マグネシウム・リチウム…
韓国で第2の「尿素水品薄騒動」が起こる恐れも
韓国国内のアルミニウム製造会社は先月末、購買担当役員を中国に急きょ派遣した。アルミニウム合金に必要なマグネシウムを確保するためだ。金属の強度を高めると同時に軽量化する役割を持つマグネシウムは、自動車用鋼板・建築資材・電子製品に欠かせない材料だ。中国が全世界の供給量の約90%を占めるが、韓国はすべて中国から輸入している。
中国政府が今年9月から電力不足を理由にマグネシウム生産量を規制して価格が急騰、品薄になっている。この会社の関係者は「中国産マグネシウムは今年初め1キログラムあたり3050ウォン(約290円)だったが、最近1万2000ウォン(約1150円)まで上がった」「中国政府が自国内での不足を理由に、マグネシウムまで輸出規制するのではないかと気をもんでいる」と話した。
このところ品薄となっている尿素だけでなく、マグネシウムや希土類、リチウムなど必須原材料の需給も非常事態に陥っている。韓国貿易協会によると、こうした品目を含め、輸入品1万2586品目のうち、特定の国が占める比率が80%以上の品目は3941品目(31.3%)だという。もし輸入先が滞ってしまったら、代わりの輸入先の確保は容易ではないということだ。このため、自動車・電子・物流・建設などほかの産業にも連鎖的な影響が避けられない。車両用だけでなく、肥料用の尿素も中国の輸出規制により品薄現象が起こっている。韓国最大の肥料会社「ファーム韓農」の関係者は「現状のままなら今月末に工場稼働をストップ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った。
このため、「政府と企業は必須原材料の輸入先多様化に乗り出すべきだ」という声が高まっている。ソウル大学のアン・ドックン教授は「非常事態に備えて代わりの供給元を確保するのがサプライチェーン(供給連鎖)管理の基本だが、韓国は地理的に近い中国への依存度が高すぎた」「米中対立でグローバル・サプライチェーンが脆弱になっている状況で、尿素のように予想できなかった部分で原材料供給難がいっそう頻繁に発生することになるだろう」と語った。
韓国が尿素・マグネシウム・希土類など必須原材料の需給難に直面しているのは、中国に対する輸入依存度が高すぎるためだ。希土類を原料とする永久磁石は86.2%、水酸化リチウムは83.5%を中国に頼っている。韓国貿易協会が国内輸入品1万2586品目を分析したところ、中国の比率が80%以上の品目は1850品目に達したという。米国(503品目)、日本(438品目)、ドイツ(121品目)、イタリア(108品目)も100品目を上回った。
■中国からの輸入比率80%以上の品目が1850品目
中国が生産・輸出を規制した場合、打撃を受けると懸念されている品目は尿素以外にも多い。二次電池の核心素材である正極材に必要な水酸化リチウムも中国産の比率が85%近い。2位のチリ産の比率は12.5%にとどまる。二次電池業界の関係者は「長期契約を結んでいるが、比率が絶対的なため、尿素のように輸出を突然止められたらバッテリー生産への打撃は避けられない」と語った。
医療機器に主に使われる酸化タングステンも中国への依存度が94.7%に達する。仁荷大学のカン・チョ〜ング招聘(しょうへい)教授は「半導体・バッテリー・バイオ医薬品・希土類は今年上半期、米国がサプライチェーンの状況把握に努めた4大核心品目だ」「希土類は米国では国防部が担当している」と話す。
このほか、プロパンとブタンの米国産比率も90%を上回る。日本との確執で国産化や輸入国多様化を推進した、いわゆる「輸出規制3大品目」のうち、フォトレジスト(半導体などの回路パターンを描画する感光性液状樹脂)とフッ化ポリイミド(有機EL〈OLED〉ディスプレイ用強化フィルム)も依然として全輸入額の80%以上を日本に依存している。
■必須原材料の需給点検急げ
青瓦台(大統領府)は5日、尿素水需要問題に対応するためのタスクフォース(TF)チームを構成し、尿素生産国との外交協議に乗り出すことを明らかにした。しかし、「尿素の品薄現象に対する対応が遅い」と指摘する声が上がっている。
