로 만든 두줄을 원산으로 고이고, 두 줄 사이에 말총 활대를 끼워 활털의 배와 등으로 줄에 마찰시켜 소리낸다. 공명통에서 나는 특이한 음빛깔로 인하여 속칭 깽깽이라고 불리우기도 한다. 유현과 중현 두 줄을 와전 5도 차이나게 조율하여 연주한다. 소리는 약하고 부드러우며, 약음기를 쓴 바이올린 소리(고음악기)와 비슷하다. 해금은 팔음(8가지 재료)을 모두 구비한 유일한 악기이다. 해금은 세악편성과 삼현육각 혹은 대풍류에 편성된다.  각각의 편성에서 해금의 음량 조절은 원산의 위치에 의한다

즉, 음량이 작은 세악편성의 연주시에는 원산을 변죽에 놓고, 삼현육각, 대풍류와 같이 큰 음량이 요구될 때는 원산을 복판에 놓는다. 보허자, 낙양춘, 영산회상, 천년만세, 평조회상, 삼현영상회상, 수제천, 여민락, 염불, 타령, 굿거리, 산조 등에 사용된다.
  고려시대에 송나라에서 들어온 것으로 처음에는 당악과 향악에 사용되었고, 조선 성종 때에는 악학궤범에 당부악기고 소개 하면서도 향악에만 사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위로

월금

완함, 또는 진비파, 진한자라 불리우며 4줄이 13괘위에 걸쳐 있다. 악학궤범과 일본 정창원의 것 모두 4줄이고, 무용총의 것만 5줄로 되어 있다. 지금은 사용되지 않는다. 현재는 개량된 월금이 연주된다.

 

 

 

 

 위로

당비파

4줄의 현악기로 목이 구부러진 곡경 비파이다. 12개의 괘 중에서 제5괘까지는 4줄 모두 걸쳐 있고, 제6괘부터 8괘까지는 2줄(중현, 자현)이 걸쳐 있고, 제9괘부터 11괘까지는 자현만이, 제12괘는 무현만이 걸쳐 있다. 당비파로 당악을 연주할 때는 발목을 사용하고, 향악을 연주할 때는 가조각을 끼고 연주했다. 당비파는 향악에서 대금, 당피리, 해금, 장구와 함께 편성되었으나, 조선후기부터 악기만 전해질 뿐 연주되지 않고 있다. 현재는 복원 개량된 당비파가 연주된다.

 

 

 

 위로

향비파

5줄의 직경 비파로 처음에는 5괘이던 것이 조선시대에는 10괘로 변하였다가 현재는 12괘로 증가하였다. 거문고와 같이 술대로 연주한다. 향비파는 1930년대까지 사용되다가 음량이 작고, 음정이 불안정하여 그 이후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통일신라 삼현 중의 하나인 향비파는 서역에서 고구려를 통하여 신라로 전해진 것이고, 신라에서 향비파라 이름한 것은 당비파와 구분하기 위한 것이었다. 현재는 개량된 비파가 있다.

 

 

 

 위로

수공후
 (좌)

와공후
(중앙)

소공후
(우)

공후는 하프(Harp)의 총칭으로 3종으로 구분한다. 모양에 따라 제 1종에 속하는 수공후, 제 2종에 속하는 와공후, 제 3종에 속하는 대공후, 소공후로 나뉘는데, 언제 어떠한 경로로 우리나라에 들어왔는가에 대한 확실한 문헌은 없다. 다만, 수의 구부기 중 고구려악에 수공후를 썼다는 기록과 와공후의 이름이 나오며, 수서에 의하면 공후가 백제악에 쓰였다는 기록이 있을 뿐이다

 

 

 위로

대금

취구 1개, 청공 1개, 지공 6개, 칠성공 5개로 되어 있으며, 일명 “젓대”라 불리우기도 한다. 대금은 정악용과 산조용 두 가지로 구분된다. 부드러운 저취, 청아한 평취, 갈대청(갈대 속껍질)의 진동을 곁들여 연주하는 역취 등 다양한 음빛깔을 구사하는 악기이다. 또한 관현합주시 조율의 역할도 한다. 정악용 대금은 청성자진한잎 등의 독주, 영산회상 등의 세악편성, 보허자, 낙양춘, 정읍 등의 관악합주, 그리고 평조회상과 같은 관현악곡 등 여러 편성에 사용되는 중요한 악기이다. 산조 대금은 산조, 시나위, 민요반주, 무용반주 등의 연주에 사용되며, 정악대금에 비해 관의 길이가 짧고 지공 사이의 간격이 좁아서 시나위 등의 반주에 편리하도록 되어 있다. 통일신라 삼죽의 하나이다.

 

 

 

위로

중금

취구 1개, 지공 6개, 칠성공 5개로 되어 있다. 통일신라 삼죽의 하나로 고려사와 악학궤범에는 청공과 칠성공을 같추고 있었으나, 현재는 칠성공만이 있다. 조선 성종(15세기) 때의 연주법과 음높이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으며, 조선후기에는 주로 당악계의 음악에 편성되었다. 현재는 잘 사용하지 않는다. 

 

 

 

 

 

위로

소금

취구 1개, 지공 6개로 되어 있다. 통일신라 삼죽의 하나로 조선 성종(15세기)때에는 지법, 음높이, 음넓이 등이 대금, 중금과 같았다. 조선 중기 이후로 사용되지 않고 있다. 

