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年、ソウルだけで11件のシンクホール…4件は原因不明
先月30日、ソウル市西大門区延禧洞(ソデムング・ヨンヒドン)の城山路(ソンサンノ)。合同調査チームが掘削機で4車線の道路を掘り始めた。ここで発生したシンクホール(地盤沈下の一種)の原因を把握するためだ。コンクリートが割れた箇所には柔らかい土が現れた。これを見守っていた50代の西大門区住民のキムさんは「何が問題なのかは分からないが、毎日通っている道に2日連続でシンクホールが出来てとても不安だ」と話した。 前日、この道路では面積24平方メートル、深さ2.5メートルの大きなシンクホールが発生し、移動中だった車が飲み込まれた。この事故で、車の運転者の80代男性と同乗者の70代女性が重傷を負って病院に搬送された。続いて30日にも事故発生地の近くでシンクホールが発生したことを受け、ソウル市と西大門区、建設安全研究院など関連機関が総出動し、地盤の状態の調査に取り掛かった。 ◆「崩壊」11件中4件は原因不明 4日、ソウル市によると、今年ソウル市内では深さ1メートルまたは面積1平方メートル以上の規模のシンクホールが11件発生した。2014年以降、今年まで10年8カ月間発生したシンクホール現象は合計227件に上る。全国的には2015年以降、毎年100件以上のシンクホールが発生しており、200件を越える年も数回あった。 今年のソウル市のシンクホールの数は、例年と比べて多い訳ではないが発生原因が究明されていないケースが多い。通常、上下水道管など地下施設物が原因の場合、すぐに調査結果が出るが、今年11件中4件はまだ原因がはっきりしておらず「その他」に分類されている。 専門家らは、気候変動を都心の中のシンクホールを誘発する原因の一つに挙げている。一般的に都心のシンクホールは風化土(硬い岩石が風化してできた土)が地下水によって移動し、その場所が空洞化した場合に発生する。強い暴雨と猛暑による日照りのような極端な気象現象がこのような空洞化を加速させ、シンクホールを誘発する恐れがあるというのが専門家の分析だ。 延世(ヨンセ)大学建設環境工学科のチョ・ウォンチョル名誉教授は「気候変化はすぐにシンクホールに影響を与える」として「降雨量が多くても地中の土が流される余地が多く問題、降雨量が少なくても地中の空洞化現象を引き起こす恐れがあるため」と説明した。 ◆強い雨+猛暑+工事は土地の安定性を阻害 専門家らは、最近、延喜洞で発生したシンクホール事故も今年の夏の激しい雨や猛暑などが影響を及ぼした可能性があるという。実際に7月、西大門区には時間当り64ミリの強い雨が降った。西大門区に時間当り60ミリ以上の強い雨が降ったのは10年ぶりのことだ。ソウル市は3カ月前に今回の事故現場を探査したが、当時は問題が見つからなかったという。 又石(ウソク)大学消防防災学科のコン・ハソン教授は「強くて多い雨はシンクホールに直接的・間接的な原因になる」とし、「地底の状況によっては土層があっという間に流されることもあり、長い歳月をかけてゆっくり流されて空洞ができる場合もある」と述べた。 雨が止んだ後、長期間続いた猛暑によって地下水が乾いている可能性も提起された。チョ・ウォンチョル教授は「降雨量が少なくても地下水が減って地中に空洞ができるが、今はそのような状況かもしれない」と述べた。 ソウル市は大雨による浸水被害を防ぐため、城山路付近で行われた雨水ポンプ工事が地下水の道に影響を与えた可能性なども調査中だ。韓国地質資源研究院の深層処分環境研究センターのパク・イソプ・センター長は「一般的に風化土層が深いほど、周辺で地下施設工事が多いほど、雨が激しく降るほど、シンクホール発生の可能性が高くなる」と説明した。 ◆「風化土層の深い地域に備えなければならない」 専門家らは精密な「地中地図」を活用して都心の中のシンクホールに備えなければならないと口をそろえる。比較的安定した地盤構造を持つソウルも極限気象が頻繁になるほど「地中の安全」を担保できないためだ。これまでソウルは硬い花崗岩が基盤岩(堆積岩層の一番下に置かれた硬い岩石層)になっており、相対的に地殻が安定したものと考えられていた。 しかし、ソウル市内でも比較的頻繁にシンクホールが発生する地域は別にある。この5年間(2019年9月~2024年8月)、ソウル市25自治区の中でシンクホールが最も多く発生したところは江南(カンナム)区と松坡(ソンパ)区で、各々12回の深さ1メートル、広さ1平方メートルより大きな規模のシンクホールが生じた。 パク・ウィソプ・センター長は「ソウル市内でも風化土層が深いところがあり、これはすでに調査された内容」とし「風化土層が深いところは気候変化が進むほど脆弱になる可能性があり、地盤状態による備えが必要だ」と述べた。
금년, 서울에서만 11건의 세면대 홀Զ건은 원인 불명
