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のポータルサイトネイバーから「(ポスコの不都合な真実)日本の戦犯企業と血盟8年…強制徴用被害者は”知らんぷり”」という記事を翻訳してご紹介。
(ポスコの不都合な真実)日本の戦犯企業と「血盟」8年…強制徴用被害者は「知らんぷり」
2021.07.06|6:01
ポスコの7大株主「淀川製鋼所」、朝・鮮人強制動員・労働搾取で資本蓄積
6日、金融監督院の電子公示システムと関連業界によると、
。
ポスコと淀川製鋼所は、2013年11月に縁を結び始めた。当時、ポスコの理事会は、時間外取り引きにより自社株4万8236株を売却した。これはポスコが日本の淀川製鋼所の株式1.63%を買い入れ、淀川製鋼所はポスコの自己株式0.05%を買い取る相互株式スワップの一環であった。
ポスコは淀川製鋼所との株式対等交換について、鉄板加工事業における材料購買業務の円滑な推進が主目的だという立場だ。
続いて「2013年、ポスコは淀川製鋼所の株式1.63%を買い入れ、淀川製鋼所はポスコの株式0.05%を買い取った」とし「淀川製鋼所の追加持分保有計画はない」と付け加えた。
しかし、このようなポスコのビジネス上の目的を見る視線は冷ややかだ。淀川製鋼所が日帝強占期に朝・鮮人を強制動員、労働搾取を日常的に行うなど、戦争犯罪を犯しながら資本を蓄積して成長した戦犯企業という点からだ。強制動員に対する謝罪と被害補償について沈黙していることは言うまでもない。
淀川製鋼所のホームページのスクリーンショット
戦犯企業と血盟関係を維持しているポスコの行動は、これまでの日帝強制動員被害者の歩みを見れば、さらに批判を受ける。
これにより、強制動員被害者たちは、2006年に「我々に戻ってくるべき資金で成長した企業」とし、ポスコに慰謝料の支払いを求める訴訟を提起した。
2013年、裁判所はポスコの手をあげた。ただし、ポスコの社会的責任を認識し、戦後賠償問題の解決に向けて努力すべきだと指摘した。
これに対してポスコは2014年、行政安全部傘下の日帝強制動員被害者支援財団に3年に渡って合計100億ウォンを拠出すると発表した。
しかし、ポスコは約束した100億ウォンのうち、60億ウォンだけ拠出し、約束を完全に履行しなかった。残りの40億ウォンの拠出は約束した2018年12月までに行われなかった。拠出予定の期限から3年経った現在も実施されていない。
これにより、日帝強制動員被害者支援財団は、ポスコが約束した100億ウォン拠出の約束を履行せよと促している。これに対してポスコは、他の日本の経済協力資金恩恵企業が寄付善行環境を整えれば残りを拠出するという立場だ。
一部では、ポスコが拠出の約束を守らないことをめぐり、事業を目的に戦犯企業と依然として緊密な関係を維持している状況が原因ではないかと疑っている。
日帝強制動員被害者支援財団側もポスコの拠出遅延事由について「関連する日本企業の立場を考慮したものと見られる」と批判した。
한국의 포타르사이트네이바로부터 「(포스코의 무례한 진실) 일본의 전범 기업과 혈맹 8년 강제 징용 피해자는”지”」(이)라고 하는 기사를 번역해 소개.
(포스코의 무례한 진실) 일본의 전범 기업과 「혈맹」8년 강제 징용 피해자는 「지」
2021.07.06|6:01
포스코의 7 대주주 「요도가와 제강소」, 조·선인 강제 동원·노동 착취로 자본 축적
포스코그르프가,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라는 약속을 지키지 않은 일본의 전범 기업과의 협력 관계를 8년간 계속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일본 정부의 보복 수출규제 조치에 촉발 된 전범 기업 퇴출 운동이 계속 되고 있지만, 포스코와 전범 기업의 「혈맹」관계는 미동이다로 하고 있지 않은 것이다.