 

 

 

 

 

 

위로

단소

단소는 U자형의 취구와 뒤에 1개, 앞에 4개의 지공으로 되어있다. 음량이 작고 음빛깔이 청아하여 독주악기로는 물론, 음빛깔이 비슷한 생황과의 병주, 양금과의 병주 혹은 양금, 해금과의 3중주, 영산회상(군악 제외)과 같은 세악편성(줄풍류)과 가악(가곡, 가사, 시조)의 반주악기로 사용된다. 단소는 조선후기의 악기로 추정한다. 

 

 

 

 

위로

퉁소

퉁소는 U자형의 취구로 되어 있고, 정악용 퉁소와 민속악용 퉁애로 나뉘는데, 정악용 퉁소는 뒤에 1개, 앞에 4개의 지공과 하나의 청공으로 되어 있다. 퉁소는 원래 8공이던 것이 조선 성종때 청공까지 합하여 9공으로 되었다. 그후 정악용 퉁소는 적과 혼동하여 청공이 없어졌고, 민속악용 퉁애는 민속악 음률에 맞추어 개량하되 청공을 그대로 갖고 있다.
당악기인 퉁소는 고려시대에는 당악계 음악에 편성되었고, 조선에 들어와서는 종묘 영령전의 등가, 헌가, 전정고추, 연례악 등에 향악기, 아악기와 더불어 편성되었다. 그러나 현재의 퉁소는 향악에 맞도록 개량되었고, 종묘제향악이나 보허자, 낙양춘과 같은 당악계 음악에는 사용되지 않고, 향악의 독주악기로 사용되고 있다.농악에도 사용된다

 

 

 

 

위로

취구는 대나무를 잘라(의취) U자형으로 파서 관에다 꽂고 밀납으로 막는다. 지공 6개(십자공 1개 포함)로 되어 있다. 의취의 작용이 큰 고음악기로서 부드럽고 고운 음빛깔을 가진 악기이다. 12율 4청성을 소리내며 아래 끝마디 밖으로 십자공을 갖고 있다. 삼국시대부터 전하는 악기로 백제에서는 지, 고구려에서는 의취적이라 하였다. 현재는 아악에만 사용된다

 

 

 

 

위로

당적

취구 1개, 지공 6개로 되어 있다. 국악기 가운데서 가장 높은 음역을 소리내는데, 역취의 음색은 맑고 영롱하여 매우 아름답다. 당악인 보허자, 낙양춘과 당악계 음악인 보태평, 정대업, 유황곡, 향악인 여민락, 정읍 등에 사용된다. 우리나라에 전래한 시기는 정확하지 않고, 고려 이후 조선조 성종(15세기)까지는 당악기의 원형을 유지하였으나 그 이후 향악기화 되었다.

 

 

 

위로

적은 U자형의 취구와 뒹에 1개, 앞에 5개의 지공과 끝마디에 지와 같은 십자공을 뚫어 놓았다. 현재는 십자공을 뚫지 않고, 퉁소와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12율 4청성을 소리내며 아악에 평성되는 적은 원래 4공이었던 것이, 후한때 5공으로 되었다가, 송나라에 이르러 6공으로 되어 고려시대에 전래되었다

 

 

 

위로

소는 12관, 16관, 24관 등 종류가 많으며, 중국의 고대 악기에 속한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사용하는 것은 12율4청성을 소리낼 수 있는 16관의 붕소형이다. 붕소는 좌우 두 끝에서 중앙으로 향하여 점점 짧아진 것으로서 그 모양이 봉황의 날개와 비슷하고, 또 그 소리는 봉황 우는 소리를 상징하여 봉소라 한 것이다. 소는 낮은 음이 오른 쪽에 놓이도록 잡고 연주한다

 

 

 

위로

아악기중의 하나로 앞에만 3개의 지공이 있고, 12율을 소리낼 수 있다. 주나라 때부터 이미 있었으며, 고대의 약은 갈대로 만들었기 때문에 위약이라고도 하였다. 우리나라에는 고려 예종 11년에 아악기로서가 아니라 6일무의 문무를 출 때 사용하는 무고로서 들어왔다. 현재 문묘제향악에 사용된다. 

 

 

 

위로

피리

향피리-지공이 뒤에 1개, 앞에 7개로 되어 있다. 대피리 또는 사관이라 하며, 합주음악에서 주로 주된 가락을 다당한다. 음량이 크고 서양악기 중에서 오보와 같이 겹서를 사용하며 약간은 어두운 음빛깔을 갖고 있다. 향피리를 연주하는 방법은 8개의 지공 모두를 사용하는 것과 한 구멍씩 치켜 잡고 연주하는 것 등의 두 가지가 있다.

당피리-지공이 뒤에 1개, 앞에 7개로 되어 있다. 관과 혀가 큰 관계로 연주하기는 힘들지만, 폭 넓고 활달한 음빛깔을 갖는다. 당악기의 한 가지로 고려시대에 이미 우리나라에 들어와 있었다. 예전에는 지공이 9개로 되어 있었고 조선 성종(15세기) 때 악기의 뒷면에 둘째 지공을 없애 8개로 개량하여 현재까지 전해진다. 당악인 보허자, 낙양춘, 당악계통인 유황곡, 정동방곡, 여민락만, 본령, 해령, 제례악인 보태평, 정대업 등에 사용된다.

