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世襲政治” 王国日本, 閣僚半分が受け継いだ政治
日本の定期国会が仕上げされた去る 20日記者会見で “9月総裁経線では平和憲法改憲が焦点になること”と言いながら出馬意志を現わしたAbe信條(安倍晋三) 日本総理. Abe総理の自民党総裁 3年間なのを沮止するために経線出馬を計り中の李シヴァシゲで(石破茂) 私は幹事長と長いフミオ(岸田文雄) 政調会長. ‘日本政治のアイドル’と呼ばれる小泉真摯で(小泉 進次?) 議員と日本政治史上初女性総理候補中一名人小淵ユウコ(小?優子) 議員. 突き出発言が絶えないが総理候補にまで挙論される ‘変わり者外相’ 河野茶炉(河野太?). 韓国には旧悪政治の象徴のように刻印されている分かりなさい茶炉(麻生太郎) 副総理かたがた財務上….
あまり似合わない人々を一ところ縛る共通点がある. 皆が有力政治家だったお爺さんやお父さんなどを置いた世襲政治家だ.
前職総理(分かりなさい)と現職総理(Abe), Abe以後を眺める有力な次期候補たち(李シヴァ,長い), またその次機会を待つ次次期候補たち(河野,小泉, 小淵)まで皆を縛る話題はすぐ ‘世襲’だ.
それで日本政治, その中でも特にお爺さん-息子-孫が代を引き継ぐ自民党式の政治家充員方式をおいて ‘世襲王国日本’(22日付け日本経済新聞コラム)という冷笑的な表現が出る.
2017年 10月行われた衆院選挙, この中小選挙区で当選した自民党議員 218人の中世襲議員は 72人で全体の 33%を占めた. 最近自民党が排出した総理たちも大部分世襲政治家たちだ. 現総理であるAbe信條外に分かりなさい茶炉, FukudaYasuo(福田康夫) ,小泉純一郎(小泉純一?), 小淵恵三(小??三) などだ. また現在Abe内閣代わり(長官)たちの半分が世襲議員だ. 世襲政治家なしにはまったくころがって行かない国であるわけだ.
全体議員中世襲議員比重が 5% 位に過ぎなくて, これら大部分が親族の地方区ではない他の地方区で出馬するイギリスの事例と比べると完全一変だ.
日本が “世襲政治王国”と呼ばれたのが一日二日ではない. それでも最近また話題になる理由は世襲政治を制限しようとする自民党の改革試みがまた失敗で終わったからだ. その間政治世襲をおいては “息子を秘書に採用して地方区を渡してやる政治手法は決まった家門でばかりずっと大名が排出される江戸時代の藩(藩)と違うのがない”,“世襲政治のため人才たちが政治権に入って来る機会が細くなった”と言う批判がつながって来た.
それで各政党が世襲制限を公約で掲げたりしたし, 制限措置を作る振りもしたが “ ‘地方(地盤・後援会組職)’ ‘艮方(看板・知名度)’ ‘かばん(選挙資金)’ など ‘3発’をそのまま受け継ぐ人が絶対的に有利だ”は日本政界で世襲政治の既得権の前に皆うやむやされた.
今度推進された自民党改革案も同じだった. 去る 6月末自民党ゾングチゼドゲヒョックシルヘングボンブは ‘閉鎖的で不公正な政党ではない開かれた政党自民党’を標榜して政治世襲改善方案を作った. “親族に地方区を渡してやる現職議員は任期満了 2年前までは引退意思を義務的に表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う規定が代表的だ. お父さんが任期満了直前に急に政界引退意思を表明して “他人が後援会と組職を受け継ぐには時間が不足だ”と言う理由で慇懃こっそり息子が席を渡される手法を阻むためだ.
しかし今月中旬完成された最終提案書にはこの表現が抜けた. “2年前に引退を表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う義務化条項代わり “公募を控えて必要な時間を充分に確保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う原論的な表現で取り替えられた. また最初原案にあった “世襲に出馬する候補は初選挙で地方区と比例代表選挙に重複して出馬することができない”と言う条項も完成された提案書には抜けた. 厚い世襲既得権の壁を今度にも過ぎ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わけだ.
実は世襲制度にメスをつけようと思った自民党ゾングチゼドゲヒョックシルヘングボンブの時尾崎ヤスヒサ(?崎恭久)本部長(私は官房長官)からがお父さんから地方区を受け継いだ世襲議員だ. そうだから “最初から改革作業がまともにころがって行くわけがなかった”は批判も出る.
