こういう事を云う♪
朴槿恵前大統領、企画研究水準の事業を急きょ前倒し
技術レベルの評価・現場の意見の集約もなしに
“非現実的な目標”一方的に設定、推進
限界にぶつかり基本設計も終わらず
研究員ら「設計見直しの機会も逃す」
「550キロ」軌道衛星重量もたびたび超過
燃料量の問題でも、すでにタンクを製作
“軌跡変更の代案”、NASAの協力が不可欠だが
政府・航宇研のその場しのぎが危機を大きくした
事業本格化から4年たってもまだ基本設計すら終わっていない月軌道衛星(オービター)事業が、今度は主要事業パートナーである米航空宇宙局(NASA)の反対にぶつかり漂流することになったのは、事業推進過程で見せた政府と韓国航空宇宙研究院の一方的な態度が主な原因と指摘されている。国内の技術水準に対する客観的な評価や研究現場の十分な意見収集なしに主要目標を設定し、問題が起これば計画全般を見直す代わりに、その場しのぎの処方で対応したため、状況をさらにこじらせたという批判だ。
月軌道衛星事業は当初、盧武鉉(ノ・ムヒョン)政権(打ち上げ時期2020年)の時に始まり、李明博(イ・ミョンバク)政権(同2023年)までは遠い未来を見据えた企画研究の水準だった。ところが、2012年12月の大統領選候補テレビ討論会で「2020年、月に太極旗がはためくだろう」と宣言した朴槿恵(パク・クネ)大統領が当選し、状況が変わった。就任3カ月後の2013年5月、月軌道衛星事業が国政課題に選定され、開発期間が3年(2015~2017年)と大幅に前倒しされるなど、非現実的な事業目標が設定された。事業推進過程をよく知る韓国航空宇宙研究院(航宇研)の高位関係者のA氏は、ハンギョレ記者の電話取材に対し「地球を周回する人工衛星も開発期間は4~5年くらいなのに、月周辺を回る衛星を3年で開発するというのは荒唐無稽な発想だった」とし、「最初のボタンから掛け違っていた」と指摘した。
その後、主な事業内容は現場で事業を実行する研究員たちの判断や韓国の技術レベルとは関係なく決定され、変更された。2014年9月には(1)4つの搭載体(カメラなど各種の月探査装備)を積んだ(2)総重量550キログラムの軌道衛星を(3)月高度100キロメートルで(4)円軌道で(5)1年間運用するという内容で、企画財政部の予備妥当性調査を通過した。2016年1月には搭載体の数を4つから6つに増やした「月探査基本計画」が国家宇宙委員会を通過したのに続き、12月には「1年間、円軌道」を前提に、航宇研とNASAが協力協定を締結した。NASAは深宇宙通信などを提供し、韓国はNASAのカメラ(シャドーカム)を軌道衛星に追加搭載するという内容だ。
現場の意見を反映していない事業内容の変更について、航宇研の月探査事業団所属の研究チームは初めから「非現実的」だという意見を出していた。B研究員は「そもそも各種の部品や装備、搭載体数、必要燃料量などを計算して軌道衛星の目標重量などを導き出したものではなかった」と批判した。「(月軌道衛星事業の終了後)第2段階の月着陸船に使う韓国型ロケットは最大550キロまで月に送ることができるので、第1段階である軌道衛星の重量も(米国のロケットを使うにもかかわらず)550キロに合わせろというのが全て」ということだ。軌道衛星の設計重量は、2018年9月に610キロ、2019年3月に638~662キロ、最近は678キロと一度も550キロを下回らず、逆に増える一方だった。増えた重量で1年間の任務を終えるには、軌道衛星の月の周回軌道を円形から楕円形に変えるしかないというのが、9月に科学技術情報通信部が発表した内容だ。
