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달러에 구매한 중고 CPU
최신 노트북 보다 성능이 낮다....그래픽카드만 교체해서 Ai를 사용해 볼까?
병목 현상은 있지만 RTX3060도 사용 가능한 것 같다.
Core Ultra 7 115H와 E5-2697 V2에 RTX3060 그래픽카드를 장착시 Ai 성능 비교
Core Ultra 7 115H와 Xeon E5-2697 v2에 RTX 3060을 장착했을 때 AI 성능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CPU 스펙 비교
항목 | Core Ultra 7 115H | Xeon E5-2697 v2 |
---|---|---|
아키텍처 | Meteor Lake | Ivy Bridge-EP |
코어 / 스레드 | 16C (6P + 8E + 2LPE) / 22T | 12C / 24T |
P-Core 클럭 | 최대 4.9GHz | 최대 3.5GHz |
제조 공정 | Intel 4 (7nm급) | 22nm |
메모리 지원 | LPDDR5/X, DDR5 | DDR3 |
TDP | 28W | 130W |
출시 연도 | 2023년 | 2013년 |
➡ Core Ultra 7 115H가 최신 공정으로 전력 효율과 단일 코어 성능이 훨씬 뛰어남.
➡ Xeon E5-2697 v2는 서버용이지만 구형이라 단일 코어 성능이 낮음.
2. AI 연산 성능
AI 작업에서 중요한 요소는 CPU의 연산 성능(FP16/FP32 처리 속도), 메모리 대역폭, 그리고 GPU 가속입니다.
① CPU 기반 AI 성능
Core Ultra 7 115H
- Meteor Lake는 NPU(Neural Processing Unit) 내장 → AI 가속 지원
- 최신 AVX, VNNI 명령어 지원으로 머신러닝 최적화
- AI 작업에서 싱글코어 성능이 높아 빠른 처리 가능
Xeon E5-2697 v2
- AVX2 미지원 (AVX까지만 지원) → 최신 AI 연산 비효율적
- 단일 코어 성능이 낮아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PyTorch, TensorFlow) 실행 시 병목 발생
➡ AI 작업은 Core Ultra 7 115H가 압도적으로 유리
➡ Xeon은 멀티코어 활용이 필요한 서버 환경에서는 유리하지만, AI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음
② GPU 기반 AI 성능 (RTX 3060 공통)
- AI 학습 및 추론에서 중요한 건 GPU 성능임
- **RTX 3060(12GB VRAM)**이 탑재되어 있다면, 대부분의 AI 연산은 GPU에서 수행됨
- 단, PCIe 대역폭과 CPU-메모리 속도가 중요함
- Core Ultra 7 115H (PCIe 5.0) → GPU와 빠르게 데이터 교환 가능
- Xeon E5-2697 v2 (PCIe 3.0) → 병목 발생 가능성 높음
➡ AI 연산이 GPU에서 이루어진다면 두 CPU 간 성능 차이는 크지 않지만, 데이터 로딩 속도와 메모리 대역폭에서 Core Ultra 7 115H가 유리
3. AI 워크로드 별 성능 예상
작업 | Core Ultra 7 115H | Xeon E5-2697 v2 |
---|---|---|
딥러닝 모델 학습 (GPU 활용) | ✅ 거의 차이 없음 (GPU 의존) | ✅ 거의 차이 없음 (GPU 의존) |
AI 추론 (CPU 활용) | ✅ 빠름 (NPU 지원) | ❌ 느림 (구형 아키텍처) |
Python ML 라이브러리 실행 | ✅ 빠름 (최신 명령어 지원) | ❌ 병목 발생 가능 |
데이터 전처리 (NumPy, Pandas) | ✅ 빠름 (DDR5, 높은 IPC) | ❌ 상대적으로 느림 |
AI 가속 최적화 (ONNX, VNNI) | ✅ 지원 | ❌ 지원 안 됨 |
결론
AI 학습(딥러닝 트레이닝)은 GPU 의존적이므로 CPU 차이는 크지 않음.