6일, 금융 감독원의 전자 공시 시스템과 관련 업계에 의하면,포스코는 상임 대리인(시티 뱅크)을 통해서, 일본의 전범 기업, 요도가와 제강소의 주식 1.7%를 보유해, 7 대주주에게 일원이 되고 있다.요도가와 제강소도 포스코의 주식 0.05%를 유지하고 있다.
포스코와 요도가와 제강소는, 2013년 11월에 인연을 묶기 시작했다.당시 , 포스코의 이사회는, 시간외 거래에 의해 자사주 4만 8236주를 매각했다.이것은 포스코가 일본의 요도가와 제강소의 주식 1.63%를 매입해 요도가와 제강소는 포스코의 자기 주식 0.05%를 매입하는 상호 주식교환의 일환이었다.
포스코는 요도가와 제강소와의 주식 대등 교환에 대해서, 철판 가공 사업에 있어서의 재료 구매 업무의 원활한 추진이 주목적이라고 하는 입장이다.
포스코측은 「2010년대 초두, 아시아의 주요한 철강 회사가 경쟁적으로 열연생산 능력을 확대하는 것으로, 격렬해진 경쟁 구도 중(안)에서, 안정된 수요처의 확보와 판매 확대를 목적으로 한 양 회사 사이의 협력의 일환이었다」라고 설명했다.
계속 되어 「2013년, 포스코는 요도가와 제강소의 주식 1.63%를 매입해 요도가와 제강소는 포스코의 주식 0.05%를 매입했다」라고 해 「요도가와 제강소의 추가 지분 보유 계획은 없다」라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러한 포스코의 비즈니스상의 목적을 보는 시선은 서늘하다.요도가와 제강소가 일제 강점기에 조·선인을 강제 동원, 노동 착취를 일상적으로 실시하는 등, 전쟁 범죄를 범하면서 자본을 축적해 성장한 전범 기업이라고 하는 점으로부터다.강제 동원에 대한 사죄와 피해 보상에 대해 침묵하고 있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요도가와 제강소의 홈 페이지의 screen shot
전범 기업과 혈맹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포스코의 행동은, 지금까지의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의 걸음을 보면, 한층 더 비판을 받는다.
일본 정부는, 1965년의 한일 국교 정상화 당시 , 한국이 청구권을 방폐하는 대신에 무상 3억 달러와 유상 2억 달러의 경제협력 자금을 지원했다.이 중24%가 포스코의 전신인 포항 제철소내의 최초의 용광로를 건설하는데 사용되었다.
이것에 의해, 강제 동원 피해자들은, 2006년에 「우리로 돌아와야 할 자금으로 성장한 기업」이라고 해, 포스코에 위자료의 지불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다.
2013년, 재판소는 포스코가 손을 들었다.다만, 포스코의 사회적 책임을 인식해, 전후 배상 문제의 해결을 향해서 노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것에 대해서 포스코는 2014년, 행정 안전부 산하의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에 3년에 걸쳐 합계 100억원을 거출한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포스코는 약속한 100억원 가운데, 60억원만 거출해, 약속을 완전하게 이행하지 않았다.나머지의 40억원의 거출은 약속한 2018년 12월까지 행해지지 않았다.거출 예정의 기한부터 3년 지난 현재도 실시되어 있지 않다.
이것에 의해,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은, 포스코가 약속한 100억원 거출의 약속을 이행하라라고 재촉하고 있다.이것에 대해서 포스코는, 다른 일본의 경제협력 자금 혜택 기업이 기부 선행 환경을 정돈하면 나머지를 거출한다고 하는 입장이다.
일부에서는, 포스코가 거출의 약속을 지키지 않는 것을 둘러싸고, 사업을 목적으로 전범 기업과 여전히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상황이 원인은 아닐까 의심하고 있다.
일제 강제 동원 피해자 지원 재단측도 포스코의 거출 지연 사유에 대해 「관련하는 일본 기업의 입장을 고려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