中国政府が尿素、塩化カリウム、窒素肥料など29品目に対する輸出制限措置を発表したのは先月11日のことだった。韓国政府もこの内容を把握していたが、これといった措置は取らなかった。化学関連企業の関係者は「政府も企業も中国の尿素輸出制限措置の影響を予想できなかった」と話す。
専門家らは、政府と企業が合同で必須原材料の需給状況を点検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指摘している。韓国貿易協会通商支援センター室のチェ・ヒョンジョン室長は「現在のグローバル・サプライチェーンは最も少ないコストで製品を生産する分業形態になっている」「だが、保護貿易が強化されつつある状況で、今のように原材料の需給で収益性ばかりを考えていたら、予想もつかない危機に直面する可能性が高い」と指摘した。 また、中国などの必須原材料規制に対応する手段を整えておくべきだという指摘もある。LG経済研究院のペ・ミンジュン責任研究員は「日本は世界の貿易規範ができる前から既に製造業が最高水準に達していた国だ」「一部の核心品目に関しては中国が依存するほど(日本のj)競争力は強く、他国の輸出規制に対しても対応力が強い」と語った。
李性勲(イ・ソンフン)記者、チョ・ジェヒ記者
日本、アメリカ、中国に助けられてただけの韓国経済
お前達、本当に何も自力で作れないんだね!wwww
마그네슘·리튬
한국에서 제2의 「요소 미즈시나박소동」이 일어날 우려도
한국 국내의 알루미늄 제조 회사는 지난달말, 구매 담당 임원을 중국에 서둘러 파견했다.알루미늄 합금에 필요한 마그네슘을 확보하기 위해(때문에)다.금속의 강도를 높이는 것과 동시에 경량화하는 역할을 가지는마그네슘은, 자동차용 강판·건축 자재·전자 제품에 빠뜨릴 수 없는 재료다.중국이 전세계의 공급량의 약 90%를 차지하지만, 한국은 모두 중국으로부터 수입하고 있다.
중국 정부가 금년 9월부터 전력 부족을 이유로 마그네슘 생산량을 규제해 가격이 급등, 품귀상태로 되어 있다.이 회사의 관계자는 「중국산 마그네슘은 금년 초 1킬로그램 당 3050원( 약 290엔)이었지만, 최근 1만 2000원( 약 1150엔)까지 올랐다」 「중국 정부가 자국내에서의 부족을 이유로, 마그네슘까지 수출규제 하는 것은 아닐까 마음을 졸이고 있다」라고 이야기했다.
요즈음 제품 부족이 되고 있는 요소 뿐만이 아니라, 마그네슘이나 희토류, 리튬 등필수 원재료의 수급도 비상사태에 빠져 있다.한국 무역협회에 의하면, 이러한 품목을 포함해 수입품 1만 2586품목 가운데, 특정의 나라가 차지하는 비율이 80%이상의 품목은 3941품목(31.3%)라고 한다.만약 수입처가 막혀 버리면, 대신의 수입처의 확보는 용이하지 않다고 하는 것이다.이 때문에, 자동차·전자·물류·건설등 다른 산업에도 연쇄적인 영향을 피할 수 없다.차량용 뿐만이 아니라, 비료용의 요소도 중국의 수출규제에 의해 제품 부족 현상이 일어나고 있다.한국 최대의 비료 회사 「펌한농」의 관계자는「현상인 채라면 이달 말에 공장 가동을 스톱 해야 한다」라고 했다.
한국이 요소·마그네슘·희토류 등 필수 원재료의 수급난에 직면하고 있는 것은, 중국에 대한 수입 의존도가 너무 높기 (위해)때문이다.희토류를 원료로 하는 영구자석은 86.2%, 수산화 리튬은 83.5%를 중국에 의지하고 있다.한국 무역협회가 국내 수입품 1만 2586품목을 분석했는데,중국의 비율이 80%이상의 품목은 1850품목에 이르렀다고 한다.미국(503품목), 일본(438품목), 독일(121품목), 이탈리아(108품목)도 100품목을 웃돌았다.
