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の高齢者層、引退できないまま働き続ける……高齢者雇用率はOECDの2倍、日本よりも10%Pも上……
66歳以上の老人10人中4人は中位所得の半分である「貧困線」以下に属していることが分かった。高齢者の57%程度だけが公的年金を受け取るなど、公的移転所得が低い状況で質の良い働き口も保障されずにいるためだ。これに伴い、韓国高齢層の雇用率は経済協力開発機構(OECD)平均対比2倍以上に達するなど、韓国の高齢者は遅くまで就職市場から引退せずに留まっていることが調査された。
統計庁が26日発表した「2023高齢者統計」によると、2021年基準で66歳以上引退年齢層の相対的貧困率は39.3%で2020年より1.1%低くなった。相対的貧困率は中位所得の50%(貧困線)以下の人口が占める割合をいう。相対的貧困率が小幅下落したが、韓国高齢者の貧困水準は主要国と比較にならないほど高い。OECDによると、2020年基準の韓国高齢者の相対的貧困率は40.4%で、豪州(22.6%)、米国(21.6%)はもちろん、カナダ(12.1%)、イタリア(10.3%)、英国(13.1%)より高かった。
高齢者貧困率が高い主な背景には、公的移転所得が低い点が影響を及ぼしているという分析だ。2022年、全体高齢者の57.6%が公的年金を受け取った。2021年(55.1%)比2.5%ポイント増えたが、依然として公的年金を受けられない高齢者が相当数だった。80歳以上の年金受給率は39.1%にとどまった。
このような理由で、韓国の高齢者は遅くまで働く場合が多かった。昨年基準で65歳以上の就業者数は326万5000人であり、雇用率は36.2%と集計された。雇用率は 10 年間で 6.1% ポイント上昇した。2021年基準、韓国の65歳以上の雇用率は34.9%で、OECD加盟38ヵ国の雇用率(15.0%)の2倍を超えた。
(引用ここまで)
韓国の高齢層についての統計が出てきまして。
これがなかなかに辛いものになっています。
まず人口における高齢者(65歳以上)の割合は18.4%。
日本の29.1%に比べるとまだ低いように見えますが、なにしろ世界でもっとも速くに高齢化が進んでいる国です。
早晩追いつかれるでしょう。1年に1%近く上昇しています。
なにしろ、出生率0.7台で子供が生まれないのに、世界で2番目の平均寿命を誇っていますから。
高齢者の相対貧困率は39.3%。
数年前には50%を越えていたことを考えるとじりじりと下がってきてはいますね。ただ、下げ止まっている感があります。2018年に43%でした。
国民総年金制度が実施されてからの世代の引退がはじまればなんとかなるんですかね、これ。
年金を受け取れている高齢者は57.6%。
一応、増えてはいますが……80代以上では39.1%。しんどい。
ここでいう年金は基礎年金(月に30万ウォン。所得下位70%が受け取れる)は含まないのでしょうね。
65歳以上の雇用率は34.9%。
足りない老後資金を引退後も働いて稼がざるを得ないといったところでしょう。
日本のそれは25.1%。韓国のほうがおおよそ10%ポイント高い。
まだ身体が動くうちはなんらかの形で雇用されていたいと。
というわけで今日も幸せ手押し車という名の段ボール回収を行うのですね。
たとえ1日に100kg集めて500円にしかならなくても。
本当に「高齢社会対策」が韓国では間に合わなかったのだな、ということがこれらの統計から分かります。
辛い社会ですわ。
한국의 고령자층, 은퇴할 수 없는 채 계속 일하는
고령자 고용율은 OECD의 2배, 일본보다 10%P도 상
66세 이상의 노인 10인중 4명은 중위 소득의 반인 「빈곤선」이하에 속하고 있는 것을 알았다.고령자의57% 정도만이 공적 연금을 받는 등, 공적 이전소득이 낮은 상황으로 질의 좋은 일자리도 보장되지 않고 있기 (위해)때문이다.이것에 수반해, 한국 고령층의 고용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평균 대비 2배 이상에 이르는 등, 한국의 고령자는 늦게까지 취직 시장으로부터 은퇴하지 않고 머물고 있는 것이 조사되었다.
통계청이 26일 발표한 「2023 고령자 통계」에 의하면, 2021년 기준으로 66세 이상 은퇴 연령층의 상대적 빈곤율은 39.3%로 2020년부터 1.1%낮아졌다.상대적 빈곤율은 중위 소득의50%(빈곤선) 이하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을 말한다.상대적 빈곤율이 소폭 하락했지만, 한국 고령자의 빈곤 수준은 주요국이라고 비교가 되지 않을 정도 높다.OECD에 의하면, 2020년 기준의 한국 고령자의 상대적 빈곤율은 40.4%로, 호주(22.6%), 미국(21.6%)은 물론, 캐나다(12.1%), 이탈리아(10.3%), 영국(13.1%)보다 비쌌다.
고령자 빈곤율이 높은 주된 배경에는, 공적 이전소득이 낮은 점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하는 분석이다.2022년, 전체 고령자의 57.6%가 공적 연금을 받았다.2021년(55.1%) 비 2.5%포인트 증가했지만, 여전히 공적 연금을 받을 수 없는 고령자가 상당수였다.80세 이상의 연금 수급율은 39.1%에 머물렀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의 고령자는 늦게까지 일하는 경우가 많았다.작년 기준으로 65세 이상의 취업자수는 326만 5000명이며, 고용율은 36.2%과 집계되었다.고용율은 10 년간에 6.1% 포인트 상승했다.2021년 기준, 한국의 65세 이상의 고용율은 34.9%로, OECD 가맹 38개국의 고용율(15.0%)의 2배를 넘었다.
(인용 여기까지)
한국의 고령층에 대한 통계가 나와서.
이것이 꽤에 괴로운 것이 되어 있습니다.
우선 인구에 있어서의 고령자(65세 이상)의 비율은 18.4%.
일본의 29.1%에 비하면 아직 낮은 것처럼 보입니다만, 어쨌든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고령화가 진행되고 있는 나라입니다.
조만간에 따라 잡히겠지요.1년에 1%가깝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출생률 0.7대로 아이가 태어나지 않는데,세계에서 2번째의 평균수명을 자랑하고 있을테니까.
고령자의 상대 빈곤율은 39.3%.
몇 년전에는50%를 넘고 있던 것을 생각하면 조금씩 내려 오고는 있군요.단지, 하락이 멈추고 있는 감이 있어요.2018년에 43%였습니다.
국민총연금 제도가 실시되고 나서의 세대의 은퇴가 시작하면 어떻게든 됩니까, 이것.
연금을 받아 들이고 있는 고령자는 57.6%.
일단, 증가하고는 있습니다만 㑄대 이상에서는 39.1%.힘들다.
여기서 말하는 연금은 기초 연금(한달에 30만원.소득 하위 70%가 받아 들인다)는 포함하지 않을 것입니다.
65세 이상의 고용율은 34.9%.
부족한 노후 자금을 은퇴 후도 일해 벌지 않을 수 없다고 한 참이지요.
일본의 그것은 25.1%.한국 쪽이 대체로 10%포인트 높다.
아직 신체가 움직일 때는 하등의 형태로 고용되어 아프면.
그렇다고 하는 것으로 오늘도행복 손수레라고 하는 이름의 골판지 회수를 실시하는 군요.
비록1일에 100 kg 모아 500엔 밖에 되지 않아도.
정말로 「고령사회 대책」이 한국에서는 늦었던 것이다, 라고 하는 것이 이러한 통계로부터 압니다.
괴로운 사회예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