夫婦で20万円の年金では韓国であっても暮らしてはいけない。60代になっても働かなくてはいけない韓国人は不幸である。
自由な生き方を気取って独身、子なしの生き方を選ぶ韓国人は将来、年金が破綻して金銭的に詰むぞ。子は作っとけ。
あと、日本の高年齢者雇用安定法に謳われているのは65歳定年の義務化だけ。70歳までの雇用確保は努力義務。
そんなに働きたくないってw
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
韓国定年者、休む暇もなく仕事探し…引退「拒否」する79%の言い分
ⓒ 中央日報/中央日報日本語版2023.09.29 07:09
地方のある公企業で33年間勤務して定年引退した60代Aさんは休む暇もなく新しい仕事を探している。月200万ウォン(約22万円)に至らない老齢年金だけで夫婦の生計を立てていくのは容易ではないと考えたからだ。だが、30年以上の経歴でも受け入れてくれるところがなく、もっと範囲を広げて探すべきか悩んでいる。
韓国では定年年齢に到達して退職しても引き続き働きたくことを望んでいる高齢層の比率が79%に達す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10人中8人は事実上引退を拒否しているといえる。このため雇用延長方案に対する積極的な議論が必要だという指摘が出ている。
29日、韓国統計庁「高齢層付加調査」マイクロデータを分析した結果、定年退職で最も長く勤務した雇用先を辞めた高齢層44万3000人のうち79.0%である35万人が「継続して働くことを希望する」と答えた。全体高齢層の継続勤労希望比率(68.5%)よりも10.5%ポイント高い。「定年の壁」によりやむを得ず労働市場に離脱した高齢層であるほど継続勤務への渇望が大きい。
定年退職人口は高齢化によって2021年39万4000人から昨年41万7000人、今年44万3000人と毎年増える傾向にある。時間が流れるほど、定年を迎えて引退しても労働市場に残りたいと思っている高齢層も増えるよりほかない。
彼らが定年退職をしても継続して働きたい理由は「健康が許諾する限り働きたい/働く楽しみのため」が52.3%で最も多かった。60代に達しても自分自身はまだ「仕事を辞めるべき年齢」と考えていないと解釈することができる。
続けて「生活費の足しにしたい/お金が必要」と答えた比率は35.0%であることが分かった。定年を迎えて引退した理由にも依然と生計問題が障害物になる高齢層が相当数存在するという意味だ。これ以外の理由としては「家にいると退屈する/時間を過ごすため」(5.6%)、「社会がまだ私の能力(技術)を必要としているため」(5.0%)、「健康を維持するため」(2.1%)などがあった。
特に最近国民年金受給年齢を段階的に65歳から68歳に引き上げていこうという年金改革方案が提示されて継続勤労に対する必要性はさらに高まっている。それでなくても定年退職以降に年金の受給を受けるまでに所得がない「所得クレバス(隙間)」が現在5年にもなるが、定年延長議論を急がないとこの期間が8年になるためだ。
これに対して労働界は法定定年を現行の満60歳から65歳以上に引き上げるべきだと主張している。これに関連し、韓国労働組合総連盟(韓国労総)が提案した国民同意請願は5万人の同意を得て現在国会環境労働委員会に回付された状況だ。韓国労総側は「定年延長は国民年金法にともなう老齢年金需給開始年齢と一致させて段階的に伸ばして所得空白問題を解決することによって、高齢者の雇用安定と適正賃金を保障し、これを通じて老後の貧困予防と高齢者の生活の質を改善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主張した。
だが、政府は法定定年を延長するよりも「継続雇用」で雇用を延長するほうに重点を置いている。法的に定年を延長すれば、青年就職に障壁として働く恐れがあるという理由からだ。代わりに職務・成果中心の賃金体系改編と連係して再雇用・定年延長などに対する社会的議論を進める方針だ。現在、大統領直属の社会的対話機構である経済社会労働委員会(経社労委)で「超高齢社会継続雇用研究会」をスタートさせて議論を続けている。
日本の場合、「高齢者雇用確保措置」を通じて勤労者が70歳に到達するまでに▽定年の延長▽定年の廃止▽再雇用--のうちから一つを適用するように義務化している。これを通じて事実上法定定年の延長を高める効果を誘導している。企業の立場でも相対的に費用負担を減らして熟練した労働者を引き続き雇用することができるという長所がある。
経社労委のキム・ドクホ常任委員は「日本では81.2%の企業が定年延長ではない退職後再雇用制度を活用している」とし「単純に法で定年を延長すれば就職を望む青年にとって大きな障壁と絶望になる場合がある。雇用延長のための活発な議論が必要だ」と明らかにした。
부부로 20만엔의 연금으로는 한국에서 만나도 살아 안 된다.60대가 되어도 일하지 않으면 안 된다 한국인은 불행하다.
자유로운 삶의 방법을 뽐내 독신, 아이 없음의 삶의 방법을 선택하는 한국인은 장래, 연금이 파탄해 금전적으로 막힐거야.아이는 작 녹아.
그리고, 일본의 고연령자 고용 안정법으로 구가해지고 있는 것은 65세 정년의 의무화만.70세까지의 고용 확보는 노력 의무.