→ RTX 3060이 동일하다면 큰 차이 없음.CPU가 중요한 AI 추론, 데이터 전처리, ML 연산에서는 Core Ultra 7 115H가 월등히 우세
→ 최신 AI 명령어(VNNI, AVX512 등) 지원 & 빠른 싱글코어 성능PCIe 대역폭, RAM 속도 차이로 인해 Core Ultra 7 115H가 RTX 3060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 Xeon은 PCIe 3.0이라 병목 발생 가능
➡ 최종적으로 AI 성능을 고려하면 Core Ultra 7 115H + RTX 3060 조합이 훨씬 낫다!
➡ Xeon E5-2697 v2는 GPU를 100% 활용하는 작업에서는 괜찮지만, CPU 기반 AI 연산에는 적합하지 않음.
e5-2697 v2에 rtx 3060 사용해도 ai 를 사용 가능하군요
네, Xeon E5-2697 v2에 RTX 3060을 사용해도 AI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RTX 3060이 GPU 가속을 제공하므로, AI 연산에서 대부분의 작업은 GPU가 담당하게 됩니다. CPU는 데이터 처리나 일부 병목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만, E5-2697 v2는 구형 CPU로, PCIe 3.0을 지원하는데 비해 최신 CPU들은 PCIe 4.0이나 PCIe 5.0을 지원하여 GPU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빠릅니다. 그러나 RTX 3060은 PCIe 3.0에서도 잘 작동하기 때문에 성능 차이가 크게 나지 않지만, CPU의 멀티코어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AI 추론 및 데이터 전처리 같은 CPU 의존적인 작업에서는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AI 모델 학습(Training)**이나 GPU 기반 추론에서는 큰 문제 없이 잘 작동할 것입니다. 다만, CPU 기반 AI 연산에서는 Core Ultra 7 115H와 같은 최신 CPU에 비해 성능이 낮을 수 있습니다.
cpu 기반은 Ai는 주로 경량 모델을 처리한다면 cpu 성능이 중요한 것은 아니겠군요..
맞습니다! CPU 기반 AI 연산은 주로 경량 모델이나 작은 데이터셋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작업에서는 CPU 성능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특히 경량화된 모델(예: MobileNet, SqueezeNet, TinyBERT 등)은 비교적 적은 계산량을 요구하므로, 고성능 CPU가 아닌 일반적인 CPU로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이유
경량 모델은 일반적으로 연산이 간단하고 메모리 사용량이 적어서, CPU 성능이 높지 않아도 충분히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AI 추론(Inference)은 대개 GPU에서 처리되지만, CPU에서는 작은 모델이나 간단한 예측 작업이 이뤄집니다. 이때 모델 크기가 작고 복잡도가 낮기 때문에 CPU 성능의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최적화된 라이브러리(예: ONNX, TensorFlow Lite)는 CPU에서 경량 모델을 최적화하여 실행할 수 있게 도와주므로, 고급 CPU 성능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량 모델을 다룰 때는 CPU 성능보다는 효율적인 코드 최적화나 알고리즘 선택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하지만 복잡한 모델이나 대규모 데이터셋을 다룰 때는 CPU 성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경량 모델에서는 GPU 활용이 필수가 아니며, CPU 성능이 큰 차이를 만들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TensorFlow는 gpu 를 사용할 수 없습니까?
TensorFlow는 GP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TensorFlow는 GPU 가속을 통해 딥러닝 모델 학습(training)과 추론(inference)을 훨씬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CUDA(NVIDIA GPU에서 GPU 가속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GPU에서 AI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GPU 사용 가능성
TensorFlow는 GPU가 장착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GP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델을 훈련할 때 GPU를 사용하면 연산 속도가 훨씬 빨라져 학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GPU는 병렬 연산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셋과 복잡한 모델에 대해 TensorFlow의 GPU 가속은 필수적입니다.
—————
GPU를 사용하면 큰 차이 없을 것 같다.
15달러에 구매한 중고 CPU
최신 노트북 보다 성능이 낮다....그래픽카드만 교체해서 Ai를 사용해 볼까?
병목 현상은 있지만 RTX3060도 사용 가능한 것 같다.