航宇研内部の専門家らで構成する「事業管理委員会」は、3月に出した独自の検討報告書で、重量制限の解除は避けられないと指摘しながら、重量増加による燃料不足問題を解決する8つの理論的な代案(燃料タンクの拡大、軌道変更、任務期間の短縮、月まで行く経路(軌跡)変更など)を選び、それぞれの長所と短所を分析した。ここで管理委は、軌道変更と任務期間の短縮には「NASAの同意が必要だ」という点を強調した。しかし、政府と航宇研は9月にNASAと合意していない軌道変更(高度100キロメートル×300キロメートルの楕円軌道)案を発表し、結局NASAの反対にぶつかった。イ・チョルヒ議員は、「航宇研と科技情通部が毎回目の前の責任を回避することばかりに汲々として、問題を大きくした」と指摘した。
B研究員は「(政権交代後)各種の問題が十分露わになったにもかかわらず、2017年8月に国家宇宙委員会が打ち上げ時期(2018年→2020年)だけ延期して他の条件は維持し、設計全般を再検討する機会を逃したのが一番痛い」とし、「科技情通部が9月に重量制限解除(最大678キロ)も発表したが、すでに燃料タンクが製作されたので燃料が不足するのは同じだ。これを解決する軌跡変更案は国内の独自技術では難しく、従来のNASAとの協約の範囲を超えて支援を受けることも難しい状況」だと述べた。
チェ・ハヤン記者 (お問い合わせ japan@hani.co.kr )
最終更新:11/19(火) 12:01
ハンギョレ新聞
https://headlines.yahoo.co.jp/hl?a=20191119-00035003-hankyoreh-kr
やることなすこと
実にチョソらしいクォリティーのようです♪
あひゃひゃひゃ!
이런 일을 말한다♪
박근혜전대통령, 기획 연구 수준의 사업을 서둘러 앞당김
기술 레벨의 평가·현장의 의견의 집약도 없이
“비현실적인 목표”일방적으로 설정, 추진
한계 무디어져 익어 기본 설계도 끝나지 않고
연구원들 「설계 재검토의 기회도 놓친다」
「550킬로」궤도 위성 중량도 가끔 초과
연료량의 문제에서도, 벌써 탱크를 제작
“궤적 변경의 대안”, NASA의 협력이 불가결하지만
정부·항우연의 임시 방편이 위기를 크게 했다
사업 본격화로부터 4년 지나도 아직 기본 설계조차 끝나지 않은 달궤도 위성(인공위성) 사업이, 이번은 주요 사업 파트너인 미항공 우주국(NASA)의 반대로 부딪쳐 표류하게 된 것은, 사업 추진 과정에서 보인 정부와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의 일방적인 태도가 주된 원인이라고 지적되고 있다.국내의 기술 수준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나 연구 현장의 충분한 의견 수집없이 주요 목표를 설정해, 문제가 일어나면 계획 전반을 재검토하는 대신에, 임시 방편의 처방으로 대응했기 때문에, 상황을 한층 더 악화시켰다고 하는 비판이다.
달궤도 위성 사업은 당초,노무현(노·무홀) 정권(발사시기2020년)때에 시작해,이명박(이·몰바크) 정권( 동2023년)까지는 먼 미래를 응시한 기획 연구의 수준이었다.그런데 , 2012년 12월의 대통령 선거 후보 TV 토론회에서 「2020년, 달에 태극기가 펄럭일 것이다」라고 선언한 박근 메구미(박·쿠네) 대통령이 당선해, 상황이 바뀌었다.취임 3개월 후의 2013년 5월, 월 궤도 위성 사업이 국정 과제에 선정되어 개발 기간이 3년(2015~2017해)과 큰폭으로 앞당김 되는 등, 비현실적인 사업 목표가 설정되었다.사업 추진 과정을 잘 아는 한국 항공 우주 연구원(항우연)의 고위 관계자의 A씨는, 한겨레 기자의 전화 취재에 대해 「지구를 주회 하는 인공위성도 개발 기간은4~5해 정도인데, 달주변을 도는 위성을 3년에 개발한다는 것은 황당 무계인 발상이었다」라고 해, 「최초의 버튼으로부터 엇갈리고 있었다」라고 지적했다.
