今年も日本人にイグ・ノーベル賞 電気流した箸で味変化
【ニューヨーク共同】ユニークな科学研究などに贈られる「イグ・ノーベル賞」の今年の受賞者が14日発表され、明治大の宮下芳明教授と東大大学院の中村裕美特任准教授が「栄養学賞」を受賞した。電気を通した箸やストローで飲食物の味を変える方法を提案した。日本人のイグ・ノーベル賞受賞は17年連続。
宮下氏は共同通信の取材に「とても光栄に思う。受賞論文は2011年のもので、その後の研究で減塩でもちゃんと塩味を感じられる装置を開発するなど、さらに進んでいる」と語った。中村氏は「研究を続けてきて良かった」と話した。
人間の舌や口腔内には味覚を感じる「味蕾」と呼ばれる器官が多数あり、そこから神経の伝達によって味に関する情報が脳に伝わる。味蕾や神経に電気を与えると酸味や金属的な味を感じる「電気味覚」という現象が生じるといわれている。
両氏は電気味覚を利用し、微弱な電流を通した箸を使って食べ物を口に運ぶことで、感じる味を変化させることができる方法を提案した。飲み物の場合は2本のストローを用いて電気を通した。
何をやってもノーベル賞を受賞できない韓国、ウ●コでイグ・ノーベル賞を受賞する
大小便をすると便器が病気を診断する・・・韓国人科学者、イグ・ノーベル賞
毎年ノーベル賞に先立ち発表されるイグ・ノーベル賞の今年の受賞者にスマート便器を開発した韓国人科学者パク・スンミン博士(アメリカ・スタンフォード大学泌尿器医学科)を含む10人の科学者が選ばれた。
イグ・ノーベル賞はアメリカ・ハーバード大学の科学雑誌「Annals
of Improbable
Research」(風変わりな研究年報、AIR)が大衆の関心を科学に対するひきつけるために1991年に作った賞で、今年で33回目を迎えた。常識を超えたユニークさで愉快な発想に基づきながらも意味のある研究や業績を対象に、毎年10月に発表されるノーベル賞受賞者に先駆けて賞を授与する。
公衆衛生賞を受賞したパク博士のスマート便器は、体から出る排泄物を即座に見て健康状態を分析し、伝染病感染の有無を判別する一種の医療診断機器だ。2020年に学術誌ネイチャー・バイオテクノロジーに発表したこの便器は、内蔵されたカメラ・センサー・診断検査紙などで大小便の色や量などの状態を分析し、健康状態と疾病を診断する。
(後略)
일본은 미각으로 수상했는데 한국은 자신있는 운코로 수상한 w
【뉴욕 공동】독특한 과학 연구 등에 주어지는 「이그·노벨상」의 금년의 수상자가 14일 발표되어 메이지대의 미야시타 요시아키 교수와 도쿄대학 대학원의 나카무라 히로미특임준교수가 「영양학상」을 수상했다.전기를 통한 젓가락이나 빨대로 음식물의 맛을 바꾸는 방법을 제안했다.일본인의 이그·노벨상 수상은 17년 연속.
미야시타씨는 쿄오도통신의 취재에 「매우 영광으로 생각한다.수상 논문은 2011년의 것으로, 그 후의 연구로 감염에서도 제대로 짠맛을 느껴지는 장치를 개발하는 등, 한층 더 진행되고 있다」라고 말했다.나카무라씨는 「연구를 계속해 와 좋았다」라고 이야기했다.
인간의 혀나 구강내에는 미각을 느끼는 「미각아」라고 불리는 기관이 다수 있어, 거기로부터 신경의 전달에 의해서 맛에 관한 정보가 뇌에 전해진다.미각아나 신경에 전기를 주면 산미나 금속적인 맛을 느끼는 「전기 미각」이라고 하는 현상이 생긴다고 한다.
두사람은 전기 미각을 이용해, 미약한 전류를 통한 젓가락을 사용해 음식을 입에 옮기는 것으로, 느끼는 맛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음료의 경우는 2개의 빨대를 이용하고 전기를 통했다.