Core Ultra 7 115H와 E5-2697 V2에 RTX3060 그래픽카드를 장착시 Ai 성능 비교
Core Ultra 7 115H와 Xeon E5-2697 v2에 RTX 3060을 장착했을 때 AI 성능을 비교하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이 있습니다.
1. CPU 스펙 비교
항목 | Core Ultra 7 115H | Xeon E5-2697 v2 |
---|---|---|
아키텍처 | Meteor Lake | Ivy Bridge-EP |
코어 / 스레드 | 16C (6P + 8E + 2LPE) / 22T | 12C / 24T |
P-Core 클럭 | 최대 4.9GHz | 최대 3.5GHz |
제조 공정 | Intel 4 (7nm급) | 22nm |
메모리 지원 | LPDDR5/X, DDR5 | DDR3 |
TDP | 28W | 130W |
출시 연도 | 2023년 | 2013년 |
➡ Core Ultra 7 115H가 최신 공정으로 전력 효율과 단일 코어 성능이 훨씬 뛰어남.
➡ Xeon E5-2697 v2는 서버용이지만 구형이라 단일 코어 성능이 낮음.
2. AI 연산 성능
AI 작업에서 중요한 요소는 CPU의 연산 성능(FP16/FP32 처리 속도), 메모리 대역폭, 그리고 GPU 가속입니다.
① CPU 기반 AI 성능
Core Ultra 7 115H
- Meteor Lake는 NPU(Neural Processing Unit) 내장 → AI 가속 지원
- 최신 AVX, VNNI 명령어 지원으로 머신러닝 최적화
- AI 작업에서 싱글코어 성능이 높아 빠른 처리 가능
Xeon E5-2697 v2
- AVX2 미지원 (AVX까지만 지원) → 최신 AI 연산 비효율적
- 단일 코어 성능이 낮아서 머신러닝 프레임워크(PyTorch, TensorFlow) 실행 시 병목 발생
➡ AI 작업은 Core Ultra 7 115H가 압도적으로 유리
➡ Xeon은 멀티코어 활용이 필요한 서버 환경에서는 유리하지만, AI 작업에는 적합하지 않음
② GPU 기반 AI 성능 (RTX 3060 공통)
- AI 학습 및 추론에서 중요한 건 GPU 성능임
- **RTX 3060(12GB VRAM)**이 탑재되어 있다면, 대부분의 AI 연산은 GPU에서 수행됨
- 단, PCIe 대역폭과 CPU-메모리 속도가 중요함
- Core Ultra 7 115H (PCIe 5.0) → GPU와 빠르게 데이터 교환 가능
- Xeon E5-2697 v2 (PCIe 3.0) → 병목 발생 가능성 높음
➡ AI 연산이 GPU에서 이루어진다면 두 CPU 간 성능 차이는 크지 않지만, 데이터 로딩 속도와 메모리 대역폭에서 Core Ultra 7 115H가 유리
3. AI 워크로드 별 성능 예상
작업 | Core Ultra 7 115H | Xeon E5-2697 v2 |
---|---|---|
딥러닝 모델 학습 (GPU 활용) | ✅ 거의 차이 없음 (GPU 의존) | ✅ 거의 차이 없음 (GPU 의존) |
AI 추론 (CPU 활용) | ✅ 빠름 (NPU 지원) | ❌ 느림 (구형 아키텍처) |
Python ML 라이브러리 실행 | ✅ 빠름 (최신 명령어 지원) | ❌ 병목 발생 가능 |
데이터 전처리 (NumPy, Pandas) | ✅ 빠름 (DDR5, 높은 IPC) | ❌ 상대적으로 느림 |
AI 가속 최적화 (ONNX, VNNI) | ✅ 지원 | ❌ 지원 안 됨 |
결론
AI 학습(딥러닝 트레이닝)은 GPU 의존적이므로 CPU 차이는 크지 않음.