세피리-세피리는 관이 가늘어서 당피리나 향피리 보다 연주하기가 어렵지만 그 제도와 음넓이는 향피리와 같다. 향피리보다 조금 가늘 뿐 그 제도와 음넓이 등이 모두 같다. 음량이 작기 때문에 가곡, 가사, 시조 등의 반주와 영산회상, 천년만세와 같은 세악(실내악)편성의 음악에 사용된다. 

 

 

 

위로

장구

가죽으로 만든 악기. 오른손에 채를 잡고 치며 원손으로는 북편을친다. 양편 머리가 크고 그 허리가 가늘다고 하여 세요고라고도 한다. 통은 사기, 기와,나무 등을 썼으며 오늘날은 대개 오동나무로 만든다. 북편은 두꺼운 흰 말가죽을 쓰고 채편은 얇은 보통 말가죽을 써서 채편이 북편보다 높고 맑은 소리가 난다. 삼국시대에도 있었으며 지금도 관현합주, 가곡, 가사, 시조, 잡가, 민요, 무악, 산조, 농악등 거의 사용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로 장단 악기 가운데서도 중요한 구실을 하고있다.
허리가 가늘게 생긴 나무통의 양쪽에 가죽을 달아 놓은 악기로서, 왼쪽 가죽은 두꺼워서 낮은 소리가 나고, 오른쪽 가죽은 얇아서 높은 소리가 난다. 조이개(축수)를 움직여서 소리의 높낮이를 조정한다. 북편(소리가 낮은 쪽)을 치는 방법에는 손으로 치는 방법과 궁굴채로 치는 방법이 있다. 농악이나 사물놀이, 무용 등에서는 궁굴채를 사용하고, 그 외에는 대개 손으로 친다. 채편(소리가 높은 쪽)을 치는 방법에는 복판을 치는 방법과, 변죽을 치는 방법이 있다. 합주와 같이 큰 소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복판을 치고, 줄풍류, 독주등과 같이 작은 소리가 필요할 경우에는 변죽을 친다

 

 

 

위로

소고

북 중에서 가장 작은 것으로서, 매구북이라고도 한다. 농악, 입창, 민속무 등에서 사용하는데, 악기(소리)로서의 기능보다는 무용(춤)하는 도구로서의 기능이 더 앞선다. 왼손으로 북의 손잡이를 잡고, 오른손에 작은 북채를 들고 친다. 최근에는 학교에서 장단을 지도하는 리듬 악기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위로

진고

북 중에서 가장 큰 북으로서, 옆에서 칠 수 있도록 약간 비스듬하게 받침대 위에 놓여져 있다. 축 세 번을 치고 진고를 한 번 치는 것을 3회 반복하면 음악을 시작한다. 그리고 진고와 뇌고를 세 번 치고, 어를 세 번 연주하면 음악이 끝나게 된다. 진고삼통과 진고십통이란 말이 있는데, 진고삼통은 종묘제례악의 종헌 음악이 시작되기 전에 진고를 세 번 치는 것을 말하고, 진고십통은 종묘제례악의 아헌례 음악을 시작하기 전에 진고를 열번 치는 것을 말한다.
고려시대부터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은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서 사용된다.

 

 

 

위로

절고

받침대 위에 비스듬히 놓여 있는 북으로서, 종묘제례악과 문묘제례악에서 사용한다. 음악을 시작할 때는 한 번을 치고, 끝날 때에는 세번을 친다.

 

 

 

위로

좌고

북 하나를 틀에 매달아 놓은 악기이다. .좌고는 고려사(高麗史)에도 악학궤범에도 보이지 않고, 단원(檀園)의 무악도(舞樂圖)에 보인다. 이 그림에는 피리, 대금, 해금, 장구, 좌고가 있어 그 당시 삼현육각 편성을 엿볼수 있다. 좌고는 장구의 북편 치는 박, 즉 장단의 첫박자와 강박자를 함께 친다.장구의 장단을 뒷받침한다.춤의 반주음악, 관악합주, 그리고 관현합주 등의 음악에 사용되고 있다.
이 무악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춤 반주에 쓰이기도 하고 관악(管樂)합주에 사용되며, 현악(絃樂)에는 쓰이지 않는다
.

 

 

 

위로

노도

2개의 북을 엇갈리게 매달아 놓은 악기로서, 흔들어서 소리를 낸다. 인신의 제사에 사용되었다

 

 

 

위로

노고

긴 북 2개를 틀에 매달아 놓은 악기이다. 노도와 함께 인신의 제사에 사용되었다.

 

 

 

위로

뇌도

3개의 작은 북을 엇갈리게 매달아 놓은 악기로서, 흔들어서 소리를 낸다. 천시의 제사에 사용되었다.

 

 

 

위로

뇌고

여러 개의 북을 매달아 놓은 악기이다. 뇌도와 함께 천신의 제사에 사용되었다.