그렇게 일하고 싶지 않다는 w
-----------
한국 정년자, 쉴 틈도 없게 일찾기 은퇴 「거부」하는 79%의 말
지방이 있는 공기업에서 33년간 근무해 정년 은퇴한 60대 A씨는 쉴 틈도 없고 새로운 일을 찾고 있다.월 200만원( 약 22만엔)에 이르지 않는 노령연금만으로 부부의 생계를 세워 가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하지만, 30년 이상의 경력에서도 받아 들여 주는 곳(중)이 없고, 더 범위를 펼쳐 찾아야할 것인가 고민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정년 연령에 도달해 퇴직해도 계속해 일하고 싶게 것을 바라고 있는 고령층의 비율이 79%에 이르는 것이 밝혀졌다.10인중 8명은 사실상 은퇴를 거부하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이 때문에 고용 연장 방안에 대한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고 하는 지적이 나와 있다.
29일, 한국 통계청 「고령층 부가 조사」마이크로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정년퇴직으로 가장 길게 근무한 고용지를 그만둔 고령층 44만 3000명중 79.0%인 35만명이 「계속해 일하는 것을 희망한다」라고 대답했다.전체 고령층의 계속 근로 희망 비율(68.5%)보다 10.5%포인트 높다.「정년의 벽」에 의해 어쩔수 없이 노동시장에 이탈한 고령층인 만큼 계속 근무에의 갈망이 크다.
정년퇴직 인구는 고령화에 의해서 2021년 39만 4000명으로부터 작년 41만 7000명, 금년 44만 3000명으로 매년 증가하는 경향에 있다.시간이 흐르는 만큼, 정년을 맞이해 은퇴해도 노동시장에 남고 싶은 고령층도 증가하는 것 밖에 방법이 없다.
그들이 정년퇴직을 해도 계속해 일하고 싶은 이유는 「건강이 허락하는 한 일하고 싶은/일하는 즐거움이기 때문에」가 52.3%로 가장 많았다.60대에 이르러도 자기 자신은 아직 「일을 그만두어야 할 연령」이라고 생각하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다.
계속해 「생활비의 보탬으로 하고 싶은/돈이 필요」라고 대답한 비율은 35.0%인 것을 알았다.정년을 맞이해 은퇴한 이유에도 여전히생계 문제가 장애물이 되는 고령층이 상당수 존재한다고 하는 의미다.이외의 이유로서는 「집에 있으면 싫증 할/시간을 보내기 위해」(5.6%), 「사회가 아직 나의 능력(기술)을 필요로 하고 있기 때문에」(5.0%),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때문에)」(2.1%)등이 있었다.
특히 최근 국민연금 수급 연령을 단계적으로 65세부터 68세로 끌어올려 가려는 연금 개혁 방안이 제시되어 계속 근로에 대한 필요성은 한층 더 높아지고 있는/`B 그래서 없어도 정년퇴직 이후에 연금의 수급을 받기까지 소득이 없는 「소득 크레바스(틈새)」가 현재 5년이나 되지만, 정년연장 논의를 서두르지 않으면 이 기간이 8년이 되기 (위해)때문이다.
이것에 대해서 노동계는 법정 정년을 현행의 만 60세부터 65세 이상으로 끌어올려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이것에 관련해, 한국 노동조합 총연합맹(한국 노총)이 제안한 국민 동의 청원은 5만명의 동의를 얻어 현재 국회 환경 노동 위원회에 회부된 상황이다.한국 노총측은 「정년연장은 국민연금법에 따르는 노령연금 수급 개시 연령과 일치시키고 단계적으로 늘려 소득 공백 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의해서, 고령자의 고용안정과 적정 임금을 보장해, 이것을 통해서 노후의 빈곤 예방과 고령자의 생활의 질을 개선해야 한다」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정부는 법정 정년을 연장하는 것보다도 「계속 고용」으로 고용을 연장하는 편에 중점을 두고 있다.법적으로 정년을 연장하면, 청년 취직에 장벽으로서 일할 우려가 있다라고 하는 이유로부터다.대신에 직무·성과 중심의 임금체계 개편과 연계해 재고용·정년연장 등에 대하는 사회적 논의를 진행시킬 방침이다.현재, 대통령 직속의 사회적 대화 기구인 경제사회 노동 위원회(경사노위)에서 「초고령사회 계속 고용연의`··v를 스타트시키고 논의를 계속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고령자 고용 확보 조치」를 통해서 근로자가 70세에 도달하기까지▽정년의 연장▽정년의 폐지▽재고용 중에서 하나를 적용하도록(듯이) 의무화하고 있다.이것을 통해서 사실상 법정 정년의 연장을 높이는 효과를 유도하고 있다.기업의 입장에서도 상대적으로 비용 부담을 줄여 숙련 한 노동자를 계속해 고용할 수 있다고 하는 장점이 있다.
경사노위의 김·드크호 상임위원은 「일본에서는 81.2%의 기업이 정년연장이 아닌 퇴직후 재고용 제도를 활용하고 있다」라고 해 「단순하게 법으로 정년을 연장하면 취직을 바라는 청년에게 있어서 큰 장벽과 절망이 되는 경우가 있다.고용 연장을 위한 활발한 논의가 필요하다」라고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