매년 노벨상에 앞서 발표되는 이그·노벨상의 금년의 수상자에게 스마트 변기를 개발한 한국인 과학자 박·슨민 박사(미국·스탠포드 대학 비뇨기 의학과)를 포함한 10명의 과학자가 선택되었다.
이그·노벨상은 미국·하버드 대학의 과학 잡지 「Annals of Improbable Research」(이색적인 연구 연보, AIR)이 대중의 관심을 과학에 대한 끌어 당기기 위해서 1991년에 만든 상으로, 금년에 33번째를 맞이했다.상식을 넘은 독특함으로 유쾌한 발상에 근거하면서도 의미가 있는 연구나 실적을 대상으로, 매년 10월에 발표되는 노벨상 수상자에게 앞서 상을 수여한다.
공중위생상을 수상한 박 박사의 스마트 변기는, 몸으로부터 나오는 배설물을 즉석에서 보고 건강 상태를 분석해, 전염병 감염의 유무를 판별하는 일종의 의료 진단 기기다.2020년에 학술잡지 네이쳐·바이오 테크놀러지에 발표한 이 변기는, 내장된 카메라·센서·진단 검사지등에서 대소변의 색이나 양등의 상태를 분석해, 건강 상태와 질병을 진단한다.
(후략)
금년도 일본인에 이그·노벨상 전기 흘린 젓가락으로 맛변화
【뉴욕 공동】독특한 과학 연구 등에 주어지는 「이그·노벨상」의 금년의 수상자가 14일 발표되어 메이지대의 미야시타 요시아키 교수와 도쿄대학 대학원의 나카무라 히로미특임준교수가 「영양학상」을 수상했다.전기를 통한 젓가락이나 빨대로 음식물의 맛을 바꾸는 방법을 제안했다.일본인의 이그·노벨상 수상은 17년 연속.
미야시타씨는 쿄오도통신의 취재에 「매우 영광으로 생각한다.수상 논문은 2011년의 것으로, 그 후의 연구로 감염에서도 제대로 짠맛을 느껴지는 장치를 개발하는 등, 한층 더 진행되고 있다」라고 말했다.나카무라씨는 「연구를 계속해 와 좋았다」라고 이야기했다.
인간의 혀나 구강내에는 미각을 느끼는 「미각아」라고 불리는 기관이 다수 있어, 거기로부터 신경의 전달에 의해서 맛에 관한 정보가 뇌에 전해진다.미각아나 신경에 전기를 주면 산미나 금속적인 맛을 느끼는 「전기 미각」이라고 하는 현상이 생긴다고 한다.
두사람은 전기 미각을 이용해, 미약한 전류를 통한 젓가락을 사용해 음식을 입에 옮기는 것으로, 느끼는 맛을 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했다.음료의 경우는 2개의 빨대를 이용하고 전기를 통했다.
무엇을 해도 노벨상을 수상할 수 없는 한국, 우●코로 이그·노벨상을 수상한다
매년 노벨상에 앞서 발표되는 이그·노벨상의 금년의 수상자에게 스마트 변기를 개발한 한국인 과학자 박·슨민 박사(미국·스탠포드 대학 비뇨기 의학과)를 포함한 10명의 과학자가 선택되었다.
이그·노벨상은 미국·하버드 대학의 과학 잡지 「Annals of Improbable Research」(이색적인 연구 연보, AIR)이 대중의 관심을 과학에 대한 끌어 당기기 위해서 1991년에 만든 상으로, 금년에 33번째를 맞이했다.상식을 넘은 독특함으로 유쾌한 발상에 근거하면서도 의미가 있는 연구나 실적을 대상으로, 매년 10월에 발표되는 노벨상 수상자에게 앞서 상을 수여한다.
공중위생상을 수상한 박 박사의 스마트 변기는, 몸으로부터 나오는 배설물을 즉석에서 보고 건강 상태를 분석해, 전염병 감염의 유무를 판별하는 일종의 의료 진단 기기다.2020년에 학술잡지 네이쳐·바이오 테크놀러지에 발표한 이 변기는, 내장된 카메라·센서·진단 검사지등에서 대소변의 색이나 양등의 상태를 분석해, 건강 상태와 질병을 진단한다.
(후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