그 후, 주된 사업 내용은 현장에서 사업을 실행하는 연구원들의 판단이나 한국의 기술 레벨과는 관계없이 결정되어 변경되었다.2014년 9월에는(1) 4개의 탑재체(카메라 등 각종의 달탐사 장비)를 쌓은(2) 총중량 550킬로그램의 궤도 위성을(3) 달고도 100킬로미터로(4) 원궤도에서(5) 1년간 운용한다고 하는 내용으로, 기획 재정부의 예비 타당성 조사를 통과했다.2016년 1월에는 탑재체의 수를 4개에서 6개로 늘린 「달탐사 기본계획」이 국가 우주 위원회를 통과한 것에 이어서, 12월에는 「1년간, 원궤도」를 전제로, 항우연과 NASA가 협력 협정을 체결했다.NASA는 심우주 통신등을 제공해, 한국은 NASA의 카메라(쉐도우 캠)를 궤도 위성에 추가 탑재한다고 하는 내용이다.
현장의 의견을 반영하고 있지 않는 사업 내용의 변경에 대해서, 항우연의 달탐사 사업단 소속의 연구팀은 처음부터 「비현실적」이라고 하는 의견을 내고 있었다.B연구원은 「원래 각종의 부품이나 장비, 탑재체수, 필요 연료량등을 계산해 궤도 위성의 목표 중량등을 이끌어낸 것은 아니었다」라고 비판했다.「(달궤도 위성 사업의 종료후) 제2 단계의 달 착륙선에 사용하는 한국형 로켓은 최대 550킬로까지 츠키에 보낼 수 있으므로, 제1 단계인 궤도 위성의 중량도(미국의 로켓을 사용하는 것에도 불구하고) 550킬로에 맞추라고 말하는 것이 모두」라고 하는 것이다.궤도 위성의 설계 중량은, 2018년 9월에 610킬로, 2019년 3월에638~662킬로, 최근에는 678킬로와 한번도 550킬로를 밑돌지 않고, 반대로 증가할 뿐이었다.증가한 중량으로 1년간의 임무를 끝내려면 , 궤도 위성의 달의 주회 궤도를 원형으로부터 타원형으로 바꿀 수 밖에 없다고 하는 것이, 9월에 과학기술 정보 통신부가 발표한 내용이다.
항우연내부의 전문가등으로 구성하는 「사업 관리위원회」는, 3월에 낸 독자적인 검토 보고서로, 중량 제한의 해제는 피할 수 없다고 지적하면서, 중량 증가에 의한 연료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8개의 이론적인 대안(연료 탱크의 확대, 궤도 변경, 임무 기간의 단축, 츠키까지 가는 경로(궤적) 변경등)를 선택해,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분석했다.여기서 관리위는, 궤도 변경과 임무 기간의 단축에는 「NASA의 동의가 필요하다」라고 하는 점을 강조했다.그러나, 정부와 항우연은 9월에 NASA와 합의하지 않은 궤도 변경(고도 100킬로미터킬로미터의 타원 궤도) 안을 발표해, 결국 NASA의 반대로 부딪쳤다.이·쵸르히 의원은, 「항우연과 과학기술정통부가 매회 눈앞의 책임을 회피하는 일(뿐)만에 급들로서 문제를 크게 했다」라고 지적했다.
B연구원은 「(정권 교대 후) 각종의 문제가 충분히 이슬 악어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2017년 8월에 국가 우주 위원회가 발사시기(2018년→2020년)만 연기해 다른 조건은 유지해, 설계 전반을 재검토할 기회를 놓친 것이 제일 아프다」라고 해, 「과학기술정통부가 9월에 중량 제한 해제(최대 678킬로)도 발표했지만, 벌써 연료 탱크가 제작되었으므로 연료가 부족하는 것은 같다.이것을 해결하는 궤적 변경안은 국내의 독자 기술에서는 어렵고, 종래의 NASA와의 협약의 범위를 넘고 지원을 받는 것도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하얀 기자 (문의 japan@hani.co.kr )
최종 갱신:11/19(화) 12:01
한겨레
https://headlines.yahoo.co.jp/hl?a=20191119-00035003-hankyoreh-kr
하는 일 모두
실로 쵸소인것 같은 퀄리티같습니다♪
!