 

 

 

위로

삭고

응고와 같은 모양의 악기로서, 틀 위에 해 모양이 새겨져 있다

 

 

 

위로

응고

틀에 긴 북을 매달아 놓은 악기로서, 틀 위에는 달 모양이 새겨져 있다. 전정헌가에 사용되었다

 

 

 

위로

용고

북통 양 옆에 있는 고리에 끈을 달고, 그 끈을 어깨에 매고 연주하는데, 양손에 채를 쥐고 아래로 내리친다. 서양의 작은 북처럼 허리에 차고 치는 북이다.북통 옆면에는 용이 그려져 있어 용고라고 한다. 판소리에서 사용하는 소리북은 용고와 거의 같으나, 북 옆면에 그림이 없다는 점, 그리고 북을 앞에 세워 놓고 앉아서 친다는 점이 다르다. 용고는 태평소,나발, 징, 자바라, 나각등과 함께 대취타에 쓰인다

 

 

 

위로

영도

여러개의 북을 엇갈리게 매달아 놓은 악기로서, 흔들어서 소리를 낸다. 지신의 제사에 사용되었다.

 

 

 

위로

영고

8 개의 북을 매달아 놓은 악기로서 모양은 뇌고와 같으나 북통의 색이 노란색이다. 영도와 함께 지신의 제사에 사용되었다.

 

 

 

위로

교방고

고려 때부터 사용된 교방고는 관악합주와 궁중 무용에 쓰였는데 지금은 무고춤과 승전무를 출 때 이 북을 사용한다.
문헌에 의하면 행악(行樂)에 서는 북틀 횡목(橫木)에 긴 장대 둘을 끼고 네사람이 메고 걸어가면서 쳤다고 기록 되어 있다.

 

 

 

위로


韓国の伝統楽器紹介

方向

チォルヒャングまたはチォルバングヒャングと呼ぶ方向は, 長方形で作った鉄板 16枚を下の,上の横綴にそれぞれ 8枚ずつぶら下げて, 角槌で打って声を出す. 朝鮮初期から郷楽に編成されたし, その後唐楽と鼓吹にずっと使われたが, 今は雅楽器である編鐘, 編磬で代わりをして, 宗廟祭享にだけ使う.

 

 

 

 慰労

特頃

特種と一緒に一つの大きい頃をフレームにぶら下げて, 角槌で打って声を出す. 朝鮮世宗の時には佳境とも言った. 文廟祭礼楽, 宗廟祭礼楽などで音楽が止む時使われて, 朝鮮世宗の時には等価と軒架に編成されてから, 成宗の時には等価に黄種特頃だけが使われた.

 

 

 

 慰労

編磬

白い雁が差しているナムトルに 定木模様の軽石を 8個ずつ二つの段でぶら下げて, 角槌で打って声を出す. 厚さの厚いほどうーんが高くなる. 編鐘のように 12率 4チォングソングを声を出すのに, 軽石が清いほど遠く聞こえてウムビッカルが清らかだ. また音の高さが変動がなくて, 編磬が編成されるすべての音楽で調律の基本になる. 文廟祭礼楽, 宗廟祭礼楽と管楽合奏である歩虚子, ナクヤンチュン, 硫黄曲, 正東坊曲, 与民楽だけ, 本領, 海嶺などに編鐘とともに編成される.
編鐘とともに高麗時代に中国で伝来された楽器で朝鮮世宗時競技も南楊州郡で軽石が発見されて, 朴・ヨンを中心にして編磬が製作され始めた.

 

 

 

 慰労

桐版上に 6列(ムンヒョン, 幽玄, 大賢, グェサングチォング, グェハチォング, 無県)を絹糸で作ってかけて 3列(幽玄, 大賢, グェサングチォング)は 16個のグェウィに, 3列(ムンヒョン, グェハチォング, 無県)は 3個の雁足の上に上げておいてお酒どおり押すとか取り離して演奏する. 小店と大店の強弱と左手の張力による微分音によって音が深くて重くて男性的な楽器で思って来た. 琴は大篇性の管弦合奏である与民楽, 平調回想などと細楽編成である霊山回想, 千年万歳, ボホサなどと散調などに使われる.

琴は 5世紀以前に高句麗で発生した我が国の固有した代表的な楽器だ. 三国史記によれば, 中国秦の国人が七絃琴を高句麗に送ったがそれをワングサンアックが元のもくあみはそのまま置いて, 私たちにあうように別に作って新たに作曲した曲調を演奏したら黒い鶴が飛んで来てダンスをしたと言って玄鶴琴と呼んで, 後に琴になったと言う. その後琴は統一新羅以後に新羅に伝わったし玉宝高を含めてソンミョングドック, グィグム, 鞍, 庁長, 極上, 極従以後に広く普及された. 統一新羅三絃中の一つだ.

 

 

 

 慰労

伽椰琴

桐版上に絹糸で作った 12列を雁足(雁発)で差しておいて演奏する. 伽椰琴は正楽を演奏する正楽伽椰琴(法禁, 風流伽椰琴)と散調伽椰琴の二つの種類がある. 正楽伽椰琴は指で押すとかはじけさせて声を出して, 散調伽椰琴は竝びと竝びの間が

狭いから早い音楽を演奏しやすくて指で取り離すとかはじけさせて声を出す. 伽椰琴はウムビッカルが軽くて美しいから女性的な楽器だと言う.
正楽伽椰琴は与民楽, 平調回想などの大篇性管弦合奏曲と霊山回想, 千年万歳, ボホサなどの細楽編成に使われて, 散調伽椰琴は散調, シナウィなどに使われる. 現在使われる伽椰琴はこの二つの種類以外に, もっと広い音域とウムビッカルを駆使するために改良された伽椰琴がある.
  統一新羅の三絃に属する伽椰琴は伽揶国の家室王が唐の楽器を見て作った. 日本には新羅人によって伝わったから新羅金(新羅高も)と呼ぶ. 現在日本国のゾングチァングワンに新羅金が伝わっている.