それならどうして先進国たちの中特に日本で世襲政治が格別なのか. 日本経済(日経) 新聞は 22日 “後援組職などを通じて地方区議員が長年の時間にわたって該当の地域の土着情・財界人士と根深い関係を結んで, これらと死活的な理解を一緒にしているから”と分析した. 世襲政治家ではない新前政治家がこんな壁をくぐって政界に跳びこみやすくない環境というのだ.
日本が世襲政治に寛大な理由を日本人たちの性向で捜す見解もある. 日経とのインタビューで “もとより日本人たちは世襲が好きだった”と明らかにした昏鼓がズト(本?和人) 東京大学教授みたいな人々の代表的だ. 日本には科挙制度などがなくて階層間身分移動の機会が周辺国より少なかったし, 熾烈な競争よりは生まれる時から受ける地位による世襲をもっと自然に受け入れる土壌が用意されていたという主張だ. しかし日経は “明治維新が成功したのは優秀な人才を幅広く登用する必要を感じて下級武士が改革の先鋒に立つ機会を付与した卓越なリーダーたちがあったから”と言いながら ’新しい時代の挑戦に対立しようとすれば自民党が世襲政治のフレームを壊す覚悟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指摘した.
”世襲特恵無くす” 自民党改革案また失敗
日経 “地域で癒着深海,世襲が絶対ユリ”
”日本人たち,元々競争より世襲選好”分析も
前職総理(分かりなさい)と現職総理(Abe), Abe以後を眺める有力な次期候補たち(李シヴァ,長い), またその次機会を待つ次次期候補たち(河野,小泉, 小淵)まで皆を縛る話題はすぐ ‘世襲’だ.
それで日本政治, その中でも特にお爺さん-息子-孫が代を引き継ぐ自民党式の政治家充員方式をおいて ‘世襲王国日本’(22日付け日本経済新聞コラム)という冷笑的な表現が出る.
2017年 10月行われた衆院選挙, この中小選挙区で当選した自民党議員 218人の中世襲議員は 72人で全体の 33%を占めた. 最近自民党が排出した総理たちも大部分世襲政治家たちだ. 現総理であるAbe信條外に分かりなさい茶炉, FukudaYasuo(福田康夫) ,小泉純一郎(小泉純一?), 小淵恵三(小??三) などだ. また現在Abe内閣代わり(長官)たちの半分が世襲議員だ. 世襲政治家なしにはまったくころがって行かない国であるわけだ.
日本が “世襲政治王国”と呼ばれたのが一日二日ではない. それでも最近また話題になる理由は世襲政治を制限しようとする自民党の改革試みがまた失敗で終わったからだ. その間政治世襲をおいては “息子を秘書に採用して地方区を渡してやる政治手法は決まった家門でばかりずっと大名が排出される江戸時代の藩(藩)と違うのがない”,“世襲政治のため人才たちが政治権に入って来る機会が細くなった”と言う批判がつながって来た.
それで各政党が世襲制限を公約で掲げたりしたし, 制限措置を作る振りもしたが “ ‘地方(地盤・後援会組職)’ ‘艮方(看板・知名度)’ ‘かばん(選挙資金)’ など ‘3発’をそのまま受け継ぐ人が絶対的に有利だ”は日本政界で世襲政治の既得権の前に皆うやむやされた.
今度推進された自民党改革案も同じだった. 去る 6月末自民党ゾングチゼドゲヒョックシルヘングボンブは ‘閉鎖的で不公正な政党ではない開かれた政党自民党’を標榜して政治世襲改善方案を作った. “親族に地方区を渡してやる現職議員は任期満了 2年前までは引退意思を義務的に表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う規定が代表的だ. お父さんが任期満了直前に急に政界引退意思を表明して “他人が後援会と組職を受け継ぐには時間が不足だ”と言う理由で慇懃こっそり息子が席を渡される手法を阻むためだ.
しかし今月中旬完成された最終提案書にはこの表現が抜けた. “2年前に引退を表明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う義務化条項代わり “公募を控えて必要な時間を充分に確保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言う原論的な表現で取り替えられた. また最初原案にあった “世襲に出馬する候補は初選挙で地方区と比例代表選挙に重複して出馬することができない”と言う条項も完成された提案書には抜けた. 厚い世襲既得権の壁を今度にも過ぎることができなかったわけだ.
