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に住む外国人の20%は「差別を経験」…主な原因は
韓国在住の外国人のうち、差別を経験した人は19.7%に上ることが分かった。出身国を理由に差別されるケースや、韓国語ができないために差別されるケースが多かった。
韓国統計庁が6日に発表した「在留外国人の韓国生活」と題するリポートによると、差別を経験した外国人のうち、差別の主な原因として「出身国」を挙げた人は58.0%、「韓国語の能力」を挙げた人は27.9%だった。外国人は、韓国人が出身や言語能力を理由に差別する傾向があると感じているようだ。
外国人が頻繁に差別を受ける場所として挙げたのは、商店や飲食店、銀行など、日常生活でよく利用する場所だった。これらの場所で「ひどい差別を受けている」と答えた人は5.4%、「少し差別を受けている」と答えた人は37.6%だった。他に、ひどい差別を受けている場所として外国人が挙げたのは「職場」(7.6%)だった。
このリポートは、昨年実施した「移民(移住)者の在留実態および雇用調査」を基に、外国人を対象にした韓国生活に関するアンケート部分だけを抽出して分析した。
韓国生活で困っていることについては、男性は言語の問題(45.8%)と寂しさ(31.9%)を挙げる一方、女性は経済的な問題(21.9%)と外国人に対する誤解や蔑視(17.1%)を挙げた。
ただし、韓国生活への満足度については全体的に高かった。韓国生活に「とても満足している」と答えた外国人は40.8%、「少し満足している」は39.6%で、合わせて80.4%に達した。特に、周囲の人々との関係にとても満足していると答えた外国人は63.7%に上った。
한국에 사는 외국인의 20%는 「차별을 경험」 주된 원인은
한국 거주의 외국인 가운데, 차별을 경험한 사람은 19.7%에 오르는 것을 알았다.출신국을 이유로 차별되는 케이스나, 한국어를 할 수 없기 위해(때문에) 차별되는 케이스가 많았다.
한국 통계청이 6일에 발표한 「재류 외국인의 한국 생활」이라고 제목을 붙이는 리포트에 의하면, 차별을 경험한 외국인 가운데, 차별의 주된 원인으로서 「출신국」을 든 사람은 58.0%, 「한국어의 능력」을 든 사람은 27.9%였다.외국인은, 한국인이 출신이나 언어 능력을 이유로 차별하는 경향이 있다라고 느끼고 있는 것 같다.
외국인이 빈번히 차별을 받는 장소로서 올린 것은, 상점이나 음식점, 은행 등, 일상생활에 자주(잘) 이용하는 장소였다.이러한 장소에서 「심한 차별을 받고 있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5.4%, 「조금 차별을 받고 있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37.6%였다.그 밖에, 심한 차별을 받고 있는 장소로서 외국인이 둔 것은 「직장」(7.6%)였다.
이 리포트는, 작년 실시한 「이민(이주) 자의 재류 실태 및 고용 조사」를 기본으로,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 생활에 관한 앙케이트 부분만큼을 추출해 분석했다.
한국 생활로 곤란해 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는, 남성은 언어의 문제(45.8%)와 외로움(31.9%)를 드는 한편, 여성은 경제적인 문제(21.9%)와 외국인에 대한 오해나 멸시(17.1%)를 들었다.
다만, 한국 생활에의 만족도에 대해서는 전체적으로 높았다.한국 생활에 「매우 만족하다」라고 대답한 외국인은 40.8%, 「조금 만족하다」는 39.6%로, 합해 80.4%에 이르렀다.특히, 주위의 사람들과의 관계에 매우 만족하다고 대답한 외국인은 63.7%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