 

 

 

 慰労

牙竪

桐版上に 7列の絹糸を雁足(雁発)で差しておいて, 皮をむいた連ぎょう枝にまつやにを塗って竝びに擦って声を出す. マルチォングファルデで負う音より荘重で強いウムビッカルを持っている. 国楽器の中では低音楽器に属するので大篇性
の管弦合奏の時に漏らすことができない.

歩虚子, ナクヤンチュン, 三絃霊山回想, バタバタのような管楽合奏, 与民楽,   平調回想みたいな大篇性の管弦合奏に編成される. 高麗時代には唐楽にだけ編成されたし, 朝鮮成宗以後では唐楽と郷楽に一緒に使われた.

 

 

 

 慰労

大竪

ゼングは 13列になっていて, 大竪は 15列になっている. 桐版上に絹糸で作った竝びを雁足で差しておいて演奏する. 正楽伽椰琴よりもうちょっと大きい大竪は低音楽器として, 重くて雄大壮厳な感じを与える.

高麗時代に我が国に入って来たゼングは中国の俗楽に使われた楽器として朝鮮成宗の時までも唐楽にだけ使われている途中現在は使われない

 

 

 

 慰労

桐版上に 7列をかけておいて演奏する. 雁足がない代わりに黒い真ん中一方に曲がりなさいと呼ぶ曲がった螺午 13個がめりこんでいてうーんの位置を知らせてくれる. 

 

 

 

 

 慰労

吹く

桐版上に 25列を雁足で差してユンヒョンを基準にして下側 12列は右手人指し指で, 上方 12列は左手人指し指で同時に演奏して完全 8度の和音を出す.

 

 

 

 

 慰労

両糧

他の弦楽器が絹糸になっている一方に両糧はチォルサズルになっている. 梯子体たらくのウルリムトングの上に二つの卦が竝びを差していて, 卦を中心に左, 右, 中間の三つの部分で分けられている. 細い針金与える 4列が一着を成して, 14着になっているし, 皆 18個のうーんを調律して使うことができる

金属性の軽くて清いウムビッカルを持った楽器として, 決まった高さのチォルサズルを打って音を賭のためノングヒョンズボブは不可能な代わり, ままを転がして演奏するトレモロ奏法が重要に使われる. 両糧は音量が小さいから霊山回想, 千年万歳, ボホサみたいな細楽編成と短叔とのビョングズに使われる. 朝鮮霊鳥時明を経って我が国に入って来た両糧はうそ針金金または西洋金と呼ばれたりする.

 

 

 

 慰労

解禁

竹で作ったゴングミョングトングの上に絹糸で作った二行を原産でたまって, 二つの与える間にマルチォングファルデを挟んでファルトルのお腹となどで竝びに摩擦させて声を出す. ゴングミョングトングで私は珍しいウムビッカルによって俗称ケングケングだと呼ばれたりする. 幽玄とチュンヒョン二つの竝びを歪曲の伝え 5度差があるように調律して演奏する. 音は弱くて柔らかくて, 弱音器を使ったバイオリン音(高音楽器)に似ている. 解禁は八音(8種材料)を皆具備した唯一の楽器だ. 解禁は細楽編成と三絃六角あるいは大風流に編成される.  それぞれの編成で解禁の音量調節は原産の位置による

すなわち, 音量が小さな細楽編成の連珠詩には原産をビョンズックにおいて, 三絃六角, 大風流と同じく大きい音量が要求される時は原産を真ん中におく. 歩虚子, ナクヤンチュン, 霊山回想, 千年万歳, 平調回想, 三絃映像回想, スゼチォン, 与民楽, 念仏, 打令, グッコリ, 散調などに使われる.
  高麗時代に宋の国から入って来たことで初めには唐楽と郷楽に使われたし, 朝鮮成宗の時にはアックハックグェボムに当付楽器で紹介しながらも郷楽にだけ使うと記録されている.

 

 

 

 

 慰労

月琴

ワンする, または濃い琵琶, 辰韓者だと呼ばれて 4列が 13グェウィにかけている. アックハックグェボムと日本ゾングチァングワンの物皆 4列で, 舞踊塚の物だけ 5列になっている. 今は使われない. 現在は改良された月琴が演奏される.

 

 

 

 

 慰労

唐琵琶

4列の弦楽器で首が曲がった曲径琵琶だ. 12個の卦の中で第5卦までは 4列皆かけていて, 第6卦から 8卦までは 2列(チュンヒョン, ザヒョン)がかけていて, 第9卦から 11卦まではザヒョンだけが, 第12卦は無県だけがかけている. 唐琵琶で唐楽を演奏する時は足首を使って, 郷楽を演奏する時は仮爪角をはめて演奏した. 唐琵琶は郷楽で大琴, 唐笛, 奚琴, 鼓とともに編成されたが, 朝鮮後期から楽器だけ伝わるだけ演奏されていない. 現在は復元改良された唐琵琶が演奏される.

