記事の導入部で韓国人が嫌いになるwww
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ー
韓国の現代史は類例のない成功の歴史だ。戦後約140の独立国家の中で産業化と民主化に成功した国は韓国が唯一だ。開発途上国としては初めて先進国の仲間入りを果たし、韓国文化と韓国的な生活に対する世界の人々の関心も高まっている。
しかし、奇跡のような達成にもかかわらず、韓国人として誇りを感じる人は半数ほどしかいないという調査結果が出た。
東亜(トンア)日報とアンケート調査プラットフォームのティリアン・プロ、成人男女1800人を対象に調査した結果、「韓国人であることを誇りに思う」と答えた人は55%にすぎなかった。
「あまり誇りに思わない」という回答が22%、残りの23%は「韓国人であることが嫌だ」と答えた。特に10~20代は「韓国人であることが嫌だ」と答えた割合が10人に3人(28.8~29.4%)だった。
国家の成功が国家に対する誇りや個人の達成感につながっていないのだ。
社会が発展し、個人主義の傾向が強くなると、国威宣揚が国家に対する誇りにつながらないのは普遍的なことだ。若い世代ほど現実に対する不満が多いのも事実だ。しかし、今回の調査結果を見ると、韓国的な特殊性も目立つ。
「韓国に最も似合うイメージ」を尋ねたところ、「競争的」、「疲れる」という回答が多かった。「圧縮成長」の過程で過熱した競争と成功への強迫観念が社会不満として表現されたのだ。韓国人特有の向上心が高速成長を可能にした一方、疲労感を高めたとみられる。
競争が激しくなればなるほど、成功した人よりも失敗した人が多くなるものだ。自分の人生が苦しいのに、国家の成功に誇りを持つ余裕があるだろうか。さらに、いくら努力しても社会経済的背景の限界を越えられないと感じれば、相対的な剥奪感はさらに大きくなる。
韓国人の幸福度が世界最下位レベルであるのも、このような社会雰囲気と無関係ではないだろう。
国家の成功に自分の役割があるという人が増えれば幸福度が上がり、集団の能力も強まる。多様な人生の価値を尊重して消耗的な競争を減らし、公正な競争を保証し、失敗しても再チャレンジの機会と最低限の人間らしい生活が保証されるという信念を与えてこそ、共同体に対する信頼と責任感が生まれるだろう。
これらすべては、対立を調整し、合意を引き出す政治が機能してこそ可能なことだ。「K」が付く最も恥ずかしい言葉として「K政治」が圧倒的1位(52.7%)に選ばれたという調査結果を重く受け止めなければならない。
Updated May. 13, 2023 08:24
https://www.donga.com/jp/article/all/20230513/4152499/1
기사의 도입부에서 한국인이 싫게 되는 www
-------------
한국의 현대사는 유례가 없는 성공의 역사다.전후 약 140의 독립국가 중(안)에서 산업화와 민주화에 성공한 나라는 한국이 유일하다.개발도상국으로서는 처음으로 선진국의 동참을 완수해, 한국 문화와 한국적인 생활에 대한 세계의 사람들의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기적과 같은 달성에도 불구하고, 한국인으로서 자부심을 느끼는 사람은 반수(정도)만큼 밖에 없다고 하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동아(톤아) 일보와 앙케이트 조사 플랫폼의 티리안·프로, 성인 남녀 18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한국인인 것을 자랑으로 생각한다」라고 대답한 사람은 55%에 지나지 않았다.
「별로 자랑해로 생각하지 않는다」라고 하는 회답이 22%, 나머지의 23%는 「한국인인 것이 싫다」라고 대답했다.특히 1020대는 「한국인인 것이 싫다」라고 대답한 비율이 10명에게 3명(28.829.4%)였다.
국가의 성공이 국가에 대한 자랑이나 개인의 달성감으로 연결되지 않은 것이다.
사회가 발전해, 개인주의의 경향이 강해지면, 국위 선양이 국가에 대한 자랑에 연결되지 않는 것은 보편적인 일이다.젊은 세대 정도 현실에 대한 불만이 많은 것도 사실이다.그러나, 이번 조사 결과를 보면, 한국적인 특수성도 눈에 띈다.
「한국에 가장 어울리는 이미지」를 물었는데, 「경쟁적」, 「지친다」라고 하는 회답이 많았다.「압축 성장」의 과정에서 과열한 경쟁과 성공에의 강박 관념이 사회 불만으로서 표현되었던 것이다.한국인 특유의 향상심이 고속 성장을 가능하게 한 한편, 피로감을 높였다고 보여진다.
경쟁이 격렬해지면 질 수록, 성공한 사람보다 실패한 사람이 대부분지는 것이다.자신의 인생이 괴로운데, 국가의 성공에 자랑을 가질 여유가 있다일까.게다가 아무리 노력해도 사회경제적 배경의 한계를 넘을 수 없다고 느끼면, 상대적인 박탈감은 한층 더 커진다.
한국인의 행복도가 세계 최하위레벨인 것도, 이러한 사회 분위기와 무관계하지 않을 것이다.
국가의 성공에 자신의 역할이 있다라고 하는 사람이 증가하면 행복도가 올라, 집단의 능력도 강해진다.다양한 인생의 가치를 존중해 소모적인 경쟁을 줄여, 공정한 경쟁을 보증해, 실패해도 재챌린지의 기회와 최저한의 인간다운 생활이 보증된다고 하는 신념을 주어야만, 공동체에 대한 신뢰와 책임감이 태어날 것이다.
이것들 모든 것은, 대립을 조정해, 합의를 꺼내는 정치가 기능해야만 가능한 일이다.「K」가 붙는 가장 부끄러운 말로서 「K정치」가 압도적 1위(52.7%)에 선택되었다고 하는 조사 결과를 무겁게 받아 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Updated May. 13, 2023 08:24
https://www.donga.com/jp/article/all/20230513/41524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