実は世襲制度にメスをつけようと思った自民党ゾングチゼドゲヒョックシルヘングボンブの時尾崎ヤスヒサ(?崎恭久)本部長(私は官房長官)からがお父さんから地方区を受け継いだ世襲議員だ. そうだから “最初から改革作業がまともにころがって行くわけがなかった”は批判も出る.
それならどうして先進国たちの中特に日本で世襲政治が格別なのか. 日本経済(日経) 新聞は 22日 “後援組職などを通じて地方区議員が長年の時間にわたって該当の地域の土着情・財界人士と根深い関係を結んで, これらと死活的な理解を一緒にしているから”と分析した. 世襲政治家ではない新前政治家がこんな壁をくぐって政界に跳びこみやすくない環境というのだ.
日本が世襲政治に寛大な理由を日本人たちの性向で捜す見解もある. 日経とのインタビューで “もとより日本人たちは世襲が好きだった”と明らかにした昏鼓がズト(本?和人) 東京大学教授みたいな人々の代表的だ. 日本には科挙制度などがなくて階層間身分移動の機会が周辺国より少なかったし, 熾烈な競争よりは生まれる時から受ける地位による世襲をもっと自然に受け入れる土壌が用意されていたという主張だ. しかし日経は “明治維新が成功したのは優秀な人才を幅広く登用する必要を感じて下級武士が改革の先鋒に立つ機会を付与した卓越なリーダーたちがあったから”と言いながら ’新しい時代の挑戦に対立しようとすれば自民党が世襲政治のフレームを壊す覚悟をしなければならない”と指摘した.
세습정치 왕국 일본, 각료 절반이 물려받은 정치
"세습정치" 왕국 일본, 각료 절반이 물려받은 정치
"세습정치" 왕국 일본, 각료 절반이 물려받은 정치
일본의 정기국회가 마무리된 지난 20일 기자회견에서 "9월 총재 경선에선 평화헌법 개헌이 초점이 될 것"이라며 출마 의지를 드러낸 아베 신조(安倍晋三) 일본 총리. 아베 총리의 자민당 총재 3연임을 저지하기 위해 경선 출마를 저울질중인 이시바 시게루(石破茂) 전 간사장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정조회장. ‘일본 정치의 아이돌’로 불리는 고이즈미 신지로(小泉 進次郎) 의원과 일본 정치 사상 첫 여성 총리 후보중 한 명인 오부치 유코(小渕優子) 의원. 돌출 발언이 끊이지 않지만 총리 후보로까지 거론되는 ‘괴짜 외상’ 고노 다로(河野太郎). 한국에는 구악 정치의 상징처럼 각인돼 있는 아소 다로(麻生太郞) 부총리 겸 재무상….
별로 어울리지 않는 이들을 한 데 묶는 공통점이 있다. 모두가 유력 정치인이었던 할아버지나 아버지 등을 둔 세습 정치인이다.
전직 총리(아소)와 현직 총리(아베), 아베 이후를 바라보는 유력한 차기 후보들(이시바,기시다), 또 그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차차기 후보들(고노,고이즈미, 오부치)까지 모두를 묶는 화두는 바로 ‘세습’이다.
그래서 일본 정치, 그중에서도 특히 할아버지-아들-손자가 대를 잇는 자민당식의 정치인 충원 방식을 놓고 ‘세습왕국 일본’(22일자 니혼게이자이 신문 칼럼)이라는 냉소적인 표현이 나온다.
2017년 10월 치러진 중의원 선거, 이중 소선거구에서 당선된 자민당 의원 218명 가운데 세습의원은 72명으로 전체의 33%를 차지했다. 최근 자민당이 배출한 총리들도 대부분 세습 정치인들이다. 현 총리인 아베 신조 외에 아소 다로,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등이다. 또 현재 아베 내각 대신(장관)들의 절반이 세습 의원이다. 세습 정치인 없이는 도무지 굴러가지 않는 나라인 셈이다.
전체 의원중 세습 의원 비중이 5% 정도에 불과하고, 이들 대부분이 친족의 지역구가 아닌 다른 지역구에서 출마하는 영국의 사례와 비교하면 완전 딴판이다.
일본이 "세습 정치 왕국"으로 불린 것이 하루 이틀이 아니다. 그럼에도 최근 다시 화제가 되는 이유는 세습정치를 제한하려는 자민당의 개혁 시도가 또 실패로 끝났기 때문이다. 그동안 정치 세습을 놓곤 “아들을 비서로 채용해 지역구를 넘겨주는 정치 수법은 정해진 가문에서만 계속 다이묘가 배출되는 에도시대의 번(藩)과 다를 게 없다”,“세습 정치 때문에 인재들이 정치권에 들어오는 기회가 좁아졌다"는 비판이 이어져 왔다.