 

 

 

 慰労

香琵琶

5列の直径琵琶で初めには 5卦だったことが朝鮮時代には 10卦に変わってから現在は 12卦で増加した. 琴と一緒にお酒どおり演奏する. 香琵琶は 1930年代まで使われている途中音量が作故, 音程が不安定でその後には使われなかった. 統一新羅三絃中の一つである香琵琶は西域で高句麗を通じて新羅で伝わったことで, 新羅で香琵琶だと呼んだことは唐琵琶と区分するためのことだった. 現在は改良された琵琶がある.

 

 

 

 慰労

手工の後
 (左)

瓦工の後
(中央)

小功の後
(右)

公侯はハーフ(Harp)の総称で 3種で区分する. 模様によって第 1種に属する手工の後, 第 2種に属する瓦工の後, 第 3種に属する大公の後, 小功の後で分けられるのに, いつどんな経路で我が国に入って来たと言うのに大韓確かな文献はない. ただ, 獣医旧簿記の中でゴグリョアックに手工の後を書いたという記録と瓦工の後の顔が売れて, 水棲によると公侯が百祭楽に使われたという記録があるだけだ

 

 

 慰労

代金

吹口 1個, 青空・晴空 1個, 至公 6個, 七成功 5個になっているし, 一名 ¥"掻きまぜるよ¥"だと呼ばれたりする. 代金は正楽用と散調用二つに仕分けされる. 柔らかいゾツィ, 清雅なピョングツィ, ガルデチォング(葦澁皮)の震動を添えて演奏するヨックツィなど多様なウムビッカルを駆使する楽器だ. また管弦合奏の時調律の役目もする. 正楽用代金はチォングソングザジンハンイブなどの独走, 霊山回想などの細楽編成, 歩虚子, ナクヤンチュン, 井邑などの管楽合奏, そして平調回想のような管弦楽曲など多くの編成に使われる重要な楽器だ. 散調代金は散調, シナウィ, 民謡伴奏, 舞踊伴奏などの演奏に使われて, 正楽代金に比べて管の長さが短くて至公の間の間隔が狭くてシナウィなどの伴奏に便利になるようになっている. 統一新羅三竹の一つだ.

 

 

 

慰労

ズンググム

吹口 1個, 至公 6個, 七成功 5個になっている. 統一新羅三竹の一つで高麗史とアックハックグェボムには青空・晴空と七成功をガッツであったが, 現在は七成功だけがある. 朝鮮成宗(15世紀) 時の奏法と音の高さをそのまま維持しているし, 朝鮮後期には主に唐楽係の音楽に編成された. 現在はよく使わない. 

 

 

 

 

 

慰労

吹口 1個, 至公 6個になっている. 統一新羅三竹の一つで朝鮮成宗(15世紀)時には地方法院, 音の高さ, ウムノブがなどが代金, ズンググムのようだった. 朝鮮中期以後に使われていない. 

 

 

 

 

 

 

慰労

短叔

短叔は U字形の吹口と後に 1個, 前に 4個の至公になっている. 音量が小さくてウムビッカルが清雅で独走楽器では勿論, ウムビッカルが似ている笙須とのビョングズ, 両糧とのビョングズあるいは両糧, 解禁との 3重奏, 霊山回想(軍楽除外)のような細楽編成(ズルプングリュ)とがアック(歌曲, 歌詞, 詩調)の伴奏楽器で使われる. 短叔は朝鮮後期の楽器で推正する. 

 

 

 

 

慰労

尺八

尺八は U字形の吹口になっていて, 正楽用尺八と民俗悪用トングエで分けられるのに, 正楽用尺八は後に 1個, 前に 4個の至公と一つの青空・晴空になっている. 尺八は元々 8球だったことが朝鮮成宗時青空・晴空まで合わせて 9球になった. その後正楽用尺八は敵と混同して青空・晴空が消えたし, 民俗悪用トングエは民俗楽音律に合わせて改良するが青空・晴空をそのまま持っている.
唐楽器である尺八は高麗時代には唐楽係音楽に編成されたし, 朝鮮に入って来ては宗廟英霊前の等価, 軒架, 前庭唐辛子, 宴礼楽などに郷楽器, 雅楽器といっしょに編成された. しかし現在の尺八は郷楽に当たるように改良されたし, 宗廟制郷楽や歩虚子, ナクヤンチュンのような唐楽係音楽には使われないで, 郷楽の独走楽器で使われている.農楽にも使われる

 

 

 

 

慰労

吹口は竹を切って(意趣) U字形で売って管にさしてミルナブで阻む. 至公 6個(シブザゴング 1個含み)になっている. 意趣の作用が大きい高音楽器として柔らかくてきれいなウムビッカルを持った楽器だ. 12率 4チォングソングを声を出して下のクッマデ−の外でシブザゴングを持っている. 三国時代から伝える楽器で百済では地, 高句麗では意趣的と言った. 現在は雅楽にだけ使われる

 

 

 

 

慰労

党籍

吹口 1個, 至公 6個になっている. 国楽器の中で一番高い音域を声を出すのに, 逆趣意音色は清くて燦燗で非常に美しい. 唐楽である歩虚子, ナクヤンチュンと唐楽係音楽である保太平, 政大業, 硫黄曲, 郷楽である与民楽, 井邑などに使われる. 我が国に伝来した時期は正確ではなくて, 高麗以後朝鮮朝成宗(15世紀)までは唐楽器の原型を維持したがその後郷楽気化になった.