→ RTX 3060이 동일하다면 큰 차이 없음.CPU가 중요한 AI 추론, 데이터 전처리, ML 연산에서는 Core Ultra 7 115H가 월등히 우세
→ 최신 AI 명령어(VNNI, AVX512 등) 지원 & 빠른 싱글코어 성능PCIe 대역폭, RAM 속도 차이로 인해 Core Ultra 7 115H가 RTX 3060을 더 효과적으로 활용 가능
→ Xeon은 PCIe 3.0이라 병목 발생 가능
➡ 최종적으로 AI 성능을 고려하면 Core Ultra 7 115H + RTX 3060 조합이 훨씬 낫다!
➡ Xeon E5-2697 v2는 GPU를 100% 활용하는 작업에서는 괜찮지만, CPU 기반 AI 연산에는 적합하지 않음.
e5-2697 v2에 rtx 3060 사용해도 ai 를 사용 가능하군요
네, Xeon E5-2697 v2에 RTX 3060을 사용해도 AI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RTX 3060이 GPU 가속을 제공하므로, AI 연산에서 대부분의 작업은 GPU가 담당하게 됩니다. CPU는 데이터 처리나 일부 병목을 처리하는 역할을 하게 됩니다.
다만, E5-2697 v2는 구형 CPU로, PCIe 3.0을 지원하는데 비해 최신 CPU들은 PCIe 4.0이나 PCIe 5.0을 지원하여 GPU와의 데이터 전송 속도가 더 빠릅니다. 그러나 RTX 3060은 PCIe 3.0에서도 잘 작동하기 때문에 성능 차이가 크게 나지 않지만, CPU의 멀티코어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므로 AI 추론 및 데이터 전처리 같은 CPU 의존적인 작업에서는 속도가 다소 느릴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AI 모델 학습(Training)**이나 GPU 기반 추론에서는 큰 문제 없이 잘 작동할 것입니다. 다만, CPU 기반 AI 연산에서는 Core Ultra 7 115H와 같은 최신 CPU에 비해 성능이 낮을 수 있습니다.
cpu 기반은 Ai는 주로 경량 모델을 처리한다면 cpu 성능이 중요한 것은 아니겠군요..
맞습니다! CPU 기반 AI 연산은 주로 경량 모델이나 작은 데이터셋을 처리하는 데 사용되며, 이러한 작업에서는 CPU 성능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습니다. 특히 경량화된 모델(예: MobileNet, SqueezeNet, TinyBERT 등)은 비교적 적은 계산량을 요구하므로, 고성능 CPU가 아닌 일반적인 CPU로도 충분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이유
경량 모델은 일반적으로 연산이 간단하고 메모리 사용량이 적어서, CPU 성능이 높지 않아도 충분히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AI 추론(Inference)은 대개 GPU에서 처리되지만, CPU에서는 작은 모델이나 간단한 예측 작업이 이뤄집니다. 이때 모델 크기가 작고 복잡도가 낮기 때문에 CPU 성능의 차이가 크게 느껴지지 않습니다.
최적화된 라이브러리(예: ONNX, TensorFlow Lite)는 CPU에서 경량 모델을 최적화하여 실행할 수 있게 도와주므로, 고급 CPU 성능이 반드시 필요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경량 모델을 다룰 때는 CPU 성능보다는 효율적인 코드 최적화나 알고리즘 선택이 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하지만 복잡한 모델이나 대규모 데이터셋을 다룰 때는 CPU 성능이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경량 모델에서는 GPU 활용이 필수가 아니며, CPU 성능이 큰 차이를 만들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TensorFlow는 gpu 를 사용할 수 없습니까?
TensorFlow는 GP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사실, TensorFlow는 GPU 가속을 통해 딥러닝 모델 학습(training)과 추론(inference)을 훨씬 더 빠르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특히 CUDA(NVIDIA GPU에서 GPU 가속을 제공하는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GPU에서 AI 작업을 실행할 수 있습니다.
GPU 사용 가능성
TensorFlow는 GPU가 장착된 시스템에서 자동으로 GPU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모델을 훈련할 때 GPU를 사용하면 연산 속도가 훨씬 빨라져 학습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GPU는 병렬 연산에 매우 강하기 때문에 대규모 데이터셋과 복잡한 모델에 대해 TensorFlow의 GPU 가속은 필수적입니다.
----------
GPU를 사용하면 큰 차이 없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