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カ国「親書」送ったという韓国野党代表…IMO「日本の海洋放出、投棄ではない」
韓国第1野党「共に民主党」の李在明(イ・ジェミョン)代表が4日、ロンドン条約とロンドン議定書に加入している88カ国に福島問題関連のいわゆる「親書」を送った中で、国際海事機関(IMO)はすでに「放出行為はロンドン議定書上、禁止された『投棄(dumping)』と見るのは難しい」など内容の法律検討を終えたことが分かった。これは国際法学界ではすでに議論がある程度終わった事案で、国際機構次元の行動を要求して得られる実益は何かという質問につながる。
◇IMO、事実上「投棄ではない」
5日、IMOによると、昨年10月IMOによって作成された「放射性廃棄物管理に関連する事項」という文書には「ロンドン条約・議定書の解釈は当事国の全権(prerogative)」としながらも「陸地からのパイプラインを通した処理(disposal)をロンドン条約・議定書上の投棄(dumping)と見ることはできないという意見もある」という結論が入っていた。
当時IMO側は福島放流問題に関連して加盟国間の意見が交錯したため法律検討を行った。これに関連して、海洋水産部のパク・ソンフン次官は4日の記者会見で「当時加盟国の間で(福島問題を)ロンドン議定書体系の中で議論すべきかどうかについて議論があった。IMOは『当事国の全権事項』とまとめたが、付帯意見で『投棄ではない』という立場を出した」と説明した。
ロンドン条約は飛行機や船舶などを利用して海に廃棄物を投棄する行為を防ぐことを目的に1975年に発効された。その後、条約の実効性を強化するために2006年からロンドン議定書が発効された。
◇「人工海洋構造物ではない」
ロンドン議定書によると、「投棄」とは「廃棄物その他の物を船舶、航空機又はプラットフォームその他の人工海洋構築物から海洋へ故意に処分すること」などと定義されている。
したがって核心の争点は▽日本が陸地から海に作った1キロの海上トンネルを「人工海洋構造物」と見るか▽日本の放流が「海洋」、すなわち海を対象にしているかどうかに圧縮される。
まずIMOは人工海洋構造物に該当する例示として、灯台、浮漂などを挙げながら「パイプライン(日本の海底トンネル)は人工海洋構造物とは見なされなず、パイプラインそれ自体が投棄の対象になる物質(matter)」と判断した。これは「陸地とつながっている施設はロンドン議定書の適用対象ではない」という日本の従来の主張と一脈相通ずる。
またIMOは「ロンドン議定書に規定された『海洋』は、陸上からのみ利用することのできる海底の下の貯蔵所を含まない」と明示した。「放流された廃棄物は海へ向かうかもしれないが、陸地から続くパイプラインは厳密に言って『海洋にある』とは言えない」としながらだ。
結局IMOは「日本の海底トンネルが人工海洋構造物ではなく、放流もまた海洋に向けた処理行為に該当しない」という意見を出したといえる。
◇IMO、事実上「投棄ではない」
5日、IMOによると、昨年10月IMOによって作成された「放射性廃棄物管理に関連する事項」という文書には「ロンドン条約・議定書の解釈は当事国の全権(prerogative)」としながらも「陸地からのパイプラインを通した処理(disposal)をロンドン条約・議定書上の投棄(dumping)と見ることはできないという意見もある」という結論が入っていた。
当時IMO側は福島放流問題に関連して加盟国間の意見が交錯したため法律検討を行った。これに関連して、海洋水産部のパク・ソンフン次官は4日の記者会見で「当時加盟国の間で(福島問題を)ロンドン議定書体系の中で議論すべきかどうかについて議論があった。IMOは『当事国の全権事項』とまとめたが、付帯意見で『投棄ではない』という立場を出した」と説明した。
ロンドン条約は飛行機や船舶などを利用して海に廃棄物を投棄する行為を防ぐことを目的に1975年に発効された。その後、条約の実効性を強化するために2006年からロンドン議定書が発効された。
◇「人工海洋構造物ではない」