지난 달 30일, 서울시 서대문구 연희동(소젬그·욘히돈)의 시로야마로(손산노).합동 조사 팀이 굴착기로 4 차선의 도로를 파기 시작했다.여기서 발생한 세면대 홀(지반침하의 일종)의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때문에)다.콘크리트가 갈라진 개소에는 부드러운 흙이 나타났다.이것을 지켜보고 있던 50대의 서대문구 주민의 김씨는 「무엇이 문제인가는 모르지만, 매일 다니고 있는 길에 2일 연속으로 세면대 홀이 되어있어 매우 불안하다」라고 이야기했다. 전날, 이 도로에서는 면적 24평방 미터, 깊이 2.5미터가 큰 세면대 홀이 발생해, 이동중이었던 차가 삼켜졌다.이 사고로, 차의 운전자의 80대 남성과 동승자의 70대 여성이 중상을 입어 병원에 반송되었다.계속 되어 30일에 사고 발생지의 근처에서 세면대 홀이 발생한 것을 받아 서울시와 서대문구, 건설 안전 연구원 등 관련 기관이 총출동 동요해, 지반 상태의 조사에 착수했다. ◆「붕괴」11건중 4건은 원인 불명 4일, 서울시에 의하면, 금년 서울시내에서는 깊이 1미터 또는 면적 1평방 미터 이상의 규모의 세면대 홀이 11건 발생했다.2014년 이후, 금년까지 10년 8개월간 발생한 세면대 홀 현상은 합계 227건에 오른다.전국적으로는 2015년 이후, 매년 100건 이상의 세면대 홀이 발생하고 있어, 200건을 넘는 해도 몇차례 있었다. 금년의 서울시의 세면대 홀의 수는, 예년과 비교해서 많은 것은 아니지만 발생 원인이 구명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가 많다.통상, 상하수도관 등 지하 시설물이 원인의 경우, 곧바로 조사 결과가 나오지만, 금년 11건중 4건은 아직 원인이 확실하지 않고 「그 외」로 분류되고 있다. 전문가등은, 기후 변동을 도심안의 세면대 홀을 유발하는 원인의 한 살에 들고 있다.일반적으로 도심의 세면대 홀은 풍화흙(딱딱한 암석이 풍화 해서 할 수 있던 흙)이 지하수에 의해서 이동해, 그 자리소가 공동화 했을 경우에 발생한다.강한 폭우와 무더위에 의한 가뭄과 같은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이러한 공동화를 가속시켜, 세면대 홀을 유발할 우려가 있다라고 하는 것이 전문가의 분석이다. 연세(욘세) 대학 건설 환경 공학과의 조·워쵸르 명예 교수는 「기후 변화는 곧바로 세면대 홀에 영향을 준다」라고 해 「강우량이 많아도 지중의 흙이 흘러가는 여지가 많이 문제, 강우량이 적어도 지중의 공동화 현상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유익」이라고 설명했다. ◆강한 비+무더위+공사는 토지의 안정성을 저해 전문가등은, 최근, 연희동에서 발생한 세면대 홀 사고도 금년의 여름이 격렬한 비나 무더위등이 영향을 미친 가능성이 있다라고 한다.실제로 7월, 서대문구에는 시간당 64밀리의 강한 비가 내렸다.서대문구에 시간당 60밀리 이상의 강한 비가 내린 것은 10년만다.서울시는 3개월전에 이번 사고 현장을 탐사했지만, 당시는 문제가 발견되지 않았다고 한다. 또 돌(우소크) 대학 소방 방재 학과의 콘·하 손 교수는 「강하고 많은 비는 세면대 홀에 직접적·간접적인 원인이 된다」라고 해, 「지저의 상황에 따라서는 토층이 눈 깜짝할 순간에 흘러가기도 해, 긴 세월을 걸쳐 느긋하게 흘러가고 공동이 생기는 경우도 있다」라고 말했다. 비가 그친 후, 장기간 계속 된 무더위에 의해서 지하수가 마르고 있을 가능성도 제기되었다.조·워쵸르 교수는 「강우량이 적어도 지하수가 줄어 들어 지중에 공동이 생기지만, 지금은 그러한 상황일지도 모른다」라고 말했다. 서울시는 큰 비에 의한 침수 피해를 막기 위해, 시로야마로부근에서 행해진 빗물 펌프 공사가 지하수의 길에 영향을 준 가능성등도 조사중이다.한국 지질 자원 연구원의 심층 처분 환경 연구 센터의 박·이소프·센터장은 「일반적으로 풍화토층이 깊은 만큼, 주변에서 지하 시설 공사가 많은 만큼, 비가 격렬하게 내리는 만큼, 세면대 홀 발생의 가능성이 높아진다」라고 설명했다. ◆「풍화토층의 깊은 지역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된다」 전문가등은 정밀한 「지중 지도」를 활용해 도심안의 세면대 홀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 되면 입을 모은다.비교적 안정된 지반 구조를 가지는 서울도 극한 기상이 빈번히 그렇구나 「지중의 안전」을 담보할 수 없기 때문이다.지금까지 서울은 딱딱한 화강암이 기반바위(퇴적암층의 맨 밑에 놓여진 딱딱한 암석층)가 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지각이 안정된 것이라고 생각되고 있었다. 그러나, 서울시내에서도 비교적 빈번히 세면대 홀이 발생하는 지역은 별로 있다.이 5년간(2019년 9월 2024년 8월), 서울시 25 자치구안에서 세면대 홀이 가장 많이 발생한 곳은 강남(강남) 구와 송파(손파) 구로, 각각 12회가 깊이 1미터, 넓이 1평방 미터보다 큰 규모의 세면대 홀이 생겼다. 박·위소프·센터장은 「서울시내에서도 풍화토층이 깊은 곳이 있어, 이것은 벌써 조사된 내용」이라고 해 「풍화토층이 깊은 곳은 기후 변화가 진행될 만큼 취약하게 될 가능성이 있어, 지반 상태에 의한 준비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