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本、もう韓国に手加減なし・・韓国産の鉄鋼やアルミなどに「15年ぶりに」相殺関税を賦課
日本、韓国産の鉄鋼・アルミニウム・化学製品に相殺関税「いじる」
2021.07.29. 21:07
日本政府が韓国産の鉄鋼やアルミニウムなどに相殺関税を積極的に賦課する方針だ。 これまで手続きが複雑でほとんど発動しなかったこの措置を活用するため、米国や欧州などからノウハウを伝授して貰う計画だ。
29日、日本経済新聞(日経)によると、日本経済産業省は、外国政府の補助金に支えられて価格を下げた輸入品に賦課する「補助金相殺関税」の活用を拡大するために、今秋に米国・欧州連合(EU)・オーストラリア・ブラジルなど5つの国と地域との情報共有の枠組みを設ける。
対象は、中国産の鉄鋼製品や韓国産の鉄鋼・アルミニウム・化学製品など世界で発動事例が多い分野だ。
相殺関税は、過度に安い製品の輸入を防ぐための貿易救済措置の一つだ。 輸出国の補助金による値下げ効果を相殺するため、輸入国の政府が相手国の製品に賦課する関税で、世界貿易機関(WTO)が認める措置だ。
相殺関税は、WTOが認めるもう一つの貿易救済措置である反ダンピング関税よりも一段階高い措置だ。
反ダンピング関税を賦課するためには、輸出する製品の価格が内需品より安くなければならない。
しかし、相殺関税は、輸出品と内需品の価格が同じでも補助金のお蔭で価格を下げたと認められれば適用することができる。
日経は「相殺関税は、相手国の自国産業保護政策に対してより強力に対抗する手段」と評価した。
日本が相殺関税カードを使おうとするのは15年ぶりのことだ。
2006年に韓国ハイニックス(現SKハイニックス)の半導体製品に相殺関税を賦課して以来のことだ。
日本がこれまで相殺関税を賦課しなかった理由としては、相殺関税賦課制度の認知度が低く、手続きが複雑である点が挙げられる。
相殺関税を発動する企業が経済産業省に申請しなければならないが、相手国の政府が過度に補助金を支給したという事実を立証するのは難しいという指摘が出ている。
経済産業省は、日本の企業がこれを積極的に活用できるようにするという立場だ。 米国やEUと手を握るのもこのためだ。
米国はWTOが発足した1995年以降、相殺関税の発動件数が173件で世界で最も多い。 EUも45件でそれに続く。
特にEUは昨年、中国の広域経済構想である「一対一路」からの投資を受けたエジプト企業の製品に相殺関税を発動した。
他国の政府から提供された補助金まで輸出国の政府が支給したものと認めた初の事例だ。
経済産業省の諮問機関である産業構造審議会は、米国やEUなど相殺関税を積極的に活用してきた海外当局と提携して補助金の情報や調査手法を共有する構造を作る計画だ。
일본, 이제(벌써) 한국에 손대중 없음··한국산의 철강이나 알루미늄 등에 「15년만에」상살관세를 부과
2021.07.29. 21:07
일본 정부가 한국산의 철강이나 알루미늄 등에 상살관세를 적극적으로 부과 할 방침이다. 지금까지 수속이 복잡하고 거의 발동하지 않았다 이 조치를 활용하기 위해(때문에), 미국이나 유럽등에서 노하우를 전수해 받을 계획이다.
29일, 일본 경제 신문(일본경제)에 의하면, 일본 경제 산업성은, 외국 정부의 보조금에 의지하고 가격을 내린 수입품에 부과 하는 「보조금 상살관세」의 활용을 확대하기 위해서, 이번 가을에 미국·유럽연합(EU)·오스트레일리아·브라질 등 5개의 나라와 지역과의 정보 공유의 골조를 마련한다. 대상은, 중국산의 철강 제품이나 한국산의 철강·알루미늄·화학제품 등 세계에서 발동 사례가 많은 분야다.
상살관세는, 과도하게 싼 제품의 수입을 막기 위한 무역 구제 조치의 하나다. 수출국의 보조금에 의한 가격 인하 효과를 상쇄하기 위해(때문에), 수입국의 정부가 상대국의 제품에 부과 하는 관세로, 세계무역기구(WTO)가 인정하는 조치다.
상살관세는, WTO가 인정하는 또 하나의 무역 구제 조치인 반덤핑 관세보다 일단층 높은 조치다. 반덤핑 관세를 부과 하기 위해서는, 수출하는 제품의 가격이 내수품보다 싸지 않으면 안 된다. 그러나, 상살관세는, 수출품과 내수품의 가격이 같아도 보조금의 덕분에 가격을 내렸다고 인정되면 적용할 수 있다. 일본경제는 「상살관세는, 상대국의 자국 산업 보호 정책에 대해서 보다 강력하게 대항하는 수단」이라고 평가했다.
일본이 상살관세 카드를 사용하려고 하는 것은 15년만다. 2006년에 한국 하이 닉스(현SK하이 닉스)의 반도체 제품에 상살관세를 부과 한 이래다. 일본이 지금까지 상살관세를 부과 하지 않았던 이유로서는, 상살관세 부과 제도의 인지도가 낮고, 수속이 복잡한 점을 들 수 있다. 상살관세를 발동하는 기업이 경제 산업성에 신청해야 하지만, 상대국의 정부가 과도하게 보조금을 지급했다고 하는 사실을 입증하는 것은 어렵다고 하는 지적이 나와 있다.
경제 산업성은, 일본의 기업이 이것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하는 입장이다. 미국이나 EU와 손을 잡는 것도 이 때문에다. 미국은 WTO가 발족한 1995년 이후, 상살관세의 발동 건수가 173건으로 세계에서 가장 많다. EU도 45건으로 거기에 계속 된다. 특히 EU는 작년, 중국의 광역경제 구상인 「일대일로」로부터의 투자를 받은 이집트 기업의 제품에 상살관세를 발동했다. 타국의 정부로부터 제공된 보조금까지 수출국의 정부가 지급한 것으로 인정한 첫 사례다.
경제 산업성의 자문기관인 산업구조 심의회는, 미국이나 EU 등 상살관세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온 해외 당국과 제휴해 보조금의 정보나 조사 수법을 공유하는 구조를 만들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