ロンドン議定書によると、「投棄」とは「廃棄物その他の物を船舶、航空機又はプラットフォームその他の人工海洋構築物から海洋へ故意に処分すること」などと定義されている。
したがって核心の争点は▽日本が陸地から海に作った1キロの海上トンネルを「人工海洋構造物」と見るか▽日本の放流が「海洋」、すなわち海を対象にしているかどうかに圧縮される。
まずIMOは人工海洋構造物に該当する例示として、灯台、浮漂などを挙げながら「パイプライン(日本の海底トンネル)は人工海洋構造物とは見なされなず、パイプラインそれ自体が投棄の対象になる物質(matter)」と判断した。これは「陸地とつながっている施設はロンドン議定書の適用対象ではない」という日本の従来の主張と一脈相通ずる。
またIMOは「ロンドン議定書に規定された『海洋』は、陸上からのみ利用することのできる海底の下の貯蔵所を含まない」と明示した。「放流された廃棄物は海へ向かうかもしれないが、陸地から続くパイプラインは厳密に言って『海洋にある』とは言えない」としながらだ。
結局IMOは「日本の海底トンネルが人工海洋構造物ではなく、放流もまた海洋に向けた処理行為に該当しない」という意見を出したといえる。
IMO에 말의 실수가 지적된 이재명
88개국 「친서」보냈다고 하는 한국 야당 대표 IMO 「일본의 해양 방출, 투기는 아니다」
한국 제 1 야당 「 모두 민주당」의 이재아키라(이·제몰) 대표가 4일, 런던 조약과 런던 의정서에 가입하고 있는 88개국에 후쿠시마 문제 관련의 이른바 「친서」를 보낸 가운데, 국제 해사 기관(IMO)은 벌써 「방출 행위는 런던 의정서상, 금지된 「투기(dumping)」라고 보는 것은 어렵다」 등 내용의 법률 검토를 끝낸 것을 알았다.이것은 국제법 학계에서는 벌써 논의가 있다 정도 끝난 사안에서, 국제기구 차원의 행동을 요구해 얻을 수 있는 실익은 무엇인가 말하는 질문으로 연결된다.
◇IMO, 사실상 「투기는 아니다」
5일, IMO에 의하면, 작년 10월 IMO에 의해서 작성된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련하는 사항」이라고 하는 문서에는 「런던 조약·의정서의 해석은 당사국의 전권(prerogative)」이라고 하면서도 「육지로부터의 파이프라인을 통한 처리(disposal)를 런던 조약·의정서상의 투기(dumping)라고 볼 수 없다고 하는 의견도 있다」라고 하는 결론이 들어가 있었다.
당시 IMO측은 후쿠시마 방류 문제에 관련해 가맹국간의 의견이 교착했기 때문에 법률 검토를 실시했다.이것에 관련하고, 해양 수산부의 박·손 분 차관은 4일의 기자 회견에서 「당시 가맹국의 사이에(후쿠시마 문제를) 런던 의정서 체계 중(안)에서 논의해야할 것인가 어떤가에 임해서 논의가 있었다.IMO는 「당사국의 전권 사항」과 정리했지만, 부대 의견으로 「투기는 아니다」라고 하는 입장을 냈다」라고 설명했다.
런던 조약은 비행기나 선박등을 이용해 바다에 폐기물을 투기하는 행위를 막는 것을 목적으로 1975년에 발효되었다.그 후, 조약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2006년부터 런던 의정서가 발효되었다.
◇「인공 해양구조물은 아니다」
런던 의정서에 의하면, 「투기」란 「폐기물 그 외의 물건을 선박, 항공기 또는 플랫폼 그 외의 인공 해양 구축물로부터 해양에 고의로 처분하는 것」 등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따라서 핵심의 쟁점은▽일본이 육지에서 바다로 만든 1킬로의 해상 터널을 「인공 해양구조물」이라고 볼까▽일본의 방류가 「해양」, 즉 바다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 어떤지에 압축된다.