 

 

 

慰労

少ない U字形の吹口とドイングに 1個, 前に 5個の至公とクッマデ−に地のようなシブザゴングをくぐっておいた. 現在はシブザゴングをくぐらないで, 尺八と混用して使ったりする. 12率 4チォングソングを声を出して雅楽に平成される少ない元々 4球だったことが, 後漢時 5球になってから, 宋の国に至って 6球になって高麗時代に伝来された

 

 

 

慰労

牛は 12管, 16管, 24管など種類が多くて, 中国の古代楽器に属する. 現在我が国で使うことは 12率4チォングソングを声を出すことができる 16管のホウ素型だ. ホウ素は左右も終りから中央に向けてますます短くなったこととしてその模様が鳳凰衣羽に似ていて, またその音は鳳凰泣く音を象徴して鳳巣だとしたのだ. 牛は低いうーんが上がった方に置かれるように取って演奏する

 

 

 

慰労

雅楽期中の一つで前にだけ 3個の至公があって, 12率を声を出すことができる. 周の国の時からもうあったし, 古代の薬は葦で作ったから違約とも言った. 我が国には高麗睿宗 11年に雅楽器としてではなく 6一無の文武を踊る時使う誣告として入って来た. 現在文廟制郷楽に使われる. 

 

 

 

慰労

ふえの一種-至公が後に 1個, 前に 7個になっている. 待避里または士官と言って, 合奏音楽で主に主な調子を多糖する. 音量が大きくて西洋楽器の中で誤報と一緒に重書を使って少しは暗いウムビッカルを持っている. ふえの一種を演奏する方法は 8個の至公皆を使うことと一穴ずつたくし上げて取って演奏することなどの二つがイッだ.

唐笛-至公が後に 1個, 前に 7個になっている. 管と舌が大きい関係で演奏することは大変だが, 幅広くて活逹なウムビッカルを持つ. 唐楽器の一つで高麗時代にもう我が国に入って来ていた. この前には至公が 9個になっていたし朝鮮成宗(15世紀) の時の楽器の裏に二番目至公を無くして 8個で改良して現在まで伝わる. 唐楽である歩虚子, ナクヤンチュン, 唐楽系統である硫黄曲, 正東坊曲, 与民楽だけ, 本領, 海嶺, 祭礼楽である保太平, 政大業などに使われる.

セピリ-セピリは管が細くて唐笛やふえの一種より演奏しにくいがその制度とウムノブイはふえの一種のようだ. ふえの一種より少し細いだけその制度とウムノブがなどが皆同じだ. 音量が小さいから歌曲, 歌詞, 詩調などの伴奏と霊山回想, 千年万歳のような細楽(室内楽)編成の音楽に使われる. 

 

 

 

慰労

長久

皮で作った楽器. 右手にままを取って打って元孫ではブックピョンウルチンダ. 両側頭が大きくてその腰が細いと言ってセヨゴとも言う. 筒は詐欺, 瓦,木などを使ったし今日はたいてい桐で作る. 北の方は厚い白いマルがズックを使ってチェピョンは薄ら普通マルがズックを使ってチェピョンが北の方より高くて清い音がする. 三国時代にもあったし今も管弦合奏, 歌曲, 歌詞, 詩調, 雑歌, 民謡, 舞楽, 散調, 農楽等ほとんど使われない所がない位に長短楽器の中にも重要な口実をしている.
腰が細いような湯とうの両方に皮をつけておいた楽器として, 左側皮は厚くて低い音がして, 右側皮は薄くて高い音がする. ジョイヶ(ことぶき)を動かして音の根低を調整する. 北の方(音が低い方)を打つ方法には手で打つ方法とグンググルチェで打つ方法がある. 農楽やサムルノリ, 舞踊などではグンググルチェを使って, その外にはたいてい手で打つ. チェピョン(音が高い方)を打つ方法には真ん中を打つ方法と, ビョンズックを打つ方法がある. 合奏と同じく大きい音が必要な場合には真ん中を打って, ズルプングリュ, 独走等と同じく小さな音が必要な場合にはビョンズックを打つ

 

 

 

慰労

小太鼓

北の中で一番小さなこととして, メグブックとも言う. 農楽, 入倉, 閔俗務などで使うのに, 楽器(音)としての機能よりは舞踊(踊り)する道具としての機能がもっと先に進む. 左手で北の取っ手を取って, 右手に小さな太鼓のぱちを持って打つ. 最近には学校で長短を指導するリズム楽器でたくさん使っている.