■중국으로부터의 수입 비율 80%이상의 품목이 1850품목
중국이 생산·수출을 규제했을 경우, 타격을 받는다고 염려되고 있는 품목은 요소 이외에도 많다.2차 전지의 핵심 소재인 정극재에 필요한수산화 리튬도 중국산의 비율이 85%가깝다.2위의 칠레산의 비율은 12.5%에 머무른다.2차 전지 업계의 관계자는「장기 계약을 맺고 있지만, 비율이 절대 적이기 때문에, 요소와 같이 수출을 돌연 제지당하면 배터리 생산에의 타격은 피할 수 없다」라고 말했다.
의료기기에 주로 사용되는 산화 텅스텐도 중국에의 의존도가 94.7%에 이른다.인하대학의 강·조~그초빙(초빙) 교수는 「반도체·배터리·바이오 의약품·희토류는 금년 상반기, 미국이 서플라이 체인(supply-chain)의 상황 파악에 노력한 4 대핵심 품목이다」 「희토류는 미국에서는 국방부가 담당하고 있다」라고 이야기한다.
이 외 , 프로판과 부탄의 미국산 비율도 90%를 웃돈다.일본과의 확집으로 국산화나 수입국 다양화를 추진한, 이른바 「수출규제 3대품목」 가운데, 포토레지스트(photoresist)(반도체등의 회로 패턴을 묘화 하는 감광성 액상 수지)와훅화 폴리이미드(유기 EL〈OLED〉디스플레이용 강화 필름)도 여전히 전수입액수의 80%이상을 일본에 의존하고 있다.
■필수 원재료의 수급 점검 서둘러라
청와대(대통령부)는 5일,요소수수요 문제에 대응하기 위한 테스크 포스(TF) 팀을 구성해, 요소 생산국과의 외교 협의에 나설 것을 밝혔다.그러나, 「요소의 제품 부족 현상에 대한 대응이 늦다」라고 지적하는 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 정부가 요소, 염화 칼륨, 질소비료 등 29품목에 대한 수출 제한 조치를 발표한 것은 지난 달 11일의 일이었다.한국 정부도 이 내용을 파악하고 있었지만, 이렇다 할 만한 조치는 취하지 않았다.화학 관련 기업의 관계자는 「정부나 기업도 중국의 요소 수출 제한 조치의 영향을 예상할 수 없었다」라고 이야기한다.
전문가등은, 정부와 기업이 합동으로 필수 원재료의 수급 상황을 점검해야 한다, 라고 지적하고 있다.한국 무역협회 통상 지원 센터실의 최·현정 실장은 「현재의 글로벌·서플라이 체인(supply-chain)는 가장 적은 코스트로 제품을 생산하는 분업 형태가 되어 있다」 「하지만, 보호무역이 강화되고 있는 상황으로, 지금과 같이 원재료의 수급으로 수익성만을 생각하고 있으면, 예상도 붙지 않는 위기에 직면할 가능성이 높다」라고 지적했다. 또, 중국등의 필수 원재료 규제에 대응하는 수단을 정돈해 두어야 한다고 하는 지적도 있다.LG경제 연구원의페·민중 책임 연구원은 「일본은 세계의 무역 규범을 할 수 있기 전부터 이미 제조업이 최고 수준에 이르고 있던 나라다」 「일부의 핵심 품목에 관해서는 중국이 의존할수록(일본의 j) 경쟁력은 강하고, 타국의 수출규제에 대해서도 대응력이 강하다」라고 말했다.
리성 이사오(이·손 분) 기자, 조·제히 기자
일본, 미국, 중국에 살릴 수 있어 만의 한국 경제
너희들, 정말로 아무것도 자력으로 만들 수 없다!www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