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人「海外に行かないといけない」高学歴者も就職が難しい韓国、博士課程の30%が失業者
高学歴者も就職が難しい韓国「若い博士の30%が失業者」
青年層の就職難がますます深刻になり、高学歴者の失業率が史上最大を記録したんですって?
昨年、博士号授与者10人のうち3人は職業がないことが調査されました。
統計庁の集計結果、昨年の韓国内新規博士号取得者だけで400人余りのうち、現在在職中か就職が確定した人は70.4%となりました。
働き口を確保できなかったり、求職活動をしていない無職者の割合は29.6%で、2014年に関連調査を始めてから最も高かったです。
特に去年博士号を取った30歳未満の回答者537人のうち、職業がないと言った人が半分でやはり調査が始まってから最大値を記録しました。
性別では女性博士が就職により大きな困難を経験し、専攻別では芸術と人文学が最も高かったです。
反面、保健·福祉と教育、経営行政そして法専攻者は相対的に無職者比率が低かったです。
博士号取得者の中でニートが増えたのは、高学歴者のための良質の高い賃金働き口が不足している現実のためです。
한국인 「해외에 가지 않으면 안 된다」고학력자도 취직이 어려운 한국, 박사 과정의30%가 실업자
고학력자도 취직이 어려운 한국 「젊은 박사의30%가 실업자」
청년층의 취직난이 더욱 더 심각하게 되어, 고학력자의 실업률이 사상 최대를 기록했다고 합니까?
작년, 박사 학위 수여자 10명중 3명은 직업이 없는 것이 조사되었습니다.
통계청의 집계 결과, 작년의 한국내 신규 박사 학위 취득자만으로 400명 남짓의 쳐, 현재 재직중이나 취직이 확정한 사람은 70.4%되었습니다.
일자리를 확보할 수 없거나, 구직 활동을 하고 있지 않는 무직자의 비율은 29.6%로, 2014년에 관련 조사를 시작하고 나서 가장 높았습니다.
특히 작년 박사 학위를 취한 30세 미만의 회답자 537명 가운데, 직업이 없다고 한 사람이 반으로 역시 조사가 시작되고 나서 최대치를 기록했습니다.
성별에서는 여성 박사가 취직에 의해 큰 곤란을 경험해, 전공별로는 예술과 인문학이 가장 높았습니다.
반면, 보건·복지와 교육, 경영 행정 그리고 법전공자는 상대적으로 무직자 비율이 낮았습니다.
박사 학위 취득자중에서 니트가 증가한 것은, 고학력자를 위한 양질이 비싼 임금 일자리가 부족한 현실이기 때문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