그래서 각 정당이 세습 제한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고, 제한 조치를 만드는 시늉도 했지만 “ ‘지방(地盤ㆍ후원회 조직)’ ‘간방(看板ㆍ지명도)’ ‘가방(선거자금)’ 등 ‘3방’을 그대로 이어받는 이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일본 정치판에서 세습정치의 기득권 앞에 모두 흐지부지됐다.
이번에 추진된 자민당 개혁안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6월말 자민당 정치제도개혁실행본부는 ‘폐쇄적이고 불공정한 정당이 아닌 열린 정당 자민당’을 표방하며 정치세습 개선 방안을 만들었다. “친족에게 지역구를 넘겨주는 현직 의원은 임기 만료 2년 전까지는 은퇴 의사를 의무적으로 표명해야 한다”는 규정이 대표적이다. 아버지가 임기 만료 직전에 갑자기 정계 은퇴 의사를 표명하고 "다른 사람이 후원회와 조직을 이어받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은근슬쩍 아들이 자리를 넘겨받는 수법을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달 중순 완성된 최종 제안서엔 이 표현이 빠졌다. “2년 전에 은퇴를 표명해야 한다”는 의무화 조항 대신 “공모를 앞두고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표현으로 대체됐다. 또 당초 원안에 있던 “세습으로 출마하는 후보는 첫 선거에서 지역구와 비례 대표 선거에 중복해 출마할 수 없다”는 조항도 완성된 제안서에는 빠졌다. 두꺼운 세습 기득권의 벽을 이번에도 넘지 못한 셈이다.
사실 세습제도에 메스를 대려 했던 자민당 정치제도개혁실행본부의 시오자키 야스히사(塩崎恭久)본부장(전 관방장관)부터가 아버지에게서 지역구를 물려받은 세습의원이다. 그러니 “애초부터 개혁 작업이 제대로 굴러갈 리가 없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그렇다면 왜 선진국들 가운데 유독 일본에서 세습정치가 유별난 걸까.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은 22일 “후원 조직 등을 통해 지역구 의원이 오랜 시간에 걸쳐 해당 지역의 토착 정ㆍ재계 인사들과 뿌리 깊은 관계를 맺고, 이들과 사활적인 이해를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세습 정치인이 아닌 신참 정치인이 이런 벽을 뚫고 정계에 뛰어들기가 쉽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이다.
일본이 세습정치에 관대한 이유를 일본인들의 성향에서 찾는 견해도 있다.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원래부터 일본인들은 세습을 좋아했다”고 밝힌 혼고 가즈토(本郷和人) 도쿄대 교수 같은 이들이 대표적이다. 일본엔 과거제도 등이 없어 계층간 신분 이동의 기회가 주변국보다 적었고, 치열한 경쟁보다는 태어날 때부터 부여받는 지위에 의한 세습을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토양이 마련돼 있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닛케이는 “메이지 유신이 성공했던 건 우수한 인재를 폭넓게 등용할 필요를 느껴 하급 무사들이 개혁의 선봉에 설 기회를 부여한 탁월한 리더들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새로운 시대의 도전에 맞서려면 자민당이 세습 정치의 틀을 깰 각오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세습 특혜 없애겠다" 자민당 개혁안 또 실패
닛케이 "지역서 유착 심해,세습이 절대 유리"
"일본인들,원래 경쟁 보다 세습 선호"분석도
전직 총리(아소)와 현직 총리(아베), 아베 이후를 바라보는 유력한 차기 후보들(이시바,기시다), 또 그다음 기회를 기다리는 차차기 후보들(고노,고이즈미, 오부치)까지 모두를 묶는 화두는 바로 ‘세습’이다.
그래서 일본 정치, 그중에서도 특히 할아버지-아들-손자가 대를 잇는 자민당식의 정치인 충원 방식을 놓고 ‘세습왕국 일본’(22일자 니혼게이자이 신문 칼럼)이라는 냉소적인 표현이 나온다.
