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外国人 10命中 8人は韓国の国家イメージを肯定的に評価することと調査された. 日本でも 2018年の調査であると言う最初で肯定評価がもっと高く現われた.
文化体育館鉱夫海外文化広報員は 24であるこのような内容を記した ‘2021 国家イメージ’ 調査結果を発表した. 調査によれば外国人が見た韓国に対する全般的な国家イメージは肯定評価が 80.5%で前年より 2.4%ポイント上昇した.
国家別では ◆ベトナム(95%) ◆トルコ(92.2%) ◆フィリピン(92%) ◆タイ(90.8%) など 7ヶ国家で 10命中 9人以上が韓国のイメージを肯定的に評価した.
特に日本の場合肯定評価(35%)が去年より 7.4%ポイント大きく上昇して 2018年の調査であると言う初めて不正評価(26.6%)より高く現われた.
韓国に対する肯定イメージ要因では ◆Kポップと映画など現代文化(22.9%) ◆製品・ブランド(13.2%) ◆経済数与えた(10.2%) ◆文化遺産(9.5%) ◆国民性(8.6%) ◆社会システム(7.8%) ◆スポーツ(7.6%) ◆政治状況(6.2%) ◆国際的位相(5.3%) などの順序で現われた.
2020年の調査と比べると教育・福祉・医療など社会システムが 5.9%ポイント, 韓国人の国民性 5.8%ポイント, スポーツが 4.6%ポイント増加して現代文化だけではなく多様な分野と社会的側面が選ぶように肯定的な影響を及ぼした.
韓国国家イメージに肯定的影響を及ぼした韓国人では防弾少年団(15.1%)が 1位に数えられた. 引き続き 2位ムン・ゼイン大統領, 3位ブラックピンク, 4位移民号など上位 10インに寒流スターが 6人が含まれて一番多いパーセントを占めた.
一方韓国の国家イメージ改善課題では ‘良質の文化コンテンツ生産’(23.3%), ‘観光客幼稚のための海外広報’(17.9%), ‘世界的なブランド開発’(16.8%) などを指折った.
2020年改善課題で一番高いパーセントを占めた ‘南北関係改善’ 順位が今度は低くなって韓国が分断国家イメージを越して文化コンデンツ強国として関心を受けることで現われたと海外文化広報員は説明した.
が調査は去年 9月 1‾29である我が国を含んだ 24開国万 16才以上 1万2500人を対象でオンライン方式で進行した.

외국인 10명 중 8명은 한국의 국가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일본에서도 2018년 조사 이래 최초로 긍정평가가 더 높게 나타났다.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은 24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1 국가이미지’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외국인이 본 한국에 대한 전반적인 국가이미지는 긍정 평가가 80.5%로 전년보다 2.4%포인트 상승했다.
국가별로는 ▶베트남(95%) ▶터키(92.2%) ▶필리핀(92%) ▶태국(90.8%) 등 7개 국가에서 10명 중 9명 이상이 한국의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특히 일본의 경우 긍정 평가(35%)가 지난해보다 7.4%포인트 크게 상승해 2018년 조사 이래 처음 부정 평가(26.6%)보다 높게 나타났다.
한국에 대한 긍정 이미지 요인으로는 ▶K팝과 영화 등 현대문화(22.9%) ▶제품ㆍ브랜드(13.2%) ▶경제수준(10.2%) ▶문화유산(9.5%) ▶국민성(8.6%) ▶사회시스템(7.8%) ▶스포츠(7.6%) ▶정치상황(6.2%) ▶국제적 위상(5.3%)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020년 조사와 비교하면 교육ㆍ복지ㆍ의료 등 사회시스템이 5.9%포인트, 한국인의 국민성 5.8%포인트, 스포츠가 4.6%포인트 증가해 현대문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와 사회적 측면이 고르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한국 국가이미지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 한국인으로는 방탄소년단(15.1%)이 1위로 꼽혔다. 이어 2위 문재인 대통령, 3위 블랙핑크, 4위 이민호 등 상위 10인에 한류 스타가 6명이 포함돼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했다.
한편 한국의 국가이미지 개선 과제로는 ‘양질의 문화콘텐츠 생산’(23.3%), ‘관광객 유치를 위한 해외홍보’(17.9%), ‘세계적인 브랜드 개발’(16.8%) 등을 꼽았다.
2020년 개선 과제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한 ‘남북관계 개선’ 순위가 이번에는 낮아져 한국이 분단국가 이미지를 넘어 문화콘텐트 강국으로서 관심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해외문화홍보원은 설명했다.
이 조사는 지난해 9월 1~29일 우리나라를 포함한 24개국 만 16세 이상 1만2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방식으로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