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의 55% 가량이 뜻을 충분히 전달하기 위해서는 한글과 한자를 병용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5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지난 3월 4∼11일 전국 만 20세 이상 남녀 1천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 54.7%가 국한문 혼용에 찬성, “한글만 써야 된다”는 의견(33.4%)보다 많았다.
국한문 혼용 찬성비율을 연령별로 보면 20대 45.1%, 30대 57.1%, 40대 61.5%, 50세 이상 55.4% 등으로, 고연령대 쪽이 대체로 높았다.
국한문 혼용 찬성 이유로는 “뜻을 충분히 전달할 수 있기 때문”이 68.5%, “자녀교육상 좋기 때문” 10.2%, “한자와 한글은 밀접하기 때문” 8.0% 등의 순이었고 한글 전용 이유로는 “한글이 쉽고 편리하기 때문” 51.9%, “한자를 모르는 사람이 많기 때문” 25.5%, “고유 글자이므로” 15.2% 등의 순으로 꼽았다.
또 응답자의 70.5%는 “한자를 모르면 생활하는 데 불편하다”고 답했으며, 59.6%는 “한자를 많이 알면 공부를 더 잘 할 수 있다”, 54.4%는 “한자교육을 소홀히 하면 아시아 경제권에서 국가경쟁력이 약화된다”는 견해를 갖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밖에 한자의 국적에 대해서는 “우리 글자”(47.3%)와 “외국 글자”(45.6%)라는 견해가 맞섰으며, 한자 해독정도를 묻는 질문에는 “모두 읽을 수 있다”가 13.7%, “대충 읽을 수 있다”가 69.1%인 반면 “거의 읽을 수 없다”는 응답자도 17.2%나 됐다. (서울=연합뉴스) 김인철 기자
——————————————————————————————————————————-
한국에도 어서 국한문이 公用化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다만 일본처럼 한자어를 전부 한자로 표기할 필요는 없을 테고,同音異義語의 餘地가 있는 단어 및,개념적이거나 추상적인 단어等에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 듯합니다.가령,
”생선을 먹었다” “학교에 갔다”에서
”生鮮과 “學校”를 한자로 표기할 필요는 없겠죠.
그러고보면 일본인들도 필요이상으로 한자를 남용하지 않는 편이 좋지 않을까요?매번 한자변환기를 작동시키는 것도 꽤 번거로울 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