2017년 10월 치러진 중의원 선거, 이중 소선거구에서 당선된 자민당 의원 218명 가운데 세습의원은 72명으로 전체의 33%를 차지했다. 최근 자민당이 배출한 총리들도 대부분 세습 정치인들이다. 현 총리인 아베 신조 외에 아소 다로,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고이즈미 준이치로(小泉純一郎), 오부치 게이조(小渕恵三) 등이다. 또 현재 아베 내각 대신(장관)들의 절반이 세습 의원이다. 세습 정치인 없이는 도무지 굴러가지 않는 나라인 셈이다.
일본이 "세습 정치 왕국"으로 불린 것이 하루 이틀이 아니다. 그럼에도 최근 다시 화제가 되는 이유는 세습정치를 제한하려는 자민당의 개혁 시도가 또 실패로 끝났기 때문이다. 그동안 정치 세습을 놓곤 “아들을 비서로 채용해 지역구를 넘겨주는 정치 수법은 정해진 가문에서만 계속 다이묘가 배출되는 에도시대의 번(藩)과 다를 게 없다”,“세습 정치 때문에 인재들이 정치권에 들어오는 기회가 좁아졌다"는 비판이 이어져 왔다.
그래서 각 정당이 세습 제한을 공약으로 내걸기도 했고, 제한 조치를 만드는 시늉도 했지만 “ ‘지방(地盤ㆍ후원회 조직)’ ‘간방(看板ㆍ지명도)’ ‘가방(선거자금)’ 등 ‘3방’을 그대로 이어받는 이가 절대적으로 유리하다”는 일본 정치판에서 세습정치의 기득권 앞에 모두 흐지부지됐다.
이번에 추진된 자민당 개혁안도 마찬가지였다. 지난 6월말 자민당 정치제도개혁실행본부는 ‘폐쇄적이고 불공정한 정당이 아닌 열린 정당 자민당’을 표방하며 정치세습 개선 방안을 만들었다. “친족에게 지역구를 넘겨주는 현직 의원은 임기 만료 2년 전까지는 은퇴 의사를 의무적으로 표명해야 한다”는 규정이 대표적이다. 아버지가 임기 만료 직전에 갑자기 정계 은퇴 의사를 표명하고 "다른 사람이 후원회와 조직을 이어받기에는 시간이 부족하다"는 이유로 은근슬쩍 아들이 자리를 넘겨받는 수법을 막기 위해서다.
하지만 이달 중순 완성된 최종 제안서엔 이 표현이 빠졌다. “2년 전에 은퇴를 표명해야 한다”는 의무화 조항 대신 “공모를 앞두고 필요한 시간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는 원론적인 표현으로 대체됐다. 또 당초 원안에 있던 “세습으로 출마하는 후보는 첫 선거에서 지역구와 비례 대표 선거에 중복해 출마할 수 없다”는 조항도 완성된 제안서에는 빠졌다. 두꺼운 세습 기득권의 벽을 이번에도 넘지 못한 셈이다.
사실 세습제도에 메스를 대려 했던 자민당 정치제도개혁실행본부의 시오자키 야스히사(塩崎恭久)본부장(전 관방장관)부터가 아버지에게서 지역구를 물려받은 세습의원이다. 그러니 “애초부터 개혁 작업이 제대로 굴러갈 리가 없었다”는 비판도 나온다.
그렇다면 왜 선진국들 가운데 유독 일본에서 세습정치가 유별난 걸까. 니혼게이자이(닛케이) 신문은 22일 “후원 조직 등을 통해 지역구 의원이 오랜 시간에 걸쳐 해당 지역의 토착 정ㆍ재계 인사들과 뿌리 깊은 관계를 맺고, 이들과 사활적인 이해를 함께 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세습 정치인이 아닌 신참 정치인이 이런 벽을 뚫고 정계에 뛰어들기가 쉽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이다.
일본이 세습정치에 관대한 이유를 일본인들의 성향에서 찾는 견해도 있다. 닛케이와의 인터뷰에서 “원래부터 일본인들은 세습을 좋아했다”고 밝힌 혼고 가즈토(本郷和人) 도쿄대 교수 같은 이들이 대표적이다. 일본엔 과거제도 등이 없어 계층간 신분 이동의 기회가 주변국보다 적었고, 치열한 경쟁보다는 태어날 때부터 부여받는 지위에 의한 세습을 더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토양이 마련돼 있었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닛케이는 “메이지 유신이 성공했던 건 우수한 인재를 폭넓게 등용할 필요를 느껴 하급 무사들이 개혁의 선봉에 설 기회를 부여한 탁월한 리더들이 있었기 때문”이라며 ’새로운 시대의 도전에 맞서려면 자민당이 세습 정치의 틀을 깰 각오를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