우선 IMO는 인공 해양구조물에 해당하는 예시로서 등대, 부표등을 들면서 「파이프라 인(일본의 해저 터널)은 인공 해양구조물이라고는 보여져두, 파이프라인 그 자체가 투기의 대상이 되는 물질(matter)」이라고 판단했다.이것은 「육지와 연결되어 있는 시설은 런던 의정서의 적용 대상은 아니다」라고 하는 일본의 종래의 주장과 일맥 상통 질질 끈다.
또 IMO는 「런던 의정서에 규정된 「해양」은, 육상으로부터 마셔 이용할 수 있는 해저아래의 저장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라고 명시했다.「방류된 폐기물은 바다로 향할지도 모르지만, 육지로부터 계속 되는 파이프라인은 엄밀하게 말해 「해양에 있다」라고는 말할 수 없다」라고 하면서다.
결국 IMO는 「일본의 해저 터널이 인공 해양구조물이 아니고, 방류도 또 해양으로 향한 처리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의견을 냈다고 말할 수 있다.
◇IMO, 사실상 「투기는 아니다」
5일, IMO에 의하면, 작년 10월 IMO에 의해서 작성된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련하는 사항」이라고 하는 문서에는 「런던 조약·의정서의 해석은 당사국의 전권(prerogative)」이라고 하면서도 「육지로부터의 파이프라인을 통한 처리(disposal)를 런던 조약·의정서상의 투기(dumping)라고 볼 수 없다고 하는 의견도 있다」라고 하는 결론이 들어가 있었다.
당시 IMO측은 후쿠시마 방류 문제에 관련해 가맹국간의 의견이 교착했기 때문에 법률 검토를 실시했다.이것에 관련하고, 해양 수산부의 박·손 분 차관은 4일의 기자 회견에서 「당시 가맹국의 사이에(후쿠시마 문제를) 런던 의정서 체계 중(안)에서 논의해야할 것인가 어떤가에 임해서 논의가 있었다.IMO는 「당사국의 전권 사항」과 정리했지만, 부대 의견으로 「투기는 아니다」라고 하는 입장을 냈다」라고 설명했다.
런던 조약은 비행기나 선박등을 이용해 바다에 폐기물을 투기하는 행위를 막는 것을 목적으로 1975년에 발효되었다.그 후, 조약의 실효성을 강화하기 위해서 2006년부터 런던 의정서가 발효되었다.
◇「인공 해양구조물은 아니다」
런던 의정서에 의하면, 「투기」란 「폐기물 그 외의 물건을 선박, 항공기 또는 플랫폼 그 외의 인공 해양 구축물로부터 해양에 고의로 처분하는 것」 등이라고 정의되고 있다.
따라서 핵심의 쟁점은▽일본이 육지에서 바다로 만든 1킬로의 해상 터널을 「인공 해양구조물」이라고 볼까▽일본의 방류가 「해양」, 즉 바다를 대상으로 하고 있는지 어떤지에 압축된다.
우선 IMO는 인공 해양구조물에 해당하는 예시로서 등대, 부표등을 들면서 「파이프라 인(일본의 해저 터널)은 인공 해양구조물이라고는 보여져두, 파이프라인 그 자체가 투기의 대상이 되는 물질(matter)」이라고 판단했다.이것은 「육지와 연결되어 있는 시설은 런던 의정서의 적용 대상은 아니다」라고 하는 일본의 종래의 주장과 일맥 상통 질질 끈다.
또 IMO는 「런던 의정서에 규정된 「해양」은, 육상으로부터 마셔 이용할 수 있는 해저아래의 저장소를 포함하지 않는다」라고 명시했다.「방류된 폐기물은 바다로 향할지도 모르지만, 육지로부터 계속 되는 파이프라인은 엄밀하게 말해 「해양에 있다」라고는 말할 수 없다」라고 하면서다.
결국 IMO는 「일본의 해저 터널이 인공 해양구조물이 아니고, 방류도 또 해양으로 향한 처리 행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의견을 냈다고 말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