 

 

 

慰労

陳告

北の中で一番大きい北として, 横で打つことができるようにちょっと斜めに支柱の上に置かれている. 軸三度を打って陳告を一度打つことを 3回繰り返せば音楽を始める. そして陳告と雷鼓を三度打って, あやすよ番(回)演奏すれば音楽が終わるようになる. 濃いくらら通過ジンゴシブトングと言う言葉があるのに, ジンゴサムトングは宗廟祭礼楽の宗憲音楽が始まる前に陳告を三度打つことを言って, ジンゴシブトングは宗廟祭礼楽のアホンリェ音楽を始める前に陳告を10回打つことを言う.
高麗時代から使ったことと知られているし, 今は宗廟祭礼楽と文廟祭礼楽で使われる.

 

 

 

慰労

節鼓

支柱の上にななめに置かれている北として, 宗廟祭礼楽と文廟祭礼楽で使う. 音楽を始める時は一番(回)を打って, 終わる時には三度を打つ.

 

 

 

慰労

坐高

北一つをフレームに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だ. .坐高は高麗史(高麗史)にもアックハックグェボムにも見えないで, 単元(檀園)の舞楽も(舞楽図)に見える. この絵には笛, 大琴, 奚琴, 鼓, 坐高があってその頃三絃六角編成をうかがうことができる. 坐高は長久の北の方打つ朴, すなわち長短の最初拍子と強迫者を一緒に打つ.鼓の長短を裏付ける.踊りの伴奏音楽, 管楽合奏, そして管弦合奏などの音楽に使われている.
が舞楽島で見るところのように踊り伴奏に使われたり冠岳(管楽)合奏に使われて, 弦楽(絃楽)には使われない
.

 

 

 

慰労

怒涛

2個の北を行き違うように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として, 振って音を出す. 人身の祭祀に使われた

 

 

 

慰労

苦労

だと太鼓 2個をフレームに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だ. 怒涛とともに人身の祭祀に使われた.

 

 

 

慰労

脳も

3個の小さな北を行き違うように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として, 振って音を出す. 賎視の祭祀に使われた.

 

 

 

慰労

雷鼓

いくつかの北を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だ. 脳島とともに天神の祭祀に使われた.

 

 

 

慰労

腐って

凝固のような模様の楽器として, フレームの上に日模様が刻まれている

 

 

 

慰労

凝固

フレームに長い北を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として, フレームの上には月模様が刻まれている. 前庭軒架に使われた

 

 

 

慰労

竜高

ブックトング両側にある掛けがねに紐を計って, その紐を肩に担いで演奏するのに, 両手にままを握って下にぶん殴る. 西洋の小さな北のように腰にガレージ打つ太鼓だ.ブックトング横面には容易描かれていて竜高だと言う. パンソリで使うソリブックは竜高とほとんど同じだが, 北横面に絵がないという点, そして北を前に建てておいて座って打つという点が違う. 竜高は胡カ(チャルメラ),らっぱ, どら, ジャバだと, ほらがい等とともに大吹打に使われる

 

 

 

慰労

零度

いろいろな北を行き違うように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として, 振って音を出す. 至信の祭祀に使われた.

 

 

 

慰労

迎鼓

8 個の北をぶら下げておいた楽器として模様は雷鼓のようだがブックトングの色が黄色だ. 零度と一緒に至信の祭祀に使われた.

 

 

 

慰労

教坊鼓

高麗の時から使われた教坊鼓は管楽合奏と宮廷舞踊に使われたが今は誣告踊りと勝戦舞を踊る時この北を使う.
文献によれば行悪(行楽)に立つブックトル横木(横木)に長い竿ふたつをはめて四人が担いで歩きながら打ったと記録になっている.

 

 

 

慰労



TOTAL: 9602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추천
5002 한국과 일본의 세계기록문화유산 보....... sarutrainer 2010-08-17 2611 0
5001 ( ^д^)<bleu 할아범 w farid 2010-08-16 1923 0
5000   후루타 키타 w 菊池武雄 2010-08-16 3078 0
4999 여왕 마마와 나 gamojin 2010-08-15 3285 0
4998 ( ^д^)<안녕하세요인 것 w farid 2010-08-15 2049 0
4997 파브코메 w Tiger_VII 2010-08-14 2627 0
4996 ■정기 보고비정식판 yonaki 2010-08-14 2186 0
4995 오랫만에 한가하기 때문에 のうみん 2010-08-14 2062 0
4994 【마】 야의 확률론 연습 8/14 【참새....... 董젯 2010-08-14 1782 0
4993 ( *H*) y-~증거는 없지만 장점이 올바른....... kimuraお兄さん 2010-08-14 2346 0
4992 담양대나무축제 woochan 2010-08-14 2518 0
4991 ( ^д^)<bleu 할아범 w farid 2010-08-13 1919 0
4990 아리랑 _한국대표음악 woochan 2010-08-13 2083 0
4989 가야금(한국전통악기)연주-Let it be woochan 2010-08-13 1746 0
4988 한국의 전통악기 소개 woochan 2010-08-13 1945 0
4987 ( ′H`) y-~~의무·존 나 열사 kimuraお兄さん 2010-08-13 2042 0
4986 부활 hana3210 2010-08-13 2897 0
4985 이 야스시진(이·테진) 선생님, 아직도....... ひょうたん 2010-08-11 2493 0
4984 ( ^д^)<안녕하세요 w farid 2010-08-10 2360 0
4983 ε(^0-0) 나라의 권수 익혀 술론일창 d_deridex